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개즙정체

쓸개즙이 간에서 나가지 못하는 질환
(담즙 분비 중지에서 넘어옴)

쓸개즙정체(cholestasis) 또는 담즙정체(膽汁停滯), 담즙울체(膽汁鬱滯)는 쓸개즙에서 샘창자로 흘러 나가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두 가지 기본적인 분류는 담석이나 종양에 의해 쓸개즙이 지나가는 이 막혀서 발생하는 폐쇄성과, 유전적 요인이나 여러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쓸개즙 형성에 이상이 생기는 대사성이 있다. 급성/만성이나 간내(intrahepatic)/간외(extrahepatic)로도 구분할 수 있다.

쓸개즙정체
다른 이름담즙정체, 담즙울체, 담즙분비장애, 담즙분비이상
간 조직에 쓸개즙(노란색)이 머무르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 H&E 염색.
진료과소화기내과

증상과 징후

편집

원인에 따라 쓸개즙정체의 증상과 소견이 다르게 나타난다.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 원인 질환은 급성일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서서히 나타난다면 만성인 병적 상황을 시사한다.[1] 많은 경우에서 환자는 복통을 호소한다. 우상복부 통증은 쓸개염이나 담석증을 시사하는 소견일 수 있으며, 두 질환 모두 쓸개즙정체로 진행할 수 있다.[2][3]

가려움증이 종종 쓸개즙정체 환자에서 나타난다.[4]가려운 곳을 긁으면서 눈에 보이는 긁은 자국이 보이기도 한다.[1] 가려움증으로 인해 피부 질환으로 오진하는 경우도 자주 있으며, 특히 동반 증상으로 황달이 없는 경우 잘못 진단하기 더 쉬워진다.[1] 일반적으로 가려움증은 특히 저녁 시간 중에 하루가 갈수록 더 심해진다.[5] 밤중에 가려움증은 급격히 호전된다. 이렇게 가려움증이 낮과 밤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낮 동안 음식을 먹으면서 쓸개즙 성분의 농도가 증가하고, 밤에는 감소하기 때문이다.[1] 가려움증은 주로 팔다리에 국한되어 생기지만 보다 넓은 부위에 나타나기도 한다.[5]

많은 환자들에서 쓸개즙정체로 인해 황달이 발생한다.[6] 보통 피부, 입 안의 점막, 결막 등을 신체검사했을 때 노란 색소 침착이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1][7] 황달은 간내 (대사성) 쓸개즙정체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폐쇄성 쓸개즙정체일 때 흔하다. 만성 쓸개즙정체 환자 다수는 피로감도 겪는다.[8] 이는 부신겉질자극호르몬 축의 결함이나 다른 신경전달 이상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1] 간혹 피부 밑에 지방이 축적되어 황색종이 생기기도 한다.[9] 황색종은 대개 반질반질하며 노란색을 띄고, 주로 눈이나 관절 주변에 생긴다.[10] 혈액 내 지질이 쌓이면서 황색종이 생긴다.[11]

쓸개즙은 지용성 비타민 흡수에 필요하다.[12] 따라서 쓸개즙정체 환자는 쓸개즙의 흐름이 감소하면서 비타민 A, D, E, K의 결핍증에 걸릴 수 있다.[13] 또한 쓸개즙이 간에서 나오지 않으면서 무색의 대변이나 어두운 색 소변을 보기도 한다.[1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hah R, John S (2021). 〈Cholestatic Jaundice〉.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29489239. 2021년 12월 2일에 확인함. 
  2. Brady P (May 2016). “Commentary on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 Clinical Features of Choledocholithiasis: Focus on Abdominal Pain"”. 《Southern Medical Journal》 109 (5): 294–295. doi:10.14423/smj.0000000000000462. PMID 27135725. 
  3. Schirmer BD, Winters KL, Edlich RF (2005). “Cholelithiasis and cholecystitis”. 《Journal of Long-Term Effects of Medical Implants》 15 (3): 329–338. doi:10.1615/JLongTermEffMedImplants.v15.i3.90. PMID 16022643. 
  4. Bergasa NV (June 2015). “The pruritus of cholestasis: facts”. 《Hepatology》 61 (6): 2114. doi:10.1002/hep.27582. PMID 25345776. S2CID 43356558. 
  5. Langedijk JA, Beuers UH, Oude Elferink RP (2021). “Cholestasis-Associated Pruritus and Its Pruritogens”. 《Frontiers in Medicine》 8: 639674. doi:10.3389/fmed.2021.639674. PMC 8006388. PMID 33791327. 
  6. Gordon SC (September 1991). “Jaundice and cholestasis. Some common and uncommon causes”. 《Postgraduate Medicine》 90 (4): 65–71. doi:10.1080/00325481.1991.11701060. PMID 1891435. 
  7. Fargo MV, Grogan SP, Saguil A (February 2017). “Evaluation of Jaundice in Adults”. 《American Family Physician》 95 (3): 164–168. PMID 28145671. 
  8. Kumar D, Tandon RK (July 2002). “Fatigue in cholestatic liver disease--a perplexing symptom”.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78 (921): 404–407. doi:10.1136/pmj.78.921.404. PMC 1742427. PMID 12151655. 
  9. Pearson HJ, Mosser JL, Jacks SK (November 2017). “The triad of pruritus, xanthomas, and cholestasis: Two cases and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ic Dermatology》 34 (6): e305–e308. doi:10.1111/pde.13306. PMID 29144045. S2CID 13254835. 
  10. Zak A, Zeman M, Slaby A, Vecka M (June 2014). “Xanthomas: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al relations”. 《Biomedical Papers of the Medical Faculty of the University Palacky, Olomouc, Czechoslovakia》 158 (2): 181–188. doi:10.5507/bp.2014.016. PMID 24781043. 
  11. Parker F (1985). “Xanthomas and hyperlipidemia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영어) 13 (1): 1–30. doi:10.1016/S0190-9622(85)70139-9. PMID 4031142. 
  12. Rods J, Benhamou JP, Blei AT, Reichen J, Rizzetto M, 편집. (2007년 6월 18일). 《Textbook of Hepatology》 (영어). Oxford, UK: Blackwell Publishing Ltd. doi:10.1002/9780470691861. ISBN 978-0-470-69186-1. 
  13. Sokol RJ (December 1994). “Fat-soluble vitamins and their importance in patients with cholestatic liver diseases”. 《Gastroenter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3 (4): 673–705. doi:10.1016/s0889-8553(21)00165-5. PMID 7698827. 
  14. Hilscher MB, Kamath PS, Eaton JE (October 2020). “Cholestatic Liver Diseases: A Primer for Generalists and Subspecialists”. 《Mayo Clinic Proceedings》 (영어) 95 (10): 2263–2279. doi:10.1016/j.mayocp.2020.01.015. PMID 33012354. S2CID 22215406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