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난
(남십자자리 엡실론에서 넘어옴)
다른 뜻에 대해서는 기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난[7](Ginan) 또는 남십자자리 엡실론(ε Cru)은 남십자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으로 단독성이며[8] 오렌지색으로 빛난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자료에 따르면 기난의 연간 시차는 14.19 밀리초각으로[1] 이 값으로부터 계산한 별까지의 거리는 약 230 광년이다. 겉보기 등급은 3.58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5] 시선속도는 초당 −4.60 킬로미터로 지구에 가까워지고 있다.[3]
기난 Ginan | ||
남십자자리 성도(星圖). 기난은 엡실론(ε)이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남십자자리 엡실론, ε Cru | |
밝은 별 목록 | HR 4700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07446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251862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60260 | |
다른 이름 | CD −59° 4221, FK5 2989, NSV 5568.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남십자자리 | |
적경(α) | 12h 21m 21.60936s[1] | |
적위(δ) | -60° 24′ 04.1291″[1] | |
절대등급(M) | −0.63±0.09[2]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4.60 km/s[3] | |
적경 고유운동 | −170.93 mas/년[1] | |
적위 고유운동 | 91.67 mas/년[1] | |
성질 | ||
광도 | 302 L☉[3] | |
나이 | 21억 7천만 년[3] | |
분광형 | K3 III[4] | |
U-B 색지수 | +1.63[5] | |
B-V 색지수 | +1.42[5] | |
변광성 분류 | 변광성 의심 천체[6] | |
추가 사항 | ||
질량 | 1.52 M☉[3] | |
반지름 | 28.41 R☉[3] | |
표면온도 | 4294 K[3] | |
표면 중력 (log g) | 1.91[3] | |
항성 목록 |
기난의 분광형은 K3 III로 K형 거성이다.[4] 분광형으로 미루어 보아 기난은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태워 주계열을 이탈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나이는 약 20억 년, 질량은 태양의 1.5 배, 반지름은 태양의 약 28 배, 표면온도는 4294 켈빈이다. 유효온도는 태양보다 낮지만 별이 크게 부풀어 있기 때문에 전체 광도는 태양의 약 302 배에 이른다.[3]
명칭
남십자자리 엡실론(ε Crucis)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이름이다.
고유명칭 기난(Ginan)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거주하는 와다만족이 부르는 이름이다.[9]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구성하여[10]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공식 등재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기난은 2017년 11월 19일 발표한 공고문에 포함되었으며 현재 국제천문연맹 공식 항성목록에 등재되어 있다.[7]
문화
기난은 남십자성을 상징물로 쓰는 여러 국기나 단체 깃발에 등장한다.(다만 나머지 네 별만 표시하고 기난을 빼는 경우도 있다.)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van Leeuwen, F.; 외.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da Silva, L.; 외. (November 2006), “Basic physical parameters of a selected sample of evolve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8 (2): 609–623, arXiv:astro-ph/0608160, Bibcode:2006A&A...458..609D, doi:10.1051/0004-6361:20065105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Jofré, E; Petrucci, R; Saffe, C; Saker, L; de la Villarmois, E. Artur; Chavero, C; Gómez, M; Mauas, P. J. D (2015). “Stellar parameters and chemical abundances of 223 evolved stars with and without planets”. 《Astronomy & Astrophysics》 574: A50. arXiv:1410.6422. Bibcode:2015A&A...574A..50J. doi:10.1051/0004-6361/201424474.
- ↑ 가 나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 ↑ 가 나 다 Mermilliod, J.-C (1986).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Catalogue of Eggen's UBV data》. Bibcode:1986EgUBV........0M.
-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 가 나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IAU Approves 86 New Star Names From Around the World” (보도 자료). IAU.org. 2017년 12월 11일.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da Silva Oliveira, R.,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Archived 2013년 12월 6일 - 웨이백 머신, Artigos: Planetario Movel Inflavel AsterDomus.
- ↑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