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중
대한민국의 조각가 (1928–1986)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김세중 (야구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김세중(金世中, 1928년 7월 24일~1986년 6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조각가 겸 대학 교수이자 조소 및 조각 미술 교육인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시인 김남조(金南祚)는 그의 부인이다.
김세중 | |
---|---|
신상정보
| |
출생 | 1928년 7월 24일 일제강점기 경기도 안성군 |
사망 | 1986년 6월 24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57세)
직업 | 조각가 겸 대학 교수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석사(1953년 2월) |
경력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장 |
종교 | 천주교(세례명: 프란시스코) |
활동기간 | 1947년~1986년 |
장르 | 조소 |
배우자 | 김남조 |
자녀 | 김범(셋째아들) |
주요 작품
| |
영향
|
생애 및 작품 활동
편집- 생애
경기도 안성 출생. 1951년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5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같은 해 서울대 미대 교수를 거쳐 1972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장이 되었다. 1957년 한국미술협회 상임위원이 되었고, 1958년에 국전 추천작가가 되었다. 1961년에 제10회 국전의 심사위원이 되었고 1962년에는 한국문화단체 총연합회 이사가 되었다.[1]
1962년 한국 미술협회 부이사장, IAPA(국제 조형미술협회)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및 국전 심사위원을 지냈다. 또 1969년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으며, 1969년 현대미술관 운영위원이 되었다.
- 작품 활동
1956년 미국 뉴욕 월드하우스 화랑에 초대출품한 것을 비롯하여 1962년 마닐라 국제미술전, 사이공의 국제미술전에 각각 한국대표로 출품했고, 사이공 국제전의 심사위원을 역임한 바도 있다. 1963년 뉴욕 국제조형미술협회 제4차 정기총회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였다.[1]
- 사후
주요 작품
편집작품으로는 〈유엔 탑〉, 〈광화문 충무공〉, 〈희망〉, 〈토루소〉, 〈청년〉 등이 있다. 대표작으로 「자매순교자」·「십자가」·「최후의 심판도」 등이 있고, 기념비조각으로는 광화문의 「충무공이순신장군상」, 국회의사당 앞의 「애국상」 등이 있다.[2]
각주
편집- ↑ 가 나 다 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한국 현대미술/현대의 미술가/김세중, 《글로벌 세계 대백과》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