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지 않는 다리
돌아오지 않는 다리 또는 돌아올 수 없는 다리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인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공동 경비 구역 서쪽에 흐르는 판문천에 위치한다. 1953년 한국휴전협정 체결 후에 이 다리를 통해 포로 송환이 이루어졌다. 다리의 이름은 포로들이 한 번 다리를 건너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본래의 다리 이름은 널문다리였으며, 1953년 7월 휴전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포로 송환용으로 쓰인 적은 1968년 푸에블로 호 선원들이 석방되어 다리를 통해 대한민국으로 건너간 때가 마지막이다.[1][2] 이 다리는 1976년 8월 도끼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서 판문점으로 들어오는 용도로 자주 쓰였다.[3] 사건 발생 이후 국제 연합 사령부는 공동 경비 구역 내에서도 군사 분계선을 구분 짓도록 하였고,[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72시간만에 판문점 서쪽에 새로운 다리를 만들면서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4]
한반도 군사 분계선이 다리 가운데 부분을 지나가며, 다리의 양쪽 끝부분에는 각 국가의 초소가 위치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소는 KPA#4으로 불리며, 1980년대 중반 폐쇄된 국제 연합 사령부(UNC) 검문소는 CP#3으로 불렸다. CP#3는 나무가 둘러싸여 있어서, 동계 기간에는 UNC OP#5(오늘날 CP#3로 개명) 초소에서만 관측할 수 있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군 (KPA)은 옛 CP#3 초소에서 UNC 병사를 납치하여 다리를 지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토로 데리고 가려는 시도를 수없이 많이 하였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토와의 근접성, 모든 접근 경로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소로 에워싸여 있다는 점, 근무하는 UNC 병사를 납치하려는 시도가 반복된다는 점 때문에 CP#3를 "세상에서 가장 고립된 전초 기지"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2003년에 다리를 보수할 필요가 있게 되자 미국 정부가 다리를 보수하거나 교체하자는 제안을 하였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서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5]
주요 사건
편집- 1953년 4월 리틀 스위치 작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휴전 23주 분단의 길목 돌아오지 않는 다리”. 동아일보. 1976년 7월 27일.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사연 많은 돌아오지 않는 다리”. 동아일보. 1968년 12월 24일.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판문점 분할 발효”. 동아일보. 1976년 9월 16일.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북괴 판문점에 새 시설물 다리”. 동아일보. 1976년 12월 11일.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Dangerous divide”. 《CNN transcripts September 2003》. 2006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Bernstein, Barton. “The Struggle over the Korean Armistice: Prisoners of Repatriation?” in Child of Conflict: The Korean-American Relationship 1943-1953,ed. Bruce Cumings (1983).
- ↑ U.S. Army Forces, Far East, 8086th Army Unit, Military History Detachment.Operation Little Switch, 4 vols., 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