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류
대비류(大鼻類, Macronaria)는 용각하목 하위의 분류군으로, 쥐라기 중기부터 백악기 후기까지 서식했다. 처음 분류된 것은 1998년이다. 영어 이름은 그리스어 낱말 'μακρός'(makros, 큰)와 라틴어 낱말 'nares'(콧구멍)의 합성어로, 머리 윗부분에 열린 큰 콧구멍이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대비류 | ||
---|---|---|
대비류의 속들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룡강 | |
상목: | 공룡상목 | |
목: | 용반목 | |
아목: | 용각아목 Wilson & Sereno, 1998 | |
(미분류): | 신용각류 | |
(미분류): | 대비류 | |
하위 항목 | ||
문단 참고
|
분류
편집대비류는 브라키오사우루스과와 티타노사우루스류 등을 포함하며, 중생대를 통틀어 가장 거대한 공룡들의 분류이다.
하위 분류
편집아래의 분류는 Mannion 외의 2013년 연구[1], D'Emic의 2012년 연구[2] 등을 따랐다.
- 대비류 (Macronaria)
- 아브로사우루스 (Abrosaurus)[3]
- 갈베오사우루스 (Galveosaurus)
- 다노사우루스 (Daanosaurus)
- 동베이티탄 (Dongbeititan)
- 루소티탄 (Lusotitan)
- 아라고사우루스 (Aragosaurus)
- 자넨스키아 (Janenschia)
- 카마라사우루스과 (Camarasauridae)[4]
- 티타노사우루스형류 (Titanosauriformes)
- 두리아티탄 (Duriatitan)[5]
- 바오티탄만사우루스 (Baotianmansaurus)
- 브라키오사우루스 노우가레디 (Brachiosaurus nougaredi)
- 소노라사우루스 (Sonorasaurus)
- 아우스트랄로도쿠스 (Australodocus)
- 오르니톱시스 (Ornithopsis)[6]
- 지우타이사우루스 (Jiutaisaurus)
- 푸수이사우루스 (Fusuisaurus)
- 후쿠이티탄 (Fukuititan)
- 브라키오사우루스과 (Brachiosauridae)
- 공척류 (空脊類, Somphospondyli : 그리스어 낱말 σομφός[somphos, 스펀지처럼 구멍이 많은]과 σπόνδυλος[spondylos, 척추]의 합성어[7])
- 고비티탄 (Gobititan)
- 디아만티나사우루스 (Diamantinasaurus)
- 루양고사우루스 (Ruyangosaurus)
- 리우방고사우루스 (Liubangosaurus)
- 리가부에사우루스 (Ligabuesaurus)
- 말라르구에사우루스 (Malarguesaurus)
- 부경고사우루스 (Pukyongosaurus)
- 브론토메루스 (Brontomerus)
- 사우로포세이돈 (Sauroposeidon)
- 소니도사우루스 (Sonidosaurus)
- 아구스티니아 (Agustinia)[1]
- 아르겐티노사우루스 (Argentinosaurus)
- 아스트로포카우디아 (Astrophocaudia)
- 앙골라티탄 (Angolatitan)
- 윈토노티탄 (Wintonotitan)
- 추부티사우루스 (Chubutisaurus)
- 타스타빈사우루스 (Tastavinsaurus)
- 탕바요사우루스 (Tangvayosaurus)
- 펠로로사우루스 (Pelorosaurus)
- 푸위앙고사우루스 (Phuwiangosaurus)
- 후앙헤티탄 (Huanghetitan)
- (명칭 미확정 분류군)[8]
- 에우헬로푸스과 (Euhelopodidae)
- 티타노사우루스류 (Titanosauria)
계통 분류
편집아래의 분지도는 José Luis Barco Rodríguez의 2010년 연구를 따랐다.[9]
대비류 |
| ||||||||||||||||||||||||||||||||||||||||||||||||
아래의 분지도는 José L. Carballido, Oliver W. M. Rauhut, Diego Pol and Leonardo Salgado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10]
카마라사우루스형류 (Camarasauromorpha) |
| ||||||||||||||||||||||||||||||||||||||||||||||||||||||||||||||||||
아래의 분지도는 D'Emic이 단순화시킨 것이다.[2]
대비류 |
| |||||||||||||||||||||||||||
그 외에 Mateus 외의 분지도 (2011)[11], Mannion 외의 분지도 (2013)[12] 등을 참고하라.
각주
편집- ↑ 가 나 P. D. Mannion, P. Upchurch, R. N. Barnes and O. Mateus. 2013. Osteology of the Late Jurassic Portuguese sauropod dinosaur Lusotitan atalaiensis (Macronaria) and the evolutionary history of basal titanosauriform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8:98-206
- ↑ 가 나 D'Emic, M. D. (2012). “The early evolution of titanosauriform sauropod dinosaur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6 (3): 624–671. doi:10.1111/j.1096-3642.2012.00853.x.
- ↑ P. Upchurch, P. M. Barrett, and P. Dodson. 2004. Sauropoda. In D. B. Weishampel, H. Osmolska, and P. Dodson (eds.), The Dinosauria (2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59-322
- ↑ Mocho, P., Royo‐Torres, R., & Ortega, F. (2014). Phylogenetic reassessment of Lourinhasaurus alenquerensis, a basal Macronaria (Sauropoda)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rtugal.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0(4), 875-916.
- ↑ Paul M. Barrett, Roger B.J. Benson and Paul Upchurch (2010). “Dinosaurs of Dorset: Part II, the sauropod dinosaurs (Saurischia, Sauropoda) with additional comments on the theropods”. 《Proceedings of the Dorset Natural History and Archaeological Society》 131: 113–126.
- ↑ P. D. Mannion. 2010. A revision of the sauropod dinosaur genus 'Bothriospondylus' with a redescription of the type material of the Middle Jurassic form 'B. madagascariensis. Palaeontology 53(2):277-296
- ↑ Jeffrey A. Wilson & Paul C. Sereno (1998), Early Evolution And Higher-Level Phylogeny Of Sauropod Dinosaurs,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Memoir 5 ·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Volume 18. Supplement to Number 2, p53
- ↑ 가 나 다 라 Lü, J.; Xu, L.; Pu, H.; Zhang, X.; Zhang, Y.; Jia, S.; Chang, H.; Zhang, J. et al. (2013). "A new sauropod dinosaur (Dinosauria, Sauropoda) from the late Early Cretaceous of the Ruyang Basin (central China)". Cretaceous Research.
- ↑ José Luis Barco Rodríguez (2010). “Implicaciones filogenéticas y paleobiogeográficas del saurópodo Galvesaurus herreroi Barco, Canudo, Cuenca-Bescós y Ruiz-Omeñaca 2005”.
- ↑ José L. Carballido, Oliver W. M. Rauhut, Diego Pol and Leonardo Salgado (2011). “Oste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ehuelchesaurus benitezii (Dinosauria, Sauropoda) from the Upper Jurassic of Patagoni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3 (2): 605–662. doi:10.1111/j.1096-3642.2011.00723.x.
- ↑ Mateus, O., Jacobs, L. L., Schulp, A. S., Polcyn, M. J., Tavares, T. S., Buta Neto, A., ... & Antunes, M. T. (2011). Angolatitan adamastor, a new sauropod dinosaur and the first record from Angola. Anais da Academia Brasileira de Ciências, 83(1), 221-233.
- ↑ Mannion, P. D., Upchurch, P., Barnes, R. N., & Mateus, O. (2013). Osteology of the Late Jurassic Portuguese sauropod dinosaur Lusotitan atalaiensis (Macronaria) and the evolutionary history of basal titanosauriform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8(1), 98-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