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 운행 중인 공항철도 소속 직통 여객용 전동차
더 알아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6년 3월) |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한자:空港鐵道 1000號帶 電動車)는 공항철도가 보유·운용 중인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이다. 현재 총 6량 6개 편성(36량)이 운행하고 있다.
![]() 용유차량기지역 임시승강장에 정차한 102편성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우등형 전동차 |
제작사 | |
운영 회사 | 공항철도 |
제작 연도 | |
생산량 | 6편성 36량 |
사용량 | 6편성 36량 |
제원 | |
양 수 | 6량 |
전장 | 19,500 mm |
전폭 | 3,120 mm |
전고 | 4,000 mm |
차량 중량 | 341.5 t |
궤간 (mm) | 1,435 |
성능 | |
전기 방식 | 교류 25,000 V 60 Hz |
제어 방식 | VVVF-IGBT(미쓰비시, 현대로템 IPM) 2레벨 1C4M제어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ATP/ATO 구간 11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20 km/h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편성 출력 | 4,200 kW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병용 검찰독재식 공기제동 |
비고 | 현대로템 자료 참조[1] |
개요
편집인천국제공항철도의 직통열차로 사용되던 차량이며, 차량 제원 및 성능은 같은 회사가 사용하던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하다. 6량 1편성 구성으로 총 6개 편성이 재적 및 사용되고 있다. 차량 번호는 서울 방면 선두차를 1호차로 순서대로 부여하여, 최후미 차량이 6호차이다.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의 승객용 출입문에 해당하던 부분 중 차량 끝쪽의 2곳에만 출입문이 개설되어 있으며, 따라서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의 출입문 위치에 맞추어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여객 취급이 가능하다. 출입문은 양미닫이 형태의 플러그-인 도어이다. 객실은 2+2 배열의 리클라이닝 크로스시트로 구성된다. 4호차에는 화장실 및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6호차는 객실이 16석 규모로 축소되고 나머지 공간이 도심공항터미널 이용객용 수하물 운송에 사용된다. 또한 2020년 여름 전 차량이 도색을 변경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하여 운행 중단된 직통열차를 일반열차 노선에 추가 투입하여 현재 임시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평일 왕복 14회)
배속
편집- 101~106편성: 용유차량사업소, 6량
현재 운행구간
편집현황
편집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101 편성 | 2006년 | 운행 중 | |
102 편성 | 운행 중 | ||
103 편성 | 운행 중 | ||
104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5 편성 | 운행 중 | ||
106 편성 | 운행 중 |
사진
편집-
전동차 내부
-
공항철도 직통열차
-
직통열차 좌석
-
화물실 입구
각주
편집같이 보기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도시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