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 시기에 조성한 석굴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 Grotto of Amitabha Buddha Triad, Gunwi)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팔공산 연봉 북쪽 기슭에 있는 석굴이다.
대한민국의 국보 | |
종목 | 국보 제109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
---|---|
수량 | 1기 |
시대 | 남북국 시대 |
소유 | 국유 |
위치 | |
주소 |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1477 |
좌표 | 북위 36° 2′ 52″ 동경 128° 38′ 26″ / 북위 36.04778° 동경 128.64056°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1927년에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면서 속칭 "제2석굴" 또는 "군위 석굴"로 불리기 시작했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09호로 지정되었다.[1]
석굴을 소유하고 있는 사찰은 흔히 "군위 석굴암" 또는 "제2석굴암"으로 불리지만 정식 명칭은 삼존석굴사로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이다.[2]
개요
편집대구광역시 군위군 석굴은 경주 석굴암 석굴보다 100년 전에 먼저 만들어졌고, 경주 석굴암 석굴 제작한 많은 영향을 주었다.[3]
특징
편집삼존불
편집약 6미터 높이의 천연적인 암벽을 뚫어 만든 석굴이다. 삼존불은 중앙이 석가모니불, 왼쪽이 대세지보살, 오른쪽이 관세음보살이다.
크기
편집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높이 2.88미터, 오른쪽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높이 1.8미터, 왼쪽에는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 높이 1.8미터이다.
외모
편집모두 무거운 양감과 함께 침울한 위엄을 보이려는 느낌이 든다.
- 석가모니불 : 본존불은 긴장된 엄숙한 얼굴이며 납작한 코와 짧은 목이 더욱 친밀감이 없게 만든다.
- 협시보살 : 보살들의 안면 역시 코 밑을 처리 못하는 고졸한 생경감이 엿보이며, 몸은 삼곡(三曲, Tribhanga : 인도의 불상에서 시작하여 당나라의 천룡산 석굴에서 많이 나타나는 불상형식으로 허리를 비튼 모양)이 보이지만 부드럽지 못하고 남자가 여장(女裝)한 듯 딱딱한 인상이다.
영향을 받은 나라 양식
편집사진
편집-
대구광역 군위군 석굴암
참고 자료
편집-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에 있는 사진
- 영문표기 - 2014년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용례집 Archived 2018년 9월 18일 - 웨이백 머신
- ↑ 이, 만식 (2011년 6월 21일). “군위 "제2석굴암 명칭과 겹친다"”. 《경북일보》. 경북일보. 2023년 5월 4일에 확인함.
100년이 되지 않은 1927년에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면서 속칭 '제2석굴암')
- ↑ 박, 상국. “삼존석굴사 (三尊石窟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5월 4일에 확인함.
한국불교태고종에 속한다.
- ↑ 이, 만식 (2011년 6월 21일). “군위 "제2석굴암 명칭과 겹친다"”. 《경북일보》. 경북일보. 2023년 5월 4일에 확인함.
경주에 있는 석굴암보다 1세기 앞선 서기 7세기께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주 석굴암의 모태가 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