한글 자모 중의 하나

(이응)은 한글자음 중 여덟 번째 글자다.

이응
정보
자명이응
훈몽자회異凝 (원래는 伊. 異凝은 옛이응)
자원목구멍의 모양 (목구멍소리)
종류닿소리
획수1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ng(종성)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ng(종성)
발음
어두무음
어중무음
어말연구개 비음[ ŋ ]
이음어두·어중 구개음화[ j ]
연음된 종성의 구개음화 [ ɲ ]
획순

현대 한국어에서 초성으로 쓰이는 ㅇ은 초성 자리를 채우기만 해 주고 소릿값은 없으며,[1] 종성으로 쓰이는 ㅇ의 소릿값은 연구개 비음[ŋ]이다. ㅇ 뒤에 , , , , , 로 시작하면 경구개 접근음으로, 앞에서는 연구개 접근음으로, , , , 로 시작하면 양순 연구개 접근음으로 소리난다.

역사

편집

훈민정음》(1446)에서 목구멍을 본따서 만든 글자로 처음 등장했다. ㅇ을 기본 모양으로 하여 (옛이응) · (여린히읗) · 등의 모양을 만들었으며, 등의 합자에도 쓰였다.

ㅇ은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로는 불청불탁목구멍소리로 분류되어 있고, 제자해에는 ‘옛이응 의 소리가 ㅇ과 비슷하다’는 설명이 있다. ("唯牙之ㆁ,[중략]其聲與ㅇ相似") 이에 종래의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어와는 달리 15세기 한국어에서는 ㅇ이 첫소리에 올 때 음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소릿값은 성문 반찰음([ɦ])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자음 /ㄹ/ · /ㅿ/와 반모음 /j/의 뒤에 나타났다.[2] 그러나 2020년대 연구에서는 15세기 한국어에서 첫소리 ㅇ의 소릿값은 현대 한국어와 같이 없다고 본다.[3]

 
훈민정음 언해.

ㅇ받침은 훈민정음에는 종성이 없는 한자음에 채워넣기 위한 글자였고, 지금의 ㅇ받침에 해당하는 발음은 (옛이응)받침으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솅조ᇰ’(世宗)의 첫글자는 ㅇ받침이므로 /셰/로 읽고 둘쨋글자는 옛이응 받침이므로 /종/으로 읽는 것이다. 하지만 《월인천강지곡》(1447) 등에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쓰기 시작하면서 채워넣기 위한 ㅇ받침의 쓸모가 사라졌다. 이후 /ŋ/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로 ㅇ받침과 ㆁ받침이 혼용되다가 17세기가 되어 ㅇ받침으로 합쳐졌다.

훈몽자회》(1527)에서는 ㆁ의 발음 예시로 ‘ᅌᅵ으ᇰ(異凝)’을, ㅇ의 예시로 ‘이(伊)’를 들었다.[4] 이것이 글자의 이름으로 굳어졌는데, 17세기에 ㆁ이 쓰이지 않게 되면서 ㅇ의 이름이 ‘이응’이 되었다. 또한 훈몽자회에서는 다음 순서에 이 있었는데, 의 자리를 ㅇ이 차지하면서 다음에 ㅇ이 오게 됐다.

코드값

편집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47 ㅇ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ᄋᅠ U+110B ᄋ
끝소리 ᅟᅠᆼ U+11BC ᆼ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D9 
끝소리  U+F86B 
반각 U+FFB7 ᄋ

[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것을 조금 어려운 말로 '영자음(零子音, Zero consonant)'이라 한다.
  2. 고영근 (2010).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제3판. 서울: 집문당. 18쪽. ISBN 9788930314787. 
  3. 고경재, 〈15세기 국어 ‘특수 어간 교체’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주로 후음 ‘ㅇ’의 음가와 ‘흔적’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72, 우리말학회, 2023년 참조.
  4. 훈몽자회 언문자모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