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콩팥 손상

질병의 종류

급성 신부전(急性腎不全, Acute kidney injury)이란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신장 기능 저하의 결과로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급성 신부전은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나타나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난다.

급성 신부전
다른 이름Acute renal failure (ARF)
생존한 수질 조직의 어두운 부분과 대조적으로 현저한 피질의 창백함을 보이는 병리학적 신장 표본. 해당 환자는 급성 신장 손상으로 사망했다.
진료과신장병학, 비뇨기과학

원인

편집

급성 신부전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신장 자체에는 이상이 없지만 전반적인 신체기능 저하로 인해 신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한 경우 (빈도: 55%) (예) 출혈, 심한 구토나 설사, 저혈압, 심부전, 신독성 소염제 사용 등

2) 신장 자체에 이상이 있어서 소변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 (빈도: 40%) (예) 신장 혈관 이상, 악성 고혈압, 급성 사구체 신염, 혈관염, 신독성 항생제나 항암제 사용 등

3) 소변이 배설되는 요도 및 방광이 막힌 경우 (빈도: 5%) (예) 전립선 비대증, 방광 신경지배 이상, 종양 등

증상

편집

소변량이 하루 400cc 미만으로 감소하는 핍뇨 증세가 흔히 나타나지만 소변량이 줄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외의 전체적인 신체 증상은 다양하며, 이 중 감염증은 사망의 주된 원인(30~70%)이 될 수 있다. 그 외의 전신 증상은 아래와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1) 신경계: 의식 혼탁, 경련 2) 심혈관계: 고혈압, 부정맥, 허혈성 심장질환 3) 호흡기계: 폐부종, 폐출혈 4) 위장관계: 식욕부진, 구토, 장 마비, 위장관 출혈

진단/검사

편집

임상 경과에 대한 평가 및 혈액검사로 진단한다. 혈액검사로 혈액 내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요소질소(urea nitrogen) 수치를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혈액검사로 신장 기능, 혈중 노폐물 농도, 전해질 농도와 산 염기 상태를 측정하고, 소변검사로 소변 중 전해질 배설 여부 등을 측정하여 신부전의 원인을 조사한다.

급성 신부전의 원인을 찾기 위해 상황에 따라서 신장 초음파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 혈관 촬영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신장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치료

편집

급성 신부전은 각 원인에 따라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한다. 이와 함께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염분, 수분, 단백질 및 특정 전해질 성분에 대한 제한이 필요할 수 있으며,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이 잘 유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투석 치료가 필요하다. 감염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합병증에 대한 치료도 중요하다.

치료기간은 약 1년이며, 급성 신부전 환자의 약 70% 정도는 적절한 치료를 받게되면 대부분 완치된다.

경과/합병증

편집

대표적인 합병증은 체액 과다로 인한 폐부종과 고칼륨혈증 및 감염증이다. 이 중 고칼륨혈증은 심장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급성 신부전의 회복기에는 소변량이 갑자기 증가하여 소변을 자주 보고 싶은 이뇨 증세가 일어나는데, 이 경우 탈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사망률은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지만 급성 신부전이 있는 경우 20%에 달하며,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50%로 보고되고 있다. 생존한 환자의 경우는 병에 걸리기 전과 비슷한 정도로 신장 기능이 서서히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신장 기능이 회복되지 않고 만성 신기능 저하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편집

약물에 의한 신장 손상이 급성신부전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감기약, 소염진통제, 항생제 등을 처방받을 때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 후 주의깊게 복용할 필요가 있다.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특히 신장에 유해한 약물 사용에 더 주의하여야 하며, 검증되지 않은 건강식품 및 민간처방 등도 주의가 필요하다.

식단으로는 칼륨/나트륨 및 단백질 섭취를 제한해야하며, 이로 인한 열량보충은 당분과 식용유를 이용한 양념으로 보충하는 것이 좋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