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팔원숭이
(긴팔원숭이과에서 넘어옴)
긴팔원숭이 또는 기번(Gibbon)은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에 속하는 4속 18종 유인원의 통칭이다.[1][2] 소형유인원류(lesser apes)라고도 부른다. 긴팔원숭이는 이배체 염색체 수를 기준으로 4개 속(屬)으로 분류한다:긴팔원숭이속(44개), 큰긴팔원숭이속(50개), 흰눈썹긴팔원숭이속(38개), 볏긴팔원숭이속(52개).[2][3] 최근까지 흰눈썹긴팔원숭이속(Hoolock)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되어 왔던, 멸종된 부노피테쿠스 세리쿠스(Bunopithecus sericus)도 긴팔원숭이 또는 긴팔원숭이와 같은 유인원이다.[2] 긴팔원숭이는 인도 북부와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 자와섬, 중국 등의 열대/아열대우림에 분포한다.
긴팔원숭이 | ||
---|---|---|
흰손긴팔원숭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상과: | 사람상과 | |
과: | 긴팔원숭이과 (Hylobatidae) 그레이, 1870 | |
속 | ||
|
긴팔원숭이는 신체적인 특징 때문에 나무로 이동할 때 다른 원숭이들은 다리를 이용하여 옮겨가지만 팔을 이용해서 나뭇가지들을 붙잡으며 옮겨다닌다.
하위 분류
편집- 긴팔원숭이속 (Hylobates) : 7종
- 흰손긴팔원숭이 (H. lar)
- 말레이시아흰손긴팔원숭이 (H. l. lar)
- 목수흰손긴팔원숭이 (H. l. carpenteri)
- 중부흰손긴팔원숭이 (H. l. entelloides)
- 수마트라흰손긴팔원숭이 (H. l. vestitus)
- 윈난흰손긴팔원숭이 (H. l. yunnanensis) - 멸종된 것으로 추정
- 검은손긴팔원숭이 또는 “날쌘긴팔원숭이” (H. agilis)
- 산악날쌘긴팔원숭이 (H. a. agilis)
- 저지대날쌘긴팔원숭이 (H. a. unko)
- 보르네오흰수염긴팔원숭이 (H. albibarbis)
- 회색긴팔원숭이 또는 “보르네오긴팔원숭이” (H. muelleri)
- 뮐러회색긴팔원숭이 (H. m. muelleri)
- 아보트회색긴팔원숭이 (H. m. abbotti)
- 북부회색긴팔원숭이 (H. m. funereus)
- 은색긴팔원숭이 또는 “자바긴팔원숭이” (H. moloch)
- 서부은색긴팔원숭이 (H. m. moloch)
- 동부은색긴팔원숭이 (H. m. pongoalsoni)
- 보닛긴팔원숭이 (H. pileatus)
- 클로스긴팔원숭이 (H. klossii)
- 흰손긴팔원숭이 (H. lar)
- 큰긴팔원숭이속 (Symphalangus) : 1종
- 큰긴팔원숭이 (S. syndactylus)
- 흰눈썹긴팔원숭이속 또는 훌록속 (Hoolock) : 3종
-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H. hoolock)
-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 (H. leuconedys)
- 스카이워커흰눈썹긴팔원숭이 (H. tianxing)
- 볏긴팔원숭이속 또는 노마스커스속 (Nomascus) : 7종
- 검은볏긴팔원숭이 (N. concolor)
- 통킹검은볏긴팔원숭이 (N. c. concolor)
- 라오스검은볏긴팔원숭이 (N. c. lu)
- 중부윈난검은볏긴팔원숭이 (N. c. jingdongensis)
- 서부원난검은볏긴팔원숭이 (N. c. furvogaster)
- 동부검은볏긴팔원숭이 (N. nasutus)
- 하이난검은볏긴팔원숭이 (N. hainanus)
- 북부흰뺨긴팔원숭이 (N. leucogenys)
- 남부흰뺨긴팔원숭이 (N. siki)
- 노랑뺨긴팔원숭이 (N. gabriellae)
- 북부담황색뺨긴팔원숭이 (N. annamensis)
- 검은볏긴팔원숭이 (N. concolor)
각주
편집-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8-181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Mootnick, A.; Groves, C. P. (2005). “A new generic name for the hoolock gibbon (Hylobatidae)”.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26 (26): 971–976. doi:10.1007/s10764-005-5332-4.
- ↑ Geissmann, Thomas (1995년 12월). “Gibbon systema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PDF). 《International Zoo News》 42: 467–501. 2008년 8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긴팔원숭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