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이오타

궁수자리 이오타(ι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겉보기등급은 +4.118로 맨눈으로 충분히 볼 수 있는 밝기이다.[3] 지구에서 봤을 때의 시차는 17.94 밀리초각으로[2] 이로부터 이 별까지의 거리는 182 광년임을 알 수 있다. 궁수자리 이오타는 현재 지구로부터 초속 35.8 킬로미터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5]

궁수자리 이오타(ι Sgr)
궁수자리. 이오타(ι)는 아래쪽 망원경자리(Telescopium)와의 경계 부근에 있다.
궁수자리. 이오타(ι)는 아래쪽 망원경자리(Telescopium)와의 경계 부근에 있다.
명칭
밝은 별 목록 HR 758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88114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29927
히파르코스 목록 HIP 98032
다른 이름 CPD −42° 8944, FK5 1520.[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9h 55m 15.69691s[2]
적위(δ) −41° 52′ 05.8388″[2]
겉보기등급(m) +4.118[3]
절대등급(M) +0.39[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35.8 km/s[5]
적경 고유운동 +22.61 mas/yr[2]
적위 고유운동 +51.40 mas/yr[2]
연주시차 17.94 ± 0.21 mas[2]
성질
광도 87 L[5]
나이 47억 4천만 년[5]
분광형 K0 II-III[5]
U-B 색지수 +0.911[3]
B-V 색지수 +1.084[3]
추가 사항
질량 1.40 M[5]
반지름 14 R[6]
중원소 함량 (Fe/H) −0.26[7]
표면 중력 (log g) 1.89 cgs[7]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히파르코스 미션이 수집한 고유운동 데이터에 기초했을 때 이오타는 측성쌍성이 유력하다.[8][9] 눈에 보이는 구성원의 스펙트럼은 분광형상 K0 II~III으로 K형 거성 또는 밝은 거성인데, 이는 주계열을 이탈하여 진화한 상태이다.[5] 주연감광을 고려하여 보정한 이 별의 각지름은 2.32±0.02 밀리초각이다.[10] 이 별까지의 거리로부터 이오타의 물리적 반지름은 태양의 약 14배로 나온다.[6] 질량은 태양의 1.4배이며 광구유효온도는 약 4594 켈빈으로 태양 광도의 87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5]

각주

편집
  1. “iot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7월 7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Cousins, A. W. J. (1973), “Revised zero points and UBV photometry of stars in the Harvard E and F regions”, 《Memoir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7: 223–236, Bibcode:1973MmRAS..77..223C. 
  4.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5. Luck, R. Earle (2015),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 G and K 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0 (3): 88, arXiv:1507.01466, Bibcode:2015AJ....150...88L, doi:10.1088/0004-6256/150/3/88. 
  6.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판, Birkhäuser, ISBN 3-540-29692-1.  반지름(R*)은 다음과 같다.
     
  7. Soubiran, C.; Le Campion, J.-F.; Cayrel de Strobel, G.; Caillo, A. (June 2010), “The PASTEL catalogue of stellar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5: A111, arXiv:1004.1069, Bibcode:2010A&A...515A.111S, doi:10.1051/0004-6361/201014247.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9. Frankowski, A.; 외. (March 2007), “Proper-motion binaries in the Hipparcos catalogue. Comparison with radial velocity data”,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4 (1): 377–392, arXiv:astro-ph/0612449, Bibcode:2007A&A...464..377F, doi:10.1051/0004-6361:20065526. 
  10. Richichi, A.; 외. (February 2005),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2): 773–777, Bibcode:2005A&A...431..773R, doi:10.1051/0004-6361:20042039. 

좌표:   19h 55m 15.69691s, −41° 52′ 05.8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