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결
간결(慳結)은 애결(愛結) · 에결(恚結) · 만결(慢結) · 무명결(無明結) · 견결(見結) · 취결(取結) · 의결(疑結) · 질결(嫉結) · 간결(慳結)의 9결(九結) 가운데 하나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에 따르면, 간결은 심비린(心鄙吝) 즉 추한 아낌의 마음작용이다. 즉, 마음이 비루하게 인색한 것이다.[1][2]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간결은 이양(利養), 즉 자신을 이익되게 하고 보양시키는 것, 즉 자신의 이익과 이득[3]에 대해 탐착(耽著: 꽉 들러붙어 떠나지 못함)하여 그것의 자생구(資生具, 산스크리트어: upakaraṇa) 즉 이양을 가져오는 도구와 수단[4][5]에 대해 심인석(心吝惜) 즉 아까와하고 애석해 하는 마음 즉 인색의 마음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마음이 간결 즉 인색의 마음작용에 의해 묶이게[所繫] 되면 자생구를 축적(畜積)하는 것을 중히 여기고 원리(遠離: 멀리 떠남)는 존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자생구를 축적(畜積)하는 것을 중히 여기기 때문에 불선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선을 행하지 않게 된다. 불선은 행하고 선은 행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세의 고(苦)를 불러들이고 그 고(苦)와 상응하게 된다.[6][7][8][9]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b26 - T26n1542_p0693b27. 간결(慳結)
"慳結云何。謂心鄙吝。"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7 / 448. 간결(慳結)
"간결(慳結)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비루하고 인색한 것이다." - ↑ 佛門網, "利養".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利養: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nourish oneself by gain; gain; avarice.
出處: Other
解釋: 利養 [py] lìyăng [wg] li-yang [ko] 리양 riyang [ja] リヨウ riyō ||| (1) Lucrative offerings. [Reeves] (2) A profit; those things which are gained as a profit; a benefit 利益. [Nakamura] (3) To be greedy for profit. (?) [Yokoi]
頁數: [Dictionary References] Naka1411c ZGD1279a Iwa831 Yo541 DFB [Credit] greeves cmuller(entry)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以利益保養身體。
出處: A Digital Edition of A Glossary of Dharmarakṣ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by Seishi Karashima, 1998
解釋:
利養 (lì yǎng) ( “profits and necessities, gain” )
{《漢語大詞典》2.640a(法華經)} ; {《大漢和辞典》2.247c(管子)} ;
Dharmarakṣa: {67c1} 爾時侍從 志懈怠者 求索利養 親屬交友 志所願求 但慕名聞 周旋行來 詣諸族姓(v)
{K.27.7} lābha~
Kumārajīva: {L.5b5} 利
Dharmarakṣa: {107a10} 是我等無忍 猗著於利養(v)
{K.272.9} lābha-satkāra-
Kumārajīva: {L.36c4} 利養
Dharmarakṣa: {134a3} 又是比丘不猗利養,不貪衣鉢。是等法師志性質直(p)
{K.482.1} lubdha~ (v.l. gṛddha~)
Kumārajīva: {not found at L.62a15}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lābha, lābha-satkāra; āmiṣa, jñātra, pūjana, pūjā, bhoga, lābha-lobha*, satkāra-lābha.
頁數: P 277-279" - ↑ 佛門網, "資生具".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資生具: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upakaraṇa, jīvitōpakaraṇa, pariṣkāra, pariṣkāratā. Bhāva.
頁數: P.3587-P.3592" - ↑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upakarana".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upakarana: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upakaraNa &c. see %{upa-} 1. %{kR}.
2 (mwd) upakaraNa n. the act of doing anything for another , doing a service or favour , helping , assisting , benefiting Pan5cat. Sa1h. Subh. &c. ; instrument , implement , machine , engine , apparatus , paraphernalia (as the vessels at a sacrifice &c.) Ka1tyS3r. S3a1n3khGr2. Ya1jn5. Mn. &c. ; anything added over and above , contribution , expedient ; means of subsistence , anything supporting life ; any object of art or science ; anything fabricated Mn. Sus3r. Katha1s. Car. &c. ; the insignia of royalty W. ; the attendants of a king L.
3 (mwd) upAkaraNa n. the act of bringing near , fetching S3Br. Pa1rGr2. &c. ; setting about , preparation , beginning , commencing A1p. A1s3vS3r. & Gr2. Ka1tyS3r. &c. ; commencement of reading the Veda (after the performance of preparatory rites , as initiation &c.) S3a1n3khGr2. iv , 5 , 1 ; N. of a particular Stotra or prayer at sacrifices Ka1tyS3r. iii.
4 (cap) upakaraNa n. doing a service, helping, assistance; instrument, supplement, means, expedient; p. {-Na3vant}.
5 (cap) upAkaraNa n. bringing near, fetching, also=seq." -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4권. p. T31n1605_p0677a10 - T31n1605_p0677a13. 간결(慳結)
"慳結者。謂耽著利養於資生具其心吝惜。慳結所繫故。愛重畜積不尊遠離重畜積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 -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4권. p. 77 / 159. 간결(慳結)
"간결이란 이로움에 탐닉하여 생활필수품에 대한 인색한 마음을 가리킨다. 간결에 계류되는 까닭에 저축하는 것만을 아껴서 원리법(遠離法)을 존중하지 않게 된다. 저축하는 것만을 중히 여기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하여 마침내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 ↑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6권. p. T31n1606_p0723c27 - T31n1606_p0724a01. 간결(慳結)
"慳結者。耽著利養於資生具其心吝惜。慳結所繫故。愛重畜積不尊遠離。重畜積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 -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6권. p. 152 / 388. 간결(慳結)
"‘간결’이란 이로움에 탐닉하여 생활필수품에 대한 인색한 마음을 가리킨다.
[釋] 간결에 얽매이는 까닭에 저축하는 것만을 아껴서 멀리 여의는 법[遠離法]을 존중하지 않게 된다. 저축하는 것만을 중히 여기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하여 마침내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