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크룩스
가크룩스(영어: Gacrux)[11][12] 또는 남십자자리 감마(γ Cru)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M형 거성이다.[9] 겉보기등급은 +1.63으로[13] 남반구 하늘의 남십자자리에서 세 번째, 밤하늘 전체에서 26 번째로 밝다.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로부터 하다르를 이은 가상의 선을 연장시키면 선분은 가크룩스로부터 북쪽의 1° 안쪽을 지나가며 이 방법으로 남십자자리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 히파르코스 계획 중 측정된 연주시차 값을 이용하여 구한 가크룩스까지의 거리는 태양으로부터 약 88.6 광년 (27.2 파섹)이다.[2]
가크룩스 Gacrux | ||
남십자자리. 가크룩스는 십자가 모양에서 12시 방향의 γ(남십자자리 감마)이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남십자자리 감마 (γ Crucis)[1] | |
밝은 별 목록 | HR 4763[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08903[1]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240019[1] | |
소천성표 | CD−56 4504[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61084[1] | |
다른 이름 | 가크룩스, Gl 470, LTT 4752[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남십자자리 | |
적경(α) | 12h 31m 09.95961s[2] | |
적위(δ) | −57° 06′ 47.5684″[2] | |
겉보기등급(m) | +1.64[3] J: −1.99 | |
절대등급(M) | −0.52[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20.6 km/s[5] | |
적경 고유운동 | +28.23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265.08 mas/yr[2] | |
연주시차 | 36.83 ± 0.18 mas[2] | |
성질 | ||
광도 | 820±80 L☉[6] | |
분광형 | M3.5 III[7] | |
U-B 색지수 | +1.78[3] | |
B-V 색지수 | +1.59[3] | |
변광성 분류 | SRV[7] | |
추가 사항 | ||
질량 | 1.5 ± 0.3 M☉[8] | |
반지름 | 84 R☉[9] | |
표면온도 | 3,626 K[10] | |
항성 목록 |
명칭
편집남십자자리 감마 γ Crucis는 이 별을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가크룩스는 대략 적위상으로 −60°에 자리잡고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가크룩스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나 이상하게도 당대 이 별에는 고유 명칭이 붙어있지 않았다.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 때문에 당시 북위 40° 이북에서도 이 별을 볼 수 있었다. 천문학자 프톨레미는 가크룩스를 센타우루스자리의 일부로 여겼다.[14] 역사적 명칭 가크룩스 Gacrux를 최초로 이 별에 붙인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엘리자 H. 버릿이었다.[15][16] 2016년 7월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상기 명칭 가크룩스 Gacrux를 남십자자리 감마에 공식적으로 부여하였다.[17][18]
중화권에서 가크룩스는 아크룩스, 베크룩스, 남십자자리 델타와 함께 십자가(十字架)를 구성한다.[19] 이들 중 가크룩스 하나만을 부르는 명칭은 십자가1(十字架一, 십자가의 첫 번째 별)이다.[20]
오스트레일리아 중부 허만스버그 인근에 거주하는 아란다, 루리차 족은 가크룩스-남십자자리 델타(이마이)-센타우루스자리 감마-센타우루스자리 델타의 네 별이 이루는 사각형을 '이리트징가'(수리매)로 부른다.[21]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지역(특히 브라질)에서는 별의 색에 기인하여 가크룩스를 '후비데아' Rubídea (루비 같은)로 부른다.
물리적 특징
편집주기 (일) |
진폭 (등급) |
---|---|
12.1 | 0.016 |
15.1 | 0.027 |
16.5 | 0.016 |
54.8 | 0.026 |
82.7 | 0.015 |
104.9 | 0.016 |
가크룩스의 MK 시스템 항성분광형은 M3.5 III이다.[7] 이 별은 주계열을 이탈하여 적색거성이 되었으나 점근거성가지가 아닌 적색거성가지상에 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9] 태양 질량의 약 1.3 배 정도임에도 불구하고[8] 가크룩스의 현재 반지름은 태양의 84 배까지 부풀어올라 있다.[9] 가크룩스는 팽창된 외포층으로부터 태양 광도의 대략 820 배에 해당되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6] 유효 온도는 3626 K으로[10] 가크룩스의 색은 뚜렷한 적색-오렌지색을 띠어 분광형과 잘 부합된다. 이 별은 맥동 주기가 여럿 있어 준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된다.[7](왼쪽 표 참고)
가크룩스의 대기에는 바륨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원소는 보다 진화가 진척된 동반성으로부터 온 물질로 설명되며, 이런 동반성은 향후 백색왜성으로 진화할 것이다.[22] 그러나 가크룩스 근처에서 아직 이 동반성을 찾아내지 못했다. +6.4 등급 밝기의 짝별이 주성으로부터 방위각상 128° 위치에 2 분각만큼 떨어져 있는데 쌍안경을 이용하면 이 별을 주성과 분리하여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400 광년 떨어져 있고 가크룩스와는 관계없는 안시 동반성일 뿐이다.[23]
문화
편집가크룩스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의 국기에 남십자성의 일원으로 포함되어 있다.
브라질의 국기에서 가크룩스는 바이아주를 상징한다.[24] 국기에서 가크룩스와 아크룩스를 지나가는 선의 위치는 브라질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승인된 1889년 11월 15일 오후 8시 30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바라본 하늘의 자오권이다.[2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gam Cru -- High proper-motion Star”. 《SIMBAD》.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 ↑ Elgarøy, Øystein; Engvold, Oddbjørn; Lund, Niels (March 1999), “The Wilson-Bappu effect of the MgII K line - dependence on stellar temperature, activity and metallicity”, 《Astronomy and Astrophysics》 343: 222–228, Bibcode:1999A&A...343..222E
- ↑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öff. Astron. Rechen-Inst. Heidelb》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 ↑ 가 나 Ohnaka, K. (January 2014), “High spectral resolution spectroscopy of the SiO fundamental lines in red giants and red supergiants with VLT/VISIR”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61, arXiv:1310.7972, Bibcode:2014A&A...561A..47O, doi:10.1051/0004-6361/201321581
- ↑ 가 나 다 라 마 Tabur, V.; 외. (December 2009),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0 (4): 1945–1961, arXiv:0908.3228, Bibcode:2009MNRAS.400.1945T, doi:10.1111/j.1365-2966.2009.15588.x
- ↑ 가 나 Murdoch, Kaylene; Clark, M.; Hearnshaw, J. B. (January 1992), “The radial-velocity variability of Gamma Cruci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54: 27–29, Bibcode:1992MNRAS.254...27M, doi:10.1093/mnras/254.1.27
- ↑ 가 나 다 라 Ireland, M. J.; 외. (May 2004), “Multiwavelength diameters of nearby Miras and semiregular variabl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50 (1): 365–374, arXiv:astro-ph/0402326, Bibcode:2004MNRAS.350..365I, doi:10.1111/j.1365-2966.2004.07651.x
- ↑ 가 나 Cohen, Martin; 외. (November 1996), “Spectral Irradiance Calibration in the Infrared. VII.New Composite Spectra, Comparison with Model Atmospheres, and Far-Infrared Extrapolations”, 《Astronomical Journal》 112: 2274, Bibcode:1996AJ....112.2274C, doi:10.1086/118180
- ↑ “Audio Pronunciation Guide”. 《Starry Night Education》. Simulation Curriculum Corp. 2009. 2019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ress, 1963.
- ↑ “Gacrux/Gamma Crucis 2?”. SolStation.com. 2011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Lesikar, Arnold V. “Gacrux”. Dome Of The Sky. 2011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1월 30, 2011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 Raymond Haynes; Roslynn D. Haynes; David Malin; Richard McGee (1996), 《Explorers of the Southern Sky: A History of Australian Astr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쪽, ISBN 978-0-521-36575-8
- ↑ Gomez, A. E.; Luri, X.; Grenier, S.; 외. (March 1997), “Absolute magnitudes and kinematics of barium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19: 881–885, Bibcode:1997A&A...319..881G
- ↑ Kaler, James B., “GACRUX (Gamma Cruc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 ↑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 ↑ 《Flag of Brazil》, World Afropedia, 2019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Gacrux/Gamma Crucis 2”. 《SolStation》. 2008년 9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