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난[7](Ginan) 또는 남십자자리 엡실론(ε Cru)은 남십자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으로 단독성이며[8] 오렌지색으로 빛난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자료에 따르면 기난의 연간 시차는 14.19 밀리초각으로[1] 이 값으로부터 계산한 별까지의 거리는 약 230 광년이다. 겉보기 등급은 3.58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5] 시선속도는 초당 −4.60 킬로미터로 지구에 가까워지고 있다.[3]

기난
Ginan
남십자자리 성도(星圖). 기난은 엡실론(ε)이다.
남십자자리 성도(星圖). 기난은 엡실론(ε)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남십자자리 엡실론, ε Cru
밝은 별 목록 HR 4700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07446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51862
히파르코스 목록 HIP 60260
다른 이름 CD −59° 4221, FK5 2989, NSV 5568.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남십자자리
적경(α) 12h 21m 21.60936s[1]
적위(δ) -60° 24′ 04.1291″[1]
절대등급(M) −0.63±0.09[2]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4.60 km/s[3]
적경 고유운동 −170.93 mas/년[1]
적위 고유운동 91.67 mas/년[1]
성질
광도 302 L[3]
나이 21억 7천만 년[3]
분광형 K3 III[4]
U-B 색지수 +1.63[5]
B-V 색지수 +1.42[5]
변광성 분류 변광성 의심 천체[6]
추가 사항
질량 1.52 M[3]
반지름 28.41 R[3]
표면온도 4294 K[3]
표면 중력 (log g) 1.91[3]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기난의 분광형은 K3 III로 K형 거성이다.[4] 분광형으로 미루어 보아 기난은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태워 주계열을 이탈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나이는 약 20억 년, 질량은 태양의 1.5 배, 반지름은 태양의 약 28 배, 표면온도는 4294 켈빈이다. 유효온도는 태양보다 낮지만 별이 크게 부풀어 있기 때문에 전체 광도는 태양의 약 302 배에 이른다.[3]

명칭

남십자자리 엡실론(ε Crucis)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이름이다.

고유명칭 기난(Ginan)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거주하는 와다만족이 부르는 이름이다.[9]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구성하여[10]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공식 등재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기난은 2017년 11월 19일 발표한 공고문에 포함되었으며 현재 국제천문연맹 공식 항성목록에 등재되어 있다.[7]

포르투갈어로 인트로메치다 Intrometida (참견하기 좋아하는 것)로 불리기도 한다.[11]

문화

기난은 남십자성을 상징물로 쓰는 여러 국기나 단체 깃발에 등장한다.(다만 나머지 네 별만 표시하고 기난을 빼는 경우도 있다.)

왼쪽: 사진 중앙부에서 오른쪽에 푸른색으로 밝게 빛나는 별이 기난이다. 색채는 적외선 중 특정영역을 표시하며 푸른색은 3.4~4.6 마이크로미터 대(帶)에 해당된다. 오른쪽: 센타우루스자리 일부(좌하단, 왼쪽이 알파이고 오른쪽이 베타)와 남십자자리(우상단). 태즈메이니아 호바트에서 촬영.

각주

  1. van Leeuwen, F.; 외.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da Silva, L.; 외. (November 2006), “Basic physical parameters of a selected sample of evolve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8 (2): 609–623, arXiv:astro-ph/0608160, Bibcode:2006A&A...458..609D, doi:10.1051/0004-6361:20065105 
  3. Jofré, E; Petrucci, R; Saffe, C; Saker, L; de la Villarmois, E. Artur; Chavero, C; Gómez, M; Mauas, P. J. D (2015). “Stellar parameters and chemical abundances of 223 evolved stars with and without planets”. 《Astronomy & Astrophysics》 574: A50. arXiv:1410.6422. Bibcode:2015A&A...574A..50J. doi:10.1051/0004-6361/201424474. 
  4.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5. Mermilliod, J.-C (1986).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Catalogue of Eggen's UBV data》. Bibcode:1986EgUBV........0M. 
  6.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7.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9. “IAU Approves 86 New Star Names From Around the World” (보도 자료). IAU.org. 2017년 12월 11일. 
  10.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1. da Silva Oliveira, R.,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Archived 2013년 12월 6일 - 웨이백 머신, Artigos: Planetario Movel Inflavel AsterDomus.
  12.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좌표:   12h 21m 21.6s, −60° 24′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