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 에서 기하 불변량 이론 몫 (幾何不變量理論몫, 영어 : geometric invariant theory [GIT] quotient )은 대수군 이 작용하는 대수다양체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한 몫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1] [ 2] 이 경우, 일부 ‘매우 나쁜’ 점들(준안정점이 아닌 점)을 버리게 되며, 또한 일부 ‘조금 나쁜’ 점(안정점이 아닌 준안정점)의 경우 해당 상 의 원상 이 궤도 전체가 아닐 수 있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체
k
{\displaystyle k}
k
{\displaystyle k}
위의 아핀 스킴
X
/
Spec
k
=
Spec
A
{\displaystyle X/\operatorname {Spec} k=\operatorname {Spec} A}
k
{\displaystyle k}
위의 대수군
G
/
Spec
k
{\displaystyle G/\operatorname {Spec} k}
작용
G
×
k
X
→
X
{\displaystyle G\times _{k}X\to X}
그렇다면,
A
{\displaystyle A}
위에는 군의 작용
G
×
A
→
A
{\displaystyle G\times A\to A}
(
g
.
a
)
(
x
)
=
a
(
g
−
1
.
x
)
{\displaystyle (g.a)(x)=a(g^{-1}.x)}
이 주어진다. 그렇다면, 불변량의 대수
A
G
=
{
a
∈
A
:
∀
g
∈
G
:
g
.
a
=
a
}
{\displaystyle A^{G}=\{a\in A\colon \forall g\in G\colon g.a=a\}}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역시
k
{\displaystyle k}
위의 가환 결합 대수 이다.
그렇다면,
S
{\displaystyle S}
의 기하 불변량 이론 몫 은 다음과 같다.
A
/
/
G
=
Spec
(
A
G
)
{\displaystyle A/\!/G=\operatorname {Spec} (A^{G})}
만약
A
{\displaystyle A}
가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 이며,
G
{\displaystyle G}
가 가약군 이라면,
A
G
{\displaystyle A^{G}}
역시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 이다 (나가타 정리 영어 : Nagata’s theorem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체
k
{\displaystyle k}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형 스킴
X
/
Spec
k
{\displaystyle X/\operatorname {Spec} k}
대수적 선다발
L
↠
X
{\displaystyle L\twoheadrightarrow X}
k
{\displaystyle k}
위의 대수군
G
/
Spec
k
{\displaystyle G/\operatorname {Spec} k}
작용
G
×
k
X
→
X
{\displaystyle G\times _{k}X\to X}
그렇다면, 이 데이터의 선형화 는
L
{\displaystyle L}
위의
G
{\displaystyle G}
의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작용이다.
임의의
l
∈
L
{\displaystyle l\in L}
에 대하여,
π
(
g
.
l
)
=
g
.
π
(
y
)
{\displaystyle \pi (g.l)=g.\pi (y)}
. 즉, 이는 각 올
L
x
{\displaystyle L_{x}}
에 대하여 사상
L
x
→
L
x
{\displaystyle L_{x}\to L_{x}}
를 정의한다.
또한, 임의의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G
×
k
L
x
→
L
x
{\displaystyle G\times _{k}L_{x}\to L_{x}}
는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이다.
이 경우, 대수적 선다발
L
{\displaystyle L}
에 대하여
X
{\displaystyle X}
의 기하점 (대수적으로 닫힌 체 계수의 유리점 )
Spec
K
¯
→
X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bar {K}}\to X}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x
{\displaystyle x}
를 준안정점 이라고 한다.
어떤 양의 정수
n
{\displaystyle n}
및
G
{\displaystyle G}
-불변 단면
s
∈
Γ
(
X
,
L
⊗
n
)
{\displaystyle s\in \Gamma (X,{\mathcal {L}}^{\otimes n})}
에 대하여,
s
(
x
)
≠
0
{\displaystyle s(x)\neq 0}
이며
{
y
∈
X
:
s
(
y
)
≠
0
}
{\displaystyle \{y\in X\colon s(y)\neq 0\}}
이 아핀 열린 부분 스킴 이다.
만약 위 정의에 추가로
{
y
∈
X
:
s
(
y
)
≠
0
}
{\displaystyle \{y\in X\colon s(y)\neq 0\}}
에서 모든 기하점의 궤도가 자리스키 닫힌집합 이라는 조건이 추가로 성립하면
x
{\displaystyle x}
를 안정점 이라고 한다.
준안정점들은 열린 부분 스킴
X
ss
⊆
X
{\displaystyle X^{\operatorname {ss} }\subseteq X}
을 구성한다. 정의에 따라서, 충분히 큰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G
{\displaystyle G}
-불변 단면
s
1
,
…
,
s
n
∈
Γ
(
L
⊗
N
)
{\displaystyle s_{1},\dotsc ,s_{n}\in \Gamma ({\mathcal {L}}^{\otimes N})}
에 대하여
{
x
∈
X
:
s
i
(
x
)
≠
0
}
≅
Spec
R
i
{\displaystyle \{x\in X\colon s_{i}(x)\neq 0\}\cong \operatorname {Spec} R_{i}}
⋃
i
=
1
n
Spec
R
i
=
X
ss
{\displaystyle \bigcup _{i=1}^{n}\operatorname {Spec} R_{i}=X^{\operatorname {ss} }}
가 된다. 따라서 각 아핀 열린 스킴에 대하여 기하 불변량 이론 몫
V
i
=
Spec
R
i
G
{\displaystyle V_{i}=\operatorname {Spec} R_{i}^{G}}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을 짜깁기하여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형 스킴
X
/
/
G
{\displaystyle X/\!/G}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X
{\displaystyle X}
의 기하 불변량 이론 몫 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사용한 선형화에 의존한다.
아핀 스킴
A
K
2
=
K
[
x
,
y
]
{\displaystyle \mathbb {A} _{K}^{2}=K[x,y]}
위의, 이산군
Cyc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2)}
(2차 순환군 )의 작용
(
x
,
y
)
↦
(
−
x
,
−
y
)
{\displaystyle (x,y)\mapsto (-x,-y)}
을 생각하자. 또한,
char
K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neq 2}
라고 하자. 그렇다면,
[
K
[
a
,
b
,
c
]
(
a
c
−
b
2
)
≅
K
[
x
,
y
]
G
{\displaystyle {\frac {[K[a,b,c]}{(ac-b^{2})}}\cong K[x,y]^{G}}
(
a
,
b
,
c
)
↦
(
x
2
,
x
y
,
y
2
)
{\displaystyle (a,b,c)\mapsto (x^{2},xy,y^{2})}
가 된다. 따라서
A
K
2
/
/
Cyc
(
2
)
=
Spec
[
K
[
a
,
b
,
c
]
(
a
c
−
b
2
)
{\displaystyle \mathbb {A} _{K}^{2}/\!/\operatorname {Cyc} (2)=\operatorname {Spec} {\frac {[K[a,b,c]}{(ac-b^{2})}}}
는 3차원 아핀 공간 속의 이차 초곡면 이다.
체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다고 하자. 곱셈군
K
×
{\displaystyle K^{\times }}
이 사영 공간
X
=
P
k
n
{\displaystyle X=\mathbb {P} _{k}^{n}}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고 하자.
λ
.
[
x
0
:
x
1
:
⋯
:
x
n
]
=
[
λ
−
n
x
0
:
λ
x
1
:
⋯
:
λ
x
n
]
{\displaystyle \lambda .[x_{0}:x_{1}:\dotsb :x_{n}]=[\lambda ^{-n}x_{0}:\lambda x_{1}:\dotsb :\lambda x_{n}]}
그렇다면, 닫힌 점
x
=
[
x
0
:
⋯
:
x
n
]
{\displaystyle x=[x_{0}:\dotsb :x_{n}]}
는 힐베르트-멈퍼드 수치 조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만약
x
0
≠
0
{\displaystyle x_{0}\neq 0}
이며
(
x
1
,
…
,
x
n
)
≠
(
0
,
…
,
0
)
{\displaystyle (x_{1},\dotsc ,x_{n})\neq (0,\dotsc ,0)}
이라면,
x
{\displaystyle x}
는 안정점 이다.
만약
x
=
[
1
:
0
:
⋯
:
0
]
{\displaystyle x=[1:0:\dotsb :0]}
이라면,
x
{\displaystyle x}
는 안정점 도, 준안정점 도 아니다.
만약
x
0
=
0
{\displaystyle x_{0}=0}
이라면,
x
{\displaystyle x}
는 안정점 도, 준안정점 도 아니다.
(이 경우 모든 준안정점은 안정점 이다.)
즉, 이 경우 준안정점 의 부분 공간은
X
ss
≅
A
K
n
∖
{
0
}
{\displaystyle X^{\operatorname {ss} }\cong \mathbb {A} _{K}^{n}\setminus \{0\}}
이며, 그 위의
k
×
{\displaystyle k^{\times }}
의 작용은
λ
.
(
x
1
,
…
,
x
n
)
=
(
λ
x
1
,
…
,
λ
x
n
)
{\displaystyle \lambda .(x_{1},\dotsc ,x_{n})=(\lambda x_{1},\dotsc ,\lambda x_{n})}
이다. 따라서 그 기하 불변량 이론 몫은
X
/
/
k
×
=
P
k
n
−
1
{\displaystyle X/\!/k^{\times }=\mathbb {P} _{k}^{n-1}}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