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자리 에타
까마귀자리 에타(η Corvi, η Crv)는 까마귀자리에서 여섯 번째로 밝은 F형 주계열성이다.[1][4] 이 별 주위에서 먼지 원반 두 개가 발견되었는데 가까운 것은 항성으로부터 수 천문단위(AU) 거리에, 먼 것은 100 ~ 150 천문단위 범위에 퍼져 있다.[5][6]
까마귀자리 에타 | ||
까마귀자리 에타 계(系) 상상화. 에타를 도는 가상의 외계 행성 주위로 혜성 무리가 보인다. | ||
명칭 | ||
---|---|---|
다른 이름 | η Crv, 까마귀자리 8, BD−15°3489, GC 17087, 글리제 471.2, 글리제 9411, HD 109085, HIP 61174, HR 4775, LTT 4755, NLTT 31021, PPM 225971, SAO 157345.[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까마귀자리 | |
적경(α) | 12h 32m 04.2270s[1] | |
적위(δ) | −16° 11′ 45.627″[1] | |
겉보기등급(m) | 4.31[1] | |
절대등급(M) | 2.99[2]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54.92 ± 0.66 밀리초각[1] | |
성질 | ||
나이 | 15(11~17)억 년[2] | |
분광형 | F2 V[1] | |
추가 사항 | ||
질량 | 1.43 ± 0.05 M☉[2] | |
표면온도 | 6700 K[2] | |
중원소 함량 (Fe/H) | [Fe/H] = −0.03[2] | |
자전 속도 | 68 ± 2[3] | |
항성 목록 |
물리적 특징
편집까마귀자리 에타의 나이는 태양의 30 퍼센트 정도에 불과하다. 대기 중 포함된 무거운 원소의 비율은 태양의 93 퍼센트 정도이다.[2]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v sin i)는 초당 68 킬로미터 수준이다.[3] 분광형은 F형 주계열성으로 표면 온도는 6950 켈빈이며 우리 눈에는 황백색 빛을 뿜는 것처럼 보인다. 질량은 태양의 1.52배에 밝기는 4.87배이다. 태양계로부터 약 59 광년 떨어져 있다.[7]
IRAS 위성은 이 별로부터 초과 적외선 복사 현상을 감지했는데 이는 에타와 같은 F형 주계열성 별들로부터 흔히 볼 수 없는 현상이었다.[8] 서브밀리미터 띠에서 관측한 자료는 에타 주위에는 달 질량의 60 퍼센트에 유효 온도 80 켈빈 수준의 차가운 먼지 원반이 있다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이 먼지 원반은 항성으로부터 최대 180 천문단위 거리(지구~태양 거리의 180배)까지 뻗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9]
최근의 서브밀리미터 관측에 따르면 에타 주위 먼지원반은 바깥쪽으로 150 천문단위까지 확장되어 있었다. 반면 100 천문단위 안쪽은 물질이 쓸려나가고 없었는데 이는 행성계 구성원들이 궤도 영역을 청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5] 또한 항성으로부터 약 3.5 천문단위 안쪽에 바깥쪽 띠보다 더 뜨거운 파편 원반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6]
포인팅-로버트슨 효과 이론에 따르면 행성계 바깥쪽에 있던 먼지 물질은 대략 2000만 년 이내에 항성으로 끌려 들어오며 이는 현 항성계의 나이보다 훨씬 짧은 시간이다. 따라서 지금 관측되는 외부 먼지원반은 그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생겨나면서 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지를 구성하는 물질은 약 150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미행성들로 이들이 충돌을 반복하면서 작은 먼지입자 수준까지 잘게 쪼개진 것으로 추측된다.[5] 반면 항성에서 가까운 먼지 원반이 생겨난 과정은 아직까지 명확히 이론이 정립되지 않았다. 다만 태양계를 두들겼던 후기 대폭격 사건처럼 계 바깥쪽에 있던 미행성들이 내행성 궤도로 밀려들어와 서로 충돌하여 지금의 먼지 띠를 만들었으리라는 추측이 있다.[10][11]
동반천체 (항성에서 가까운 순서) |
질량 | 궤도평균반지름 (AU) |
공전주기 (년) |
궤도이심률 | 궤도경사각 | 반지름 |
---|---|---|---|---|---|---|
먼지 원반 | 6.7 ± 2.7 AU | — | — | |||
먼지 원반 | 165.8 ± 3.7 AU | 46.8° ± 1.3° | — |
이름의 유래
편집동아시아 천문학에서는 까마귀자리 에타를 좌할(左轄)로 불렀다. 보통 여러 별이 모여 하나의 별자리를 구성하나 좌할의 구성원은 에타별 하나로 별이 별자리 전체를 뜻한다.[12] 좌할은 로마자로 Tso Hea로 표기하나 R.H. 앨런은 까마귀자리 베타(크라즈)에 이 명칭을 붙였다.[13]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SIMBAD query result: NSV 5690 -- Variable Star".
- ↑ 가 나 다 라 마 바 Holmberg, J. et al. (2007).
- ↑ 가 나 Mora, A.; 외. (2001). “EXPORT: Spectral classification and projected rotational velocities of Vega-type and pre-main sequence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378 (1): 116–131. Bibcode:2001A&A...378..116M. doi:10.1051/0004-6361:20011098.
- ↑ Kaler, J. B. (2012년 1월 6일). “Eta Corvi”. University of Illinois. 2006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Wyatt, M. C.; 외. (2005). “Submillimeter Images of a Dusty Kuiper Belt around η Corvi”. 《The Astrophysical Journal》 620 (1): 492–500. arXiv:astro-ph/0411061. Bibcode:2005ApJ...620..492W. doi:10.1086/426929.
- ↑ 가 나 다 Smith, R.; 외. (2008). “The nature of mid-infrared excesses from hot dust around Sun-lik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5 (3): 897. arXiv:0804.4580. Bibcode:2008A&A...485..897S. doi:10.1051/0004-6361:20078719.
- ↑ Pawellek, Nicole; Krivov, Alexander V.; Marshall, Jonathan P.; Montesinos, Benjamin; Ábrahám, Péter; Moór, Attila; Bryden, Geoffrey; Eiroa, Carlos (2014). “Disk Radii and Grain Sizes in Herschel-resolved Debris Disks”. 《The Astrophysical Journal》 792 (1): 19. arXiv:1407.4579. Bibcode:2014ApJ...792...65P. doi:10.1088/0004-637X/792/1/65. 65.
- ↑ Stencel, R. E.; Backman, D. E. (1991). “A survey for infrared excesses among high galactic latitude SAO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5: 905–924. Bibcode:1991ApJS...75..905S. doi:10.1086/191553.
- ↑ Sheret, I.; Dent, W. R. F.; Wyatt, M. C. (2004). “Submillimetre observations and modelling of Vega-type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48 (4): 1282–1294. arXiv:astro-ph/0311593. Bibcode:2004MNRAS.348.1282S. doi:10.1111/j.1365-2966.2004.07448.x.
- ↑ Wyatt, M. C.; 외. (2007). “Transience of Hot Dust around Sun‐like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58: 569. arXiv:astro-ph/0610102. Bibcode:2007ApJ...658..569W. doi:10.1086/510999.
- ↑ 가 나 Duchene, G; 외. (2014). “Spatially resolved imaging of the two-component eta Crv debris disk with Herschel”. 《The Astrophysical Journal》 784: 148. arXiv:1402.1184. Bibcode:2014ApJ...784..148D. doi:10.1088/0004-637X/784/2/148.
- ↑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2 日” (중국어). 2021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Allen, R. H. (1963). 〈Corvus〉.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