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호흡곤란증후군

질병의 종류
(급성 폐 손상에서 넘어옴)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은 허파에 생긴 급성 염증으로 인하여 생기는 호흡부전을 의미한다. ARDS에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폐포 모세혈관막투과성이 증가해 폐포 공간 내로 액체가 유출되고, 저산소증 및 염증성 급성폐손상이 발생하게 된다.[2] ARDS의 대표적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호흡수 증가, 빈맥, 새파랗게 질린 피부색이 있다.[3] ARDS에서 회복하더라도 삶의 질 저하가 비교적 흔한 휴유증으로 남게 된다.[1]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다른 이름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hock lung
중증 ARDS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
진료과중환자의학, 호흡기내과
증상호흡곤란, 빈호흡, 청색증[1]
통상적 발병 시기수 주 내[1]
진단 방식PaO2/FiO2≤300 mmHg
(PEEP or CPAP≥5 cmH2O에서)[1]
유사 질병심부전[1]
예후35–50% 사망률[1]
빈도매년 300만 건[1]

역사

편집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은 1967년 Ashbaugh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4] 1994년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Criteria가 발표되어 ARDS를 정의하였다.[5] 2012년 Berlin Criteria가 새로 발표되어 ARDS의 진단 기준을 확립하였다.[6]

증상

편집

ARDS의 증상은 2시간의 선동 사건 이내에 종종 시작되지만 1~3일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증상에는 비정상적인 환기로 인한 호흡곤란, 빈호흡, 혈액 내 저산소증을 포함할 수 있다.[7][8]

합병증

편집

ARDS가 외과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매우 심각한 질병이기 때문에 위험이 없지만은 않다. 간주되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4]

치료

편집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의 치료법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를 통해 관리된. 기계환기 시에는 구강을 통해 기도로 들어가는 기관내 삽관을 적용하거나, ≥2주 이상의 장기 환기가 필요한 경우 기관 절개술을 시행한다. 비침습적 환기는 질병 초기에 국한되어 사용하거나, ARDS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비정형 폐렴, 폐 타박상, 수술 후 환자들에 대해 예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ARDS의 치료에서는 기계환기에 의한 손상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저일회호흡량 환기는 ARDS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사망률을 줄인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9] 동시에 ARDS를 일으킨 근본 원인에 대한 치료가 중요하다. 혈액배양 결과가 나오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빠르게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패혈증이 동반된 경우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한다.

각주

편집
  1. Fan, E; Brodie, D; Slutsky, AS (2018년 2월 20일).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JAMA》 319 (7): 698–710. doi:10.1001/jama.2017.21907. PMID 29466596. 
  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대한중환자의학회 (2016).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임상진료지침” (PDF).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 
  3. 이상민; 유철규 (2005). “급성호흡곤란증후군” (PDF). 《대한내과학회지》 68 (5): 476-486.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 
  4. Irwin RS, Rippe JM (2003). 《Irwin and Rippe's Intensive Care Medicine》 5판.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0-7817-3548-3. 
  5. Bernard G, Artigas A, Brigham K, Carlet J, Falke K, Hudson L, Lamy M, Legall J, Morris A, Spragg R (1994). “The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on ARDS. Definitions, mechanisms, relevant outcomes, and clinical trial coordin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49 (3 Pt 1): 818–24. doi:10.1164/ajrccm.149.3.7509706. PMID 7509706. 
  6. Ranieri VM, Rubenfeld GD, Thompson BT, Ferguson ND, Caldwell E, Fan E, Camporota L, Slutsky AS (Jun 2012).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Berlin Definition. ARDS Definition Task Force”. 《JAMA》 307 (23): 2526–33. doi:10.1001/jama.2012.5669. PMID 22797452. 
  7. Bakowitz, Magdalena (August 2012). “Acute lung injury and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the injured patient”. 《Scandinavian Journal of Trauma, Resuscitation and Emergency Medicine》 20: 54. doi:10.1186/1757-7241-20-54. 
  8. Marino (2006), pp 435
  9. Malhotra, Atul (2007년 9월 13일). “Low-Tidal-Volume Ventilation in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 Engl J Med357 (11): 1113-1120. PMC 2287190. PMID 17855672.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