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기 녹유 탁잔

도기 녹유 탁잔(陶器 綠釉 托盞, 영어: Green-glazed Earthenware Cup with Stand)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황녹색 유약을 발라 만든, 도기 잔과 그 받침이다. 출토지는 알 수 없으며, 대한민국의 보물 제453호로 지정되어 있다.

도기 녹유 탁잔
(陶器 綠釉 托盞)
(Green-glazed Earthenware Cup with Stand)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도기 녹유 탁잔(陶器 綠釉 托盞)
종목보물 제453호
(1967년 6월 21일 지정)
수량1개
시대삼국시대 초기(7세기)
소유국유
관리 국립중앙박물관
참고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녹유
위치
주소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좌표북위 35° 49′ 46.0″ 동경 129° 13′ 40.5″ / 북위 35.829444° 동경 129.227917°  / 35.829444; 129.22791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현지 안내문

편집

도기 녹유 탁잔(陶器 綠釉 托盞)은 황녹색 유약을 입혀서 만든 잔으로 잔을 받치기 위한 접시모양의 받침과 뚜껑을 모두 갖추고 있다.[1]

곡선이 매우 완만한 접시모양 잔 받침의 안쪽 중앙에는 잔을 고정시키기 위한 원통형 잔받이가 높게 솟아 있으며, 잔 바닥에는 길다란 다리가 붙어 있어 접시의 잔받이에 들어가 얹히도록 하였다. 잔 뚜껑 꼭대기에는 보주(寶珠) 모양의 꼭지가 달려있다. 잔이 반구형 모양인데 비해 뚜껑은 경사면에서 지붕처럼 가라앉은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이와같은 뚜껑의 곡선은 무녕왕릉에서 출토된 은제탁잔에서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 탁잔 뚜껑에서부터 나타나는 장식적 요소의 한 특징이라 하겠다.[1]

황녹색의 유약이 비교적 두껍게 발라져 고른 유약 처리를 하였으나, 연질이어서 많은 부분이 벗겨져 암회색의 바탕흙이 노출되었다. 접시와 잔의 몸통 부분과 뚜껑에는 평행선 줄무늬가 새겨져 있다.[1]

출토지와 제작장소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의 탁잔 양식, 특히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은제탁잔과 매우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일신라기의 청동기에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1]

형태

편집

고화도 소성의 회백색 바탕흙에 녹유를 입힌, 침잔으로 잔과 잔받침이 있다. 잔은 반구형에 작고 짧은 굽이 특징이며, 뚜껑에는 작은 보주형 꼭지가 달려 있다. 받침에도 짧은 굽이 있는데, 받침 내면에 잔을 꽂을 수 있도록 장치하였으며 음각선이 새겨져 있다.[2]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2. “도기 녹유 탁잔”. 국립중앙박물관. 2014년 6월 1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