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타밀어
고대 타밀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 쓰인 타밀어의 옛 형태이다.
사용 지역 | 고대 인도 타밀라캄 |
---|---|
문자 | 타밀 브라흐미 문자, 이후 바텔루투 문자, 팔라바 문자 |
언어 계통 | 드라비다어족 남드라비다어파 타밀칸나다어군 타밀코다구어군 고대 타밀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oty 고대 타밀어
|
글로톨로그 | oldt1248 (Old Tamil)[1] |
가장 오래된 고대 타밀어 기록은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 사이에 동굴 벽과 토기에 새겨진 것들이다. 이들 새김글은 브라흐미 문자를 변형한 타밀 브라흐미 문자로 되어 있다.[2] 고대 타밀어로 된 긴 글 중 가장 오래된 것은 타밀어 문법과 시학을 다룬 《톨카피얌》(Tolkāppiyam)으로, 그 내용 중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3] 고대 타밀어로 된 문학 작품도 많이 남아 있다. 상감 문학이라 불리는 2,381편의 시가 대표적이다. 이 시들은 대체로 기원전 1세기에서 서기 5세기 사이에 쓰인 것으로 생각되는데,[3][4][5] 이것이 사실이라면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세속적 텍스트가 된다.[6] 다른 고대 타밀어 문학 작품으로는 《티루쿠랄》(Thirukural), 《실라파티카람》(Silappatikaram), 《마니메칼라이》(Maṇimēkalai), 그 밖의 윤리적·교훈적 내용을 담은 글들이 있다. 이들은 서기 5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쓰였다.[3]
고대 타밀어는 드라비다조어의 여러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음 체계,[7] 음절 구조,[8] 다양한 문법적 특징 등이 있다.[9] 그 중 하나는 별도의 현재시제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드라비다조어처럼 고대 타밀어에는 과거시제와 비과거시제의 두 가지 시제만 있었다. 또한 고대 타밀어 동사는 별도의 부정 굴절형을 갖고 있었다. (예: kāṇēṉ [kaːɳeːn] காணேன்) “나는 보지 않는다”, kāṇōm [kaːɳoːm](காணோம் “우리는 보지 않는다”)[10] 명사는 동사처럼 인칭 표지를 받을 수 있었다. (예: peṇṭirēm [peɳʈiɽeːm] பெண்டிரேம்) “우리는 여자들이다” < peṇṭir [peɳʈiɽ] பெண்டிர்) “여자들”, 1인칭 복수 표지 -ēm (ஏம்).[11]
고대·중세·현대 타밀어 사이에는 상당한 문법적 차이가 있지만, 중세와 현대 타밀어 문법의 여러 특징은 고대 타밀어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3]
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Old Tamil〉.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Mahadevan 2003, 90–95쪽
- ↑ 가 나 다 라 Lehmann 1998, 75–76쪽
- ↑ 최근에 헤르만 티컨은 상감 문학의 연대와 그것이 쓰여진 언어가 고대 타밀어라는 데 의문을 제기했다. 그에 따르면 상감 문학은 서기 9세기 판디아에서 지어진 것으로, 오래되어 보이도록 일부러 고어투로 쓰인 것이다(Tieken 2001 ). 그러나 그가 제시한 연대는 많은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예컨대 다음을 참고하라.
- Hart, G.; Tieken, H. (2004). “Kāvya in South India: Old Tamil Caṅkam Poetry”.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24 (1): 180–184. doi:10.2307/4132191. JSTOR 4132191.
- Ferro-Luzzi, G. E.; Tieken, H. (2001). “Kavya in South India: Old Tamil Cankam Poetry”. 《Asian Folklore Studies》 60 (2): 373. doi:10.2307/1179075. JSTOR 1179075.
- Monius, A. E.; Dubianskii, A. M.; Tieken, H. (2002). “Ritual and Mythological Sources of the Early Tamil Poetry”.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61 (4): 1404. doi:10.2307/3096501. JSTOR 3096501.
- Wilden, E. V. A. (2003). “Towards an Internal Chronology of Old Tamil Cankam Literature or How to Trace the Laws of a Poetic Universe”. 《Wiener Zeitschrift für die Kunde Südasiens》 1 (16): 105. doi:10.1553/wzksXLVIs105.
- ↑ Zvelebil, Kamil (1973). 《The Smile of Murugan: On Tamil Literature of South India》 (영어). BRILL. ISBN 978-90-04-03591-1.
- ↑ Tharu & Lalita 1991, 70쪽
- ↑ Krishnamurti 2003, 53쪽
- ↑ Krishnamurti 2003, 92쪽
- ↑ Krishnamurti 2003, 182–193쪽
- ↑ Steever 1998, 24쪽
- ↑ Lehmann 1998, 80쪽
참고 문헌
편집- Iravatham, Mahadevan (2003). 《Early Tamil Epigraphy》.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anskrit and Indian Studies. ISBN 978-0-674-01227-1.
- Iravatham, Mahadevan (1970). 《Tamil-Brahmi Inscriptions》. State Department of Archaeology, Government of Tamil Nadu.
- Krishnamurti, Bhadriraju (2003). 《The Dravidian Language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11-48687-6.
- Lehmann, Thomas (1998). Sanfordr, Steever, 편집. 《The Dravidian Languages》. Routledge. ISBN 978-04-15-41267-4.
- Steever, Sanford (1998), 〈Introduction〉, Steever, Sanford, 《The Dravidian Languages》, London: Routledge, 1–39쪽, ISBN 978-0-415-10023-6
- Spuler, Bertold (1975).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BRILL Academic. 44쪽. ISBN 90-04-04190-7.
- Tharu, Susie; Lalita, Ke, 편집. (1998). 《Women Writing in India: 600 B.C. to the Present, II: The Twentieth Century》. CUNY. ISBN 978-15-58-61028-6.
- Zvelebil, Kamil (1973). 《The Smile of Murugan: On Tamil Literature of South India》 (영어). BRILL. ISBN 978-90-04-035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