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삼가해 권2
금강경삼가해 권2(金剛經三家解 卷二)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동산도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다. 2001년 8월 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72-4호로 지정되었다.[1]
![]() | |
![]() | |
지정번호 | 보물 제772-4호 (2001년 8월 3일 지정)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동산도서관 (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
제작시기 | 조선시대 |
소유자 | 계명대학교 |
수량 | 2권 1책 |
비고 |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중에서 야부(冶父)의 송(頌),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득통(得通)의 설의(說誼) 등 3가(家)를 번역한 것이다.
제2권의 권두제(卷首題)는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으로 되어 있으나 판심제(版心題)는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세조(世祖)의 명(命)으로 편찬하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다가 성종(成宗) 13년(1482년)에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명으로 승려 학조(學祖)가 교정 간행하였다. 본문은 금속활자인 정축자(丁丑字)로 인출했는데 주해문(註解文)은 을해자(乙亥字)로 찍었다. 전해져 오는 판본이 희귀한 점 등 그 가치가 높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문화재청고시제2001-33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대한민국 관보 제14867호, 제22쪽, 2001-08-03
참고 자료
편집- 금강경삼가해 권2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이 글은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