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쥐아목
다람쥐아목 또는 청설모아목(Sciuromorpha)은 대다수의 설치류가 포함되어 있는 아목이다. 사실, 모든 변종들 중 가장 흔한 과는 다람쥐과(청설모과)이다. 대다수의 정의 또한 산비버를 포함하고 있다.
다람쥐아목 | ||
---|---|---|
Ammospermophilus leucurus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하강: | 진수하강 | |
상목: | 영장상목 | |
(미분류): | 설치동물 | |
목: | 쥐목 | |
아목: | 다람쥐아목 (Sciuromorpha) Brandt, 1855 | |
과 | ||
|
전통적으로 이 용어는 안와하관의 모양에 기반을 두고 정의하여 왔다. 다람쥐아목형 협골궁형 교근은 주둥이 측면을 따라서 측면 깨물근에 붙어 있는 특징이 있다. 바늘두더지아목형과 쥐아목형 설치류와는 달리, 중앙의 깨물근은 안와하관을 통과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설치류 중에서는, 단지 다람쥐과, 비버과, 흙파는쥐과,그리고 주머니고퍼과들만이 실제로 다람쥐아목형이다. 일부 권위자들은 중앙의 깨물근이 관골궁 뒤에 바로 붙기 때문에 주머니고퍼과와 흑파는쥐과를 이 목록에서 배제하기도 한다.
2005년, 칼레톤(Carleton)과 무세르(Musser)는 형태학적이며 분자생물학적인 수많은 이유를 근거로 설치류 아목들을 재정의하였다. 이들은 다람쥐과와 산비버과, 겨울잠쥐과의 3개과를 다람쥐아목으로 정의했다. 이들 중, 다람쥐과만이 실제로 다람쥐아목형이다. 산비버과는 원시설치류형이고, 겨울잠쥐과는 쥐아목형이다. 산비버과와 다람쥐과의 관계는 과거에 수없이 많이 제안되어 왔다. 이 2개 과는 다람쥐하목(Sciurida) 또는 다람쥐상과(Sciuroidea)로 통합되기도 한다.
겨울잠쥐과(Gliridae)는 특히 쥐아목과 관련이 없을 것이라고 오랫동안 추측되어 왔으며, 이들의 협골궁형 교근 구조는 "의사-쥐아목형"(pseudomyomorphy)이라는 용어로 불린다. 다람쥐와 겨울잠쥐 사이의 관계는 거의 유전학적인 연구를 통해서만, 그리고 멸종된 설치류 Reithroparamys를 통해서 어느 정도 추측되어 왔다.
현재 분류
편집다람쥐아목에는 7개 과, 61개 속에 307종의 현존하는 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쥐목의 계통 분류이다.[1]
쥐목 |
| ||||||||||||||||||||||||||||||||||||||||||||||||||||||
참고 문헌
편집- Carleton, M. D. and G. G. Musser. 2005. Order Rodentia. Pp745-752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 Heritage S. et al. 2016. Ancient phylogenetic divergence of the enigmatic African rodent Zenkerella and the origin of anomalurid gliding. PeerJ 4: e2320; doi: 10.7717/peerj.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