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동군 (중국)
교동군(膠東郡)은 진나라에서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다. 진나라 당시의 이름은 즉묵군(卽墨郡)이라고도 한다. 대략 북 자오라이 하(중국어: 胶萊河 교래하[*]) 이동의 산둥반도 동부를 관할했다. 전한에서는 대부분 교동국(膠東國)의 영토였다.
유래
편집북 자오라이 하의 옛 이름, 교수(膠水)의 동쪽에 있음에서 유래했다. 즉묵(卽墨)이라는 이름은 즉묵성이 묵수(墨水) 유역에 있음에서 유래했다.
진
편집통일 진나라 36군에는 속하지 않으나 이후 낭야군을 분할해 세웠다는 것이 기존의 통설이었다. 진나라 봉니 중 “즉묵태수(卽墨太守)”라 써진 것이 있어, 원래는 교동군이 아니라 즉묵군이었을 것이라 한다. 치소는 즉묵현(현 핑두 시 남동)이다. 즉묵·창양(昌陽)·야(夜)·황(黃)·추(腄)·동모(東牟)·창무(昌武)·임구(臨胊) 8현이 확인된다.[1]
전한
편집항우가 진나라를 멸하고 18제후왕을 세우면서 교동군은 전 제왕인 전시에게 내려져 교동나라가 만들어졌으나, 전시가 항우에 대한 태도를 놓고 실권을 쥔 재상 전영과 불화해 전영에게 살해당하면서 교동나라는 망하고 전영이 왕위에 오른 제나라에 흡수됐다.[2][3] 제나라가 한나라의 장군 한신의 공격으로 망하고 한신이 고제에게 제왕으로 봉해졌으나, 고제 5년(기원전 202년) 고제가 한신을 초왕으로 옮기면서 제나라 전 지역이 전한의 직할이 됐다. 고제가 6년(기원전 201년) 서장자 도혜왕을 제나라에 봉하면서 교동군도 제나라에 속했다.[4][5][6][7] 제나라는 기원전 165년 문왕의 죽음으로 폐지됐다가, 이듬해에 도혜왕의 아들들에게 분할 부활하면서 교동군은 도혜왕의 아들 유웅거의 교동나라가 됐다. 교동왕 유웅거가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해 주살돼 교동나라는 폐지되고 교동군이 됐다.[6][7][8] 경제 4년(기원전 153년) 경제의 10남 무제에게 봉해져 다시 교동나라가 됐으나 이 과정에서 동래군이 교동군에서 분할돼 교동나라는 오초칠국의 난 이전보다 축소됐다. 경제 6년(기원전 150년) 무제가 태자가 되면서 도로 교동군이 됐고, 경제 중2년(기원전 148년) 4월에 경제의 11남 강왕이 교동군에 봉해진 이래 전한이 망할 때까지 교동강왕의 후손에게 나라가 이어졌다.[8][9][10][11]
청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72,002호에 인구 323,331명이었고, 서울은 즉묵현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6] 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8현이다.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즉묵 | 卽墨 | 칭다오시 핑두시 남동 | 천실산사(天室山祠)가 있다. |
창무 | 昌武 | ? | |
하밀 | 下密 | 웨이팡시 창이시 동 | 삼석산사(三石山祠)가 있다. |
장무 | 壯武 | 칭다오시 지모시 서 | |
욱질 | 郁秩 | 칭다오시 핑두시 | 철관이 있다. |
정 | 挺 | 옌타이시 라이양시 남 | |
관양 | 觀陽 | 옌타이시 라이양시 동 | 응소에 따르면 관수(觀水)의 북쪽[陽]이라 한다. |
추로 | 鄒盧 | 칭다오시 라이시 시 북동 |
다음은 추은령 이후 봉해져 교동나라에서 떨어져나간 교동왕의 왕자후들로, 총 23후국이다.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고우(皋虞) | 원봉 원년(기원전 110년) 5월 병오일 | 시건국 원년(9년) | 낭야 | |
위기(魏其) | ||||
축자(祝玆) | 원봉 5년(기원전 106년) | 낭야 | ||
온수(溫水) | 시원 5년(기원전 82년) 3월 | 본시 2년(기원전 72년) | ||
낙망(樂望) | 지절 4년(기원전 66년) 2월 | 시건국 원년(9년)? | 북해 | 북해 |
성(成)[14] | 북해 | 북해? | ||
유천(柳泉) | 남양 | 북해 | ||
신리(新利) | 신작 원년(기원전 61년) 4월 | 감로 4년(기원전 50년) | ||
호도(戶都)[15] | ? | 건시 3년(기원전 30년)? | ||
양석(羊石)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 시건국 원년(9년)? | 북해 | 북해 |
석향(石鄕) | ||||
신성(新城) | ||||
상향(上鄕) | ||||
창향(昌鄕) | 건시 2년(기원전 31년) | 원수 2년(기원전 1년) | 동래[16] | |
순양(順陽) | 시건국 원년(9년) | 낭야[17] | ||
낙양(樂陽) | 동래[18] | |||
평성(平城) | 북해 | |||
밀향(密鄕) | ||||
낙도(樂都) | ||||
능석(陵石) | 홍가 4년(기원전 17년) 6월 | 시건국 원년(9년) | 동래?[19] | |
임안(臨安) | 영시 4년(기원전 13년) 5월 무신일 | 시건국 원년(9년) | 낭야 | |
서향(徐鄕) | 원연 원년(기원전 12년) 2월 계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제 | 북해 |
당향(堂鄕) | 수화 원년(기원전 8년) 5월 무오일 | 건평 원년(기원전 6년) |
신
편집이름을 욱질(郁秩)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즉묵 | 즉선(卽善) |
장무 | 효무(曉武) |
추로 | 시사(始斯) |
장관
편집교동상
편집각주
편집- ↑ 后晓荣 (2009년 1월 1일). 《秦代政区地理》. 北京市东城区先晓胡同10号: 社会科学文献出版社. 106, 291-295쪽. ISBN 9787509705704.
- ↑ 사마천: 《사기》, 권94 전담열전제74
- ↑ 위와 같음, 권7 항우본기제7
- ↑ 반고: 《한서》 권1 상 고제기제1 상
- ↑ 반고: 《한서》 권1 하 고제기제1 하
- ↑ 가 나 다 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28권 하 지리지 제8 하
- ↑ 가 나 반고: 《한서》 권38 고오왕전제8
- ↑ 가 나 반고: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 ↑ 반고: 《한서》 권6 무제기제6
- ↑ 반고: 《한서》 권53 경십삼왕전제23
- ↑ 周振鹤 (1987년 8월). 《西汉政区地理》 [서한정구지리] (중국어). 北京: 人民出版社. 115쪽.
- ↑ 반고: 《한서》 권28 지리지 제8 상
- ↑ 周振鹤 (2006년 6월). 《汉书地理志汇释》. 合肥市回龙桥路1号: 安徽教育出版社. 460 ~ 462쪽. ISBN 7-5336-4757-2.
- ↑ 지리지에 성후국은 없고 북해에 요(饒)후국이 있는데 왕자후표에서 '성강후 요(饒)'가 봉해졌다 하기에 '요강후 성'을 바꿔쓴 것으로 의심된다.
- ↑ 신리후가 폐봉된 후 다시 봉해진 후국으로 신리후처럼 교동국에서 분리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 동래군 창양후국(昌陽侯國)이 창향후국으로 보인다.
- ↑ 낭야군 신향후국(愼鄕侯國)이 순양후국으로 보인다.
- ↑ 동래군 양락후국(陽樂侯國)이 낙양후국으로 보인다.
- ↑ 왕자후표에만 보이며, 지리지에는 없다. 왕선겸은 동래군 양석현(陽石縣)의 오기로 추정하였다.
- ↑ 진종 外, 《동관한기》 [범엽, 《후한서》 권43 주악하열전 이현주에 인용]
- ↑ 《선우황비》(鮮于璜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