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어
고구려어(高句麗語)는 고구려에서 쓰인 언어를 지칭한다.
사용 국가 | 고구려 |
---|---|
사용 민족 | 고구려인 |
언어 인구 | 불명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형용사-명사 후치사 사용 |
사멸 | 7-10세기 이후? |
언어 계통 | 한국어족 고구려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고구려 |
언어 부호 | |
ISO 639-3 | zkg 고구려어
|
삼국시대 고구려 |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같은 언어권[1]에 부여, 옥저, 동예가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읍루, 말갈의 언어는 고구려와 유독 다르다[2]는 기록이 있다.
직접적으로 고구려어의 뜻이 전해지는 단어는 주몽(명사수), 구루(골/성), 다물(옛 영토를 되찾다[3]) 정도로 그 실상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해 인명, 지명, 관직, 연호등에 전해지는 고구려어를 비교언어학과 한자음 재구를 통해 추출하고 있다.
4세기 이후의 기록에는 고구려는 백제와 언어가 같다는 기록[4]이 있어 백제어와 고구려어는 좋은 비교대상이 된다. 하지만 백제어와 신라어가 같다는 기록도 있어 고구려어 또한 신라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어의 형태
편집고구려 금석문엔 한문의 어순과 다른 일종의 변체한문(變體漢文)이 쓰여져 한국어의 요소를 일부 지니고 있음이 확인된다. 556년에 고구려 평양성에서 만들어진 평양성석각(平壤城石刻) 제4석에 쓰인 한문을 보면
丙戌十二月中漢城下後(部)小兄文達節自此西北行步之.
병술년 12월에 한성 하후부의 소형 문달이 여기서부터 서북방향을 걸쳤다(걸쳐 축성하였다).
여기서 中,節,之는 한문법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글자들로 각각 '中'는 -에, '節'은 -때에, '之'는 한국어의 종결어미 '-다'에 영향을 준 것으로 중원고구려비, 남산신성비에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고구려의 변체한문은 신라에 전해져 이두 성립에 큰 영향을 준다.[5]
어휘
편집왕(王)을 부르는 어휘의 비교
고구려 | 부여 | 백제 | 신라 | 가야 | |
---|---|---|---|---|---|
한자 | 皆 | 加 | 鞬吉支/於羅瑕 | 居西干 | 干 |
발음 | 개 | 가 | 건길지 / 어라하 | 거서간 | 간 |
왕 | 가이 | 가 | 긔 / 가 | 간 | 간 |
존칭 접미사 | 支(ki)[6] | * | 支 | 支 | 支 |
임병준(2000)고구려말의 어휘 일람[7]
※k, t, p 등은 거센소리의 표기가 아니다.
표기 | 발음 | 뜻 | 백제, 신라말 | 고려어 | 중세국어 | 현대국어 |
---|---|---|---|---|---|---|
達 | tara | 山, 高 | 珍阿, 梁, 等良 | 大 | 달-(附),따ㅎ(地) | 양달, 다람쥐, 다락,드높, 돋 |
忽 | kuru | 城 | 忽, 屈, 骨 | *** | 골ㅎ(洞, 州) | 골, 고을 |
加尸 | kara | 犁 | *** | 把敢大 | 갈-(耕), 가래 | 갈-, 가래 |
加支 | kati | 菁→茄 | *** | *** | 가디(茄) | 가지 |
押, 岬 | kusi | 嶽, 串 | 菅, 古尸, 岬, 串 | 古尸 | 곶(串), 골(菅), | 곶, 봉곳, |
加火 | kapɐrɐ | 中 | *** | 戞噴 | 가(中) | 가운데 |
加兮阿 | kakia | 連 | *** | *** | (닛-(連)) | (잇-) |
甘彌 | kamamɐi | 鷲 | *** | *** | 鷲 黑鷹 | *** |
甲, 甲比 | kapa | 穴 | *** | *** | (구무) | (구멍) |
皆(次) | kəsi | 王 | 居西, 居瑟,吉支 | *** | 항것(主),긔자(王) | *** |
伯 | pa(ki) | 逢 | *** | *** | 보-(見) | 보- |
居尸 | kasi | 心 | ≠心音 | *** | 가삼 | 가슴 |
𢈴 | kaŋ | 𢈴 | *** | *** | *** | (광(倉庫)) |
呑, 旦 | tɐrɐ | 谷 | *** | *** | *** | *** |
木根, 斬 | pərəki | 根 | *** | *** | 블휘(根) | 뿌리 |
木根, 斬 | pərəki | 斬 | *** | *** | 버히-(斬) | 베- |
古斯 | kusi(ri) | 玉 | *** | 區戌 | 구슬(玉) | 구슬 |
馬, 勿, 買 | mərə/mɐrɐ/mɐi | 水, 川 | 勿, 買 | *** | 沒, 悶 | 믈(水),물 |
骨尸 | kurusi | 朽 | *** | *** | 곯-(膿) | 곯-, 곪- |
內, 奴, 惱 | na/nu | 壤 | *** | *** | 나라(國), 누리(世) | 나라, 누리 |
骨衣 | kutə(rə) | 荒 | 居柒 | *** | 거츨-(荒) | 거칠- |
功木 | kumuku | 熊 | 固麻, 熊只, 甘蓋 | *** | 고마(熊),곰 | 곰 |
滅烏 | mɐraka | 駒 | *** | *** | 야지(駒) | 망아지 |
烏 | aka | 幼, 少 | *** | *** | -아지 | -아지 |
滅 | mɐrɐ | 馬 | *** | 末 | 말(馬) | 말 |
屈火 | kupəre | 曲 | 屈阿火, 求佛 | *** | 굽-(曲) | 굽- |
別, 平吏 | pɐrɐ | 平原 | 夫里, 火, 伐 | *** | 벌(野) | 벌, 벌판 |
斤 | nɐrɐsi | 並 | *** | *** | *** | (나란하-) |
今勿 | kəmərə | 黑 | 今勿 | *** | 검-(黑) | 검- |
乃勿 | namərə | 鈆 | *** | 那勿 | 납(鉛) | 납 |
內米 | numərə | 池 | *** | *** | *** | *** |
吐 | taka | 堤 | 吐 | *** | 둑(堤), 언턱 | 둑, 언덕 |
豉鹽 | sirama | 冬 | *** | *** | *** | (시리-) |
買尸 | mɐiri | 蒜 | *** | *** | 마날(蒜) | 마늘 |
巴衣,波兮 | pakərə/paki | 巖 | *** | *** | 바회(巖)바위 | |
斤尸 | kərə | 文 | *** | 乞, 根 | 글(文) | 글 |
伐力 | pɐrəkə | 綠 | *** | 噴 | 파라하-(綠),프르- | 파랗-, 푸르- |
夫斯, 扶蘇 | pasi/pasu | 松 | *** | 봇(樺) | *** | |
於斯 | nɐrɐsi | 斧 | *** | *** | 날ㅎ(斤, 刃) | 날, 칼날 |
於 | nɐrɐ | 위치자리토씨 | *** | *** | 날/늘 | 늘 |
沙伏, 沙非 | sapə(rəkə) | 赤 | 所比 | 質背 | 싯븕-(赤), 새배(曉) | 붉-, 새벽 |
沙熱 | sanara | 淸 | *** | *** | 사날-(凉) | 서늘하- |
伊 | i | 맺음법씨끝 | *** | *** | -이 | -이 |
密(三) | miri | 龍(←玄) | 密, 推, 彌知, 三 | 米立 | 미르(龍) | 미르(龍) |
述 | suru | 車 | *** | 車衣 | 술위(車) | 수레 |
述, | suru | 上 | *** | *** | 수리(端午) | 수릿날 |
首泥, 述尒 | sunərə | 峯 | *** | *** | 수늙(嶺) | *** |
安市, 安十 | arasə | 丸 | *** | 安良, 阿乙 | 알ㅎ(丸, 卵) | 알 |
鳥斯含 | tusikəmə[8] | 兎 | *** | 吐吉 | 톳기(兎) | 토끼 |
於支 | nɐrɐki | 翼 | *** | *** | 날개(翼) | 날개 |
淵, 於乙 | əri | 泉 | *** | 烏沒, 五悶 | 우믈(井) | 우물 |
肖巴 | supa | 酒(←豊) | 述, 舒發, 舒弗 | 酥孛, 數本 | 수울(酒) | 술 |
波旦, 波豊 | patɐrɐ/patərə | 海 | 波珍 | 把剌 | 바랄, 바다(海) | 바다 |
於斯 | əsi | 橫 | *** | *** | 엇-(橫) | 엇- |
金, 豉鹽 | siru | 休 | *** | *** | 쉬-(休) | 쉬- |
釗, 斯由 | siru | 金, 鐵 | 舍輪, 省良, 實於 | 歲, 遂 | 쇠(鐵) | 쇠, 시루(熟鐵)- |
고구려어 수록 자료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三國志 魏志 東夷 高句麗傳: 東夷舊語 以爲夫餘別種言語諸事 多與夫餘同.(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 언어가 같은 것이 많았다)
三國志 魏志 東夷 沃沮傳: 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옥저는 고구려와 언어가 같다)
三國志 魏志 東夷 濊傳 :言語法俗大抵與句麗同 (예족은 고구려와 언어와 풍습이 같다) - ↑ 後漢書:挹婁,古肅愼之國也...人形似夫餘, 而言語各異(후한서 : 읍루는 옛 숙신이다..사람들은 부여와 닮았지만 유독 언어가 다르다.)
北史 勿吉,靺鞨 : 在高句麗北[...]言語獨異(북사 말갈 : 고구려 북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언어가 고구려와 다르다) - ↑ http://hanja.naver.com/word?q=%E5%A4%9A%E5%8B%BF
- ↑ 梁書 百濟:今言語服章略與高驪同 (양서 백제전: 지금 언어와 복장이 고구려와 같다.)
南史 百濟:言語服章略與高麗同(남사 백제전: 언어와 의복이 고구려와 같다) - ↑ 이도학(李 道 學) 2004 : 삼국의 상호 관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정체성
- ↑ 도수희(2003)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자질과 그 어휘 연구
- ↑ 임병준(2000) 고구려말의 차자표기 연구
- ↑ 류 렬(1983:289) 「烏」를 「鳥」의 오기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