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뱅이표
아스키의 64번째 부호
@ 또는 골뱅이표는 아스키의 64번째 부호로, 현대에는 전자 우편 주소를 표기할 때 주로 쓰인다. 영어로는 at sign이라고 부르며 흔히 at(앳)이라고 읽는다. 한국에서는 흔히 골뱅이표 또는 골뱅이라고 부른다.
@ | |
---|---|
골뱅이표 | |
유니코드에서 | U+0040 @ commercial at (HTML: @ ) |
참고 항목 | |
참고 항목 | U+FF20 @ fullwidth commercial at (HTML: @ )U+FE6B ﹫ small commercial at (HTML: ﹫ ) |
문장 부호 | ||||||||||||||||||||||||||||||||||||||||||||||||||||||||||||||||||||||||||||||||||||||||||||||||||||||||||||||||||||||||||||||||||||||||||||||||||||||||||||||||||||||||||||||||||||||||||||||||||||||||||||||||||||||||||||||||||||||||||||||||||||||||||||||||||||||||||||||||||||||||||||||||||||||||||||||||||||||
---|---|---|---|---|---|---|---|---|---|---|---|---|---|---|---|---|---|---|---|---|---|---|---|---|---|---|---|---|---|---|---|---|---|---|---|---|---|---|---|---|---|---|---|---|---|---|---|---|---|---|---|---|---|---|---|---|---|---|---|---|---|---|---|---|---|---|---|---|---|---|---|---|---|---|---|---|---|---|---|---|---|---|---|---|---|---|---|---|---|---|---|---|---|---|---|---|---|---|---|---|---|---|---|---|---|---|---|---|---|---|---|---|---|---|---|---|---|---|---|---|---|---|---|---|---|---|---|---|---|---|---|---|---|---|---|---|---|---|---|---|---|---|---|---|---|---|---|---|---|---|---|---|---|---|---|---|---|---|---|---|---|---|---|---|---|---|---|---|---|---|---|---|---|---|---|---|---|---|---|---|---|---|---|---|---|---|---|---|---|---|---|---|---|---|---|---|---|---|---|---|---|---|---|---|---|---|---|---|---|---|---|---|---|---|---|---|---|---|---|---|---|---|---|---|---|---|---|---|---|---|---|---|---|---|---|---|---|---|---|---|---|---|---|---|---|---|---|---|---|---|---|---|---|---|---|---|---|---|---|---|---|---|---|---|---|---|---|---|---|---|---|---|---|---|---|---|---|---|---|---|---|---|---|---|---|---|---|---|---|---|---|---|---|---|---|---|---|---|---|---|---|---|---|---|---|---|---|---|---|---|
| ||||||||||||||||||||||||||||||||||||||||||||||||||||||||||||||||||||||||||||||||||||||||||||||||||||||||||||||||||||||||||||||||||||||||||||||||||||||||||||||||||||||||||||||||||||||||||||||||||||||||||||||||||||||||||||||||||||||||||||||||||||||||||||||||||||||||||||||||||||||||||||||||||||||||||||||||||||||
전자우편 주소 표기에 널리 사용되기 이전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영어 단어 at과 뜻인 일반적인 상업부호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사과 15개가 2달러인 경우 장부에 간략하게 "apple 15 @ 2$"로 기입하였다.
2004년에 모스 부호에 포함되었고, 콤마트(commat)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모스 부호로는 A와 C의 연타(.--.-.)로 표시한다.
트위터 등에서는 누군가에게 답장을 쓸 때 "OO에게"라는 의미로 사용자이름 앞에 @를 쓴다. (예: @사용자이름)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의미는 같지만 성별을 나타내기 위해 a와 o로 끝나는 단어를 동시에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한다. (예: extranjer@)
언어별 명칭
편집언어권마다 @을 부르는 방법은 다양하다.[1][2][3][4]
- 네덜란드어 - apestaart (원숭이 꼬리)
- 노르웨이어 - grisehale (돼지 꼬리)
- 덴마크어 - snabel (코끼리 코)
- 독일어 - Klammeraffe (거미 원숭이)
- 러시아어 - собака (사바까: 작은 개)
- 바스크어 - bildua (동그란 a)
- 불가리아어 - кльомба (클렴빠: 뜻 없음) 또는 маймунско A (마이문스꼬: 원숭이 A)
- 일본어 - 単価記号 (단가 기호) 또는 アットマーク (at mark의 일본어 발음)
- 이탈리아어 - chiocciola (달팽이)
- 중국어
- 체코어 - zavinac (청어 절임)
- 핀란드어 - kissanhäntä (고양이 꼬리)
- 한국어 - 골뱅이, 앳, 동그람 에이(인쇄용어)
- 헝가리어 - kukac (벌레)
- 말레이시아어 - lion (사자)
- 폴란드어 - małpa (원숭이)
- 히브리어 - שטרודל (슈트루 델)
유니코드
편집미리 보기 | @ | @ | ﹫ | |||
---|---|---|---|---|---|---|
유니코드 이름 | COMMERCIAL AT | FULLWIDTH COMMERCIAL AT | SMALL COMMERCIAL AT | |||
인코딩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유니코드 | 64 | U+0040 | 65312 | U+FF20 | 65131 | U+FE6B |
UTF-8 | 64 | 40 | 239 188 160 | EF BC A0 | 239 185 171 | EF B9 AB |
수치 문자 참조 | @ | @ | @ | @ | ﹫ | ﹫ |
ASCII and extensions | 64 | 40 | ||||
EBCDIC (037, 500, UTF)[5][6][7] | 124 | 7C | ||||
EBCDIC (1026)[8] | 174 | AE | ||||
Shift JIS[9] | 64 | 40 | 129 151 | 81 97 | ||
EUC-JP[10] | 64 | 40 | 161 247 | A1 F7 | ||
EUC-KR[11] / UHC[12] | 64 | 40 | 163 192 | A3 C0 | ||
GB 18030[13] | 64 | 40 | 163 192 | A3 C0 | 169 136 | A9 88 |
Big5[14] | 64 | 40 | 162 73 | A2 49 | 162 78 | A2 4E |
EUC-TW | 64 | 40 | 162 233 | A2 E9 | 162 238 | A2 EE |
LaTeX[15] | \MVAt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hat do you call the @ symbol used in e-mail addresses?
- ↑ “세계 각국의 @세대는 '@'을 어떻게 부를까?”. 2007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바람직한 `@세상`”.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A Natural History of the @ Sign
- ↑ Steele, Shawn (1996년 4월 24일). “cp037_IBMUSCanada to Unicode tabl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2020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Steele, Shawn (1996년 4월 24일). “cp500_IBMInternational to Unicode tabl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2020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Umamaheswaran, V.S. (1999년 11월 8일). “3.3 Step 2: Byte Conversion”. 《UTF-EBCDIC》. Unicode Consortium. Unicode Technical Report #16. 2020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Steele, Shawn (1996년 4월 24일). “cp1026_IBMLatin5Turkish to Unicode tabl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2020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Unicode Consortium (2015년 12월 2일) [1994-03-08]. “Shift-JIS to Unicode”. 2020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Unicode Consortium; IBM. “EUC-JP-2007”.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2020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Unicode Consortium; IBM. “IBM-970”.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2020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Steele, Shawn (2000). “cp949 to Unicode tabl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2020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 (2005년 11월 18일).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 ↑ van Kesteren, Anne. “big5”. 《Encoding Standard》. WHATWG. 2020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Pakin, Scott (2020년 6월 25일). “The Comprehensive LATEX Symbol List” (PDF). 2020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