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조자리 이오타
(극락조자리 요타에서 넘어옴)
극락조자리 이오타(ι Aps)는 남반구 하늘의 극락조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계이다.[4] 이오타의 밝기는 5.41로 맨눈으로 흐릿하게 보일 수준이다.[3] 이오타까지의 거리는 시차 자료에 따르더라도 그 오차율이 약 20%이며 이를 고려한 수치는 약 1,300광년이다.[2]
극락조자리 이오타 | ||
명칭 | ||
---|---|---|
다른 이름 | FK5 642, HD 156190, HIP 84979, HR 6411, SAO 257491.[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극락조자리 | |
적경(α) | 17h 22m 05.87559s[2] | |
적위(δ) | –70° 07′ 23.5400″[2] | |
겉보기등급(m) | +5.41[3] (5.90/6.46)[4]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2.47 ± 0.50 밀리초각[2] | |
성질 | ||
분광형 | B9 V + B9.5 V[4] | |
항성 목록 |
이오타는 우리 눈에는 하나의 발광체처럼 보이나 실은 두 개의 B형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항성계이다. 둘 다 분광형이 비슷하여 우리 눈에는 청백색 빛을 뿜는 것처럼 보인다.[5] 구성원 중 밝은 쪽의 분광형은 B9 V이고 겉보기 밝기는 5.90등급이며 어두운 쪽의 분광형은 B9.5 V에 밝기는 6.46이다. 두 별의 각거리는 0.091 초각이고[4] 둘은 서로의 질량중심을 51.441년 주기로 돌고 있다.[6]
이름
편집극락조자리의 중국식 명칭은 ‘이작’(異雀, Yì Què, ‘이국적인 새’라는 의미임)이며 이 별자리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항성으로는 극락조자리 이오타, 제타, 엡실론, 베타, 감마, 델타, 델타1, 에타, 알파가 있다. 이오타별의 명칭은 ‘이작이’(異雀二, Yì Què èr, 이작의 두 번째 별)이다.[7]
각주
편집- ↑ “iot Aps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 ↑ 가 나 다 라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년 9월),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12-21, 2004,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Olević, D.; Cvetković, Z. (2004년 2월), “Orbits of 10 interferometric binary systems calculated by using the improved Koval'skij method”, 《Astronomy and Astrophysics》 415: 259–264, Bibcode:2004A&A...415..259O, doi:10.1051/0004-6361:20034069.
-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2011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