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성 (교수)
물리학자
김은성(1971년~)은 대한민국의 실험물리학자이다. 현재 KAIST 물리학과 교수로써, 주로 저온 물리학의 현상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김은성
| |
출생 | 1971년(53–54세) 대한민국 |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 학교 | 부산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
주요 업적 | 물질의 초고체 상태 발견 |
수상 | 리 오셔로프 리처드슨 상 (2008) 홍진기 창조인상 과학부분 (2011) 젊은 과학자상 (2011) 올해의 KAIST인 상 (2011) |
분야 | 저온물리학, 초고체 |
소속 | 한국과학기술원 |
박사 지도교수 | 모제스 챈 |
경력 및 연구
편집김은성은 1998년 부산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1학년을 수료 한 후 200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저온물리학 실험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지내다가 2006년에 KAIST 물리학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그는 2004년 그의 지도교수인 모제스 챈과 함께 고체 헬륨이 극저온(2.176K) 정도로 낮췄을 때 헬륨의 일부가 초유체가 돼 고체의 구속에서 벗어난다는 초고체 최초로 현상을 발견하였다.[1] 그러나 2010년 모제스 챈의 스승인 코넬대 물리학과 존 레피 교수는 헬륨이 담긴 비틀림 진동자의 진동주기가 극저온에서 짧아지는 원인은 초고체라는 새로운 물잘 상태가 아닌 고체 헬륨의 탄성 변화가 원인일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이에 같은 해 말 김은성 교수 팀은 다시 고체 헬륨의 탄성과 진동주기는 별 관련이 없다는 재반박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2012년에 김은성 교수의 지도교수 챈은 종래의 연구 결과를 부정하여 초고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8년 전의 실험과 해석에 오류가 있었다고 발표했다.[2][3][4]
각주
편집- ↑ E. Kim and M. H. W. Chan (2004). “Probable Observation of a Supersolid Helium Phase”. 《Nature》 427 (6971): 225–227. Bibcode:2004Natur.427..225K. doi:10.1038/nature02220. PMID 14724632.
- ↑ 이길성 기자 (2012년 10월 9일). “"제4의 물질은 없다" 스승의 고백에 물리학계 발칵”. 조선비즈.
- ↑ Duk Y. Kim and Moses H. W. Chan (2012년 10월 8일). “Absence of Supersolidity in Solid Helium in Porous Vycor Glass”. 《Physics Review Letters》 109 (155301). arXiv:1207.7050. doi:10.1103/PhysRevLett.109.155301.
- ↑ David Voss (2012년 10월 8일). “Focus: Supersolid Discoverer’s New Experiments Show No Supersolid”. 《Physics》 5 (111). doi:10.1103/Physics.5.111. 2013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