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크룩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M형 거성

가크룩스(영어: Gacrux)[11][12] 또는 남십자자리 감마(γ Cru)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M형 거성이다.[9] 겉보기등급은 +1.63으로[13] 남반구 하늘의 남십자자리에서 세 번째, 밤하늘 전체에서 26 번째로 밝다.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로부터 하다르를 이은 가상의 선을 연장시키면 선분은 가크룩스로부터 북쪽의 1° 안쪽을 지나가며 이 방법으로 남십자자리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 히파르코스 계획 중 측정된 연주시차 값을 이용하여 구한 가크룩스까지의 거리는 태양으로부터 약 88.6 광년 (27.2 파섹)이다.[2]

가크룩스
Gacrux
남십자자리. 가크룩스는 십자가 모양에서 12시 방향의 γ(남십자자리 감마)이다.
남십자자리. 가크룩스는 십자가 모양에서 12시 방향의 γ(남십자자리 감마)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남십자자리 감마 (γ Crucis)[1]
밝은 별 목록 HR 4763[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08903[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40019[1]
소천성표 CD−56 4504[1]
히파르코스 목록 HIP 61084[1]
다른 이름 가크룩스, Gl 470, LTT 4752[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남십자자리
적경(α) 12h 31m 09.95961s[2]
적위(δ) −57° 06′ 47.5684″[2]
겉보기등급(m) +1.64[3]
J: −1.99
절대등급(M) −0.52[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20.6 km/s[5]
적경 고유운동 +28.23 mas/yr[2]
적위 고유운동 −265.08 mas/yr[2]
연주시차 36.83 ± 0.18 mas[2]
성질
광도 820±80 L[6]
분광형 M3.5 III[7]
U-B 색지수 +1.78[3]
B-V 색지수 +1.59[3]
변광성 분류 SRV[7]
추가 사항
질량 1.5 ± 0.3 M[8]
반지름 84 R[9]
표면온도 3,626 K[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명칭

편집
 
남십자자리. 가크룩스는 그림의 십자가에서 12시 방향에 있는 붉은 별이다.

남십자자리 감마 γ Crucis는 이 별을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가크룩스는 대략 적위상으로 −60°에 자리잡고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가크룩스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나 이상하게도 당대 이 별에는 고유 명칭이 붙어있지 않았다.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 때문에 당시 북위 40° 이북에서도 이 별을 볼 수 있었다. 천문학자 프톨레미는 가크룩스를 센타우루스자리의 일부로 여겼다.[14] 역사적 명칭 가크룩스 Gacrux를 최초로 이 별에 붙인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엘리자 H. 버릿이었다.[15][16] 2016년 7월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상기 명칭 가크룩스 Gacrux를 남십자자리 감마에 공식적으로 부여하였다.[17][18]

중화권에서 가크룩스는 아크룩스, 베크룩스, 남십자자리 델타와 함께 십자가(十字架)를 구성한다.[19] 이들 중 가크룩스 하나만을 부르는 명칭은 십자가1(十字架一, 십자가의 첫 번째 별)이다.[20]

오스트레일리아 중부 허만스버그 인근에 거주하는 아란다, 루리차 족은 가크룩스-남십자자리 델타(이마이)-센타우루스자리 감마-센타우루스자리 델타의 네 별이 이루는 사각형을 '이리트징가'(수리매)로 부른다.[21]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지역(특히 브라질)에서는 별의 색에 기인하여 가크룩스를 '후비데아' Rubídea (루비 같은)로 부른다.

물리적 특징

편집
맥동 주기[7]
주기
(일)
진폭
(등급)
12.1 0.016
15.1 0.027
16.5 0.016
54.8 0.026
82.7 0.015
104.9 0.016

가크룩스의 MK 시스템 항성분광형은 M3.5 III이다.[7] 이 별은 주계열을 이탈하여 적색거성이 되었으나 점근거성가지가 아닌 적색거성가지상에 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9] 태양 질량의 약 1.3 배 정도임에도 불구하고[8] 가크룩스의 현재 반지름은 태양의 84 배까지 부풀어올라 있다.[9] 가크룩스는 팽창된 외포층으로부터 태양 광도의 대략 820 배에 해당되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6] 유효 온도는 3626 K으로[10] 가크룩스의 색은 뚜렷한 적색-오렌지색을 띠어 분광형과 잘 부합된다. 이 별은 맥동 주기가 여럿 있어 준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된다.[7](왼쪽 표 참고)

가크룩스의 대기에는 바륨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원소는 보다 진화가 진척된 동반성으로부터 온 물질로 설명되며, 이런 동반성은 향후 백색왜성으로 진화할 것이다.[22] 그러나 가크룩스 근처에서 아직 이 동반성을 찾아내지 못했다. +6.4 등급 밝기의 짝별이 주성으로부터 방위각상 128° 위치에 2 분각만큼 떨어져 있는데 쌍안경을 이용하면 이 별을 주성과 분리하여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400 광년 떨어져 있고 가크룩스와는 관계없는 안시 동반성일 뿐이다.[23]

문화

편집

가크룩스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의 국기남십자성의 일원으로 포함되어 있다.

브라질의 국기에서 가크룩스는 바이아주를 상징한다.[24] 국기에서 가크룩스와 아크룩스를 지나가는 선의 위치는 브라질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승인된 1889년 11월 15일 오후 8시 30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바라본 하늘의 자오권이다.[2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am Cru -- High proper-motion Star”. 《SIMBAD》.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4. Elgarøy, Øystein; Engvold, Oddbjørn; Lund, Niels (March 1999), “The Wilson-Bappu effect of the MgII K line - dependence on stellar temperature, activity and metallicity”, 《Astronomy and Astrophysics》 343: 222–228, Bibcode:1999A&A...343..222E 
  5.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öff. Astron. Rechen-Inst. Heidelb》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6. Ohnaka, K. (January 2014), “High spectral resolution spectroscopy of the SiO fundamental lines in red giants and red supergiants with VLT/VISIR”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61, arXiv:1310.7972, Bibcode:2014A&A...561A..47O, doi:10.1051/0004-6361/201321581 
  7. Tabur, V.; 외. (December 2009),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0 (4): 1945–1961, arXiv:0908.3228, Bibcode:2009MNRAS.400.1945T, doi:10.1111/j.1365-2966.2009.15588.x 
  8. Murdoch, Kaylene; Clark, M.; Hearnshaw, J. B. (January 1992), “The radial-velocity variability of Gamma Cruci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54: 27–29, Bibcode:1992MNRAS.254...27M, doi:10.1093/mnras/254.1.27 
  9. Ireland, M. J.; 외. (May 2004), “Multiwavelength diameters of nearby Miras and semiregular variabl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50 (1): 365–374, arXiv:astro-ph/0402326, Bibcode:2004MNRAS.350..365I, doi:10.1111/j.1365-2966.2004.07651.x 
  10. Cohen, Martin; 외. (November 1996), “Spectral Irradiance Calibration in the Infrared. VII.New Composite Spectra, Comparison with Model Atmospheres, and Far-Infrared Extrapolations”, 《Astronomical Journal》 112: 2274, Bibcode:1996AJ....112.2274C, doi:10.1086/118180 
  11. “Audio Pronunciation Guide”. 《Starry Night Education》. Simulation Curriculum Corp. 2009. 2019년 4월 26일에 확인함. 
  12.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3.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14.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ress, 1963.
  15. “Gacrux/Gamma Crucis 2?”. SolStation.com. 2011년 11월 3일에 확인함. 
  16. Lesikar, Arnold V. “Gacrux”. Dome Of The Sky. 2011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3일에 확인함. 
  17.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8.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9.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20.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1월 30, 2011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21. Raymond Haynes; Roslynn D. Haynes; David Malin; Richard McGee (1996), 《Explorers of the Southern Sky: A History of Australian Astr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쪽, ISBN 978-0-521-36575-8 
  22. Gomez, A. E.; Luri, X.; Grenier, S.; 외. (March 1997), “Absolute magnitudes and kinematics of barium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19: 881–885, Bibcode:1997A&A...319..881G 
  23. Kaler, James B., “GACRUX (Gamma Cruc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24.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25. 《Flag of Brazil》, World Afropedia, 2019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좌표:   12h 31m 09.95961s, −57° 06′ 47.5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