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의 향토문화재
동두천시의 향토문화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동두천시장이 지정·고시한 것을 말한다.[1]
- 「문화재보호법」또는「경기도 문화재 보호 조례」에 의하여 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것으로서 향토의 역사, 예술상, 학술상 및 기술상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문화적 소산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
- 향후 문화재로서 보존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문화유산
- 향토문화, 토속, 풍속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
지정 기준
편집향토문화재의 지정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2]
- 유형문화재 :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향토문화의 보존에 필요한 것
- 무형문화재 : 연극·음악·무용·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향토문화의 보존에 필요한 것
- 기념물 : 사지·패총·고분·성지·궁지·요지·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 및 경승지, 동물(그 서식, 번식지, 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그 자생지를 포함한다) ·광물·동굴, 지질·생물학적 생성물 및 특별한 자연 현상으로서 향토문화의 보존에 필요한 것
- 민속자료 : 의식주·생업·신앙·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기구·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 중 향토문화의 보존에 필요한 것
지정 목록
편집유형
편집번호 | 그림 | 명칭 | 소재지 | 소유자 (관리자) |
지정·해제일자 | 비고 |
---|---|---|---|---|---|---|
1호 | 사패지 경계석 | 동두천시 평화로 2910번길 96-63 | 이계홍 (자유수호평화박물관) |
1986년 4월 28일 지정 | [1] | |
2호 | 목행선선생묘역 | 동두천시 지행동 산11-1 | 목종대 | 1986년 4월 28일 지정 | ||
3호 | 홍덕문선생추모비 | 동두천시 상봉암동 산32-1 | 동두천시 | 1986년 4월 28일 지정 | [2] | |
4호 | 어유소장군묘역 | 동두천시 광암동 산65 | 어성운 | 1986년 4월 28일 지정 | [3] | |
5호 | 탑동 석불 | 동두천시 천보산로359번길 22 (탑동동) | 최호원 | 1986년 4월 28일 지정 | [4] | |
6호 | 정사호선생묘역 | 동두천시 안흥동 산 21-6 | 저영호 | 1986년 4월 28일 지정 | ||
7호 | 어유소장군사당 | 동두천시 탑신로 237번길 182-45 (탑동동) | 어진용 | 1986년 4월 28일 지정 | ||
8호 | 자재암 | 동두천시 평화로 2910번길 140 | 사찰주지 | 1986년 4월 28일 지정 | ||
9호 | 삼충단 | 동두천시 삼육사로 577번길 167 | 성균관유도회 동두천지부 | 1986년 4월 28일 지정 | [5] | |
(高靈申氏 神道碑群) |
1986년 4월 28일 지정, 2011년 7월 13일 해제, 신도비 이전 현상변경 |
[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11호 | 동점마을 암각문 | 동두천시 탑동동 336 | 어진용 | 1998년 10월 12일 지정 |
무형
편집번호 | 그림 | 명칭 | 소재지 | 전승자 (관리단체) |
지정·해제일자 | 비고 |
---|---|---|---|---|---|---|
(東豆川民謠) |
2008년 5월 15일 지정, 2013년 12월 31일 해제, 경기 무형문화재 55호로 승격 |
|||||
2호 | 동두천하봉암도당굿 | 동두천시 생연동 645-51 | 동두천하봉암도당굿보존회 | 2010년 12월 30일 지정 | [7] | |
3호 | 이담농악 | 동두천시 어수로 4 | 이담농악보존회 | 2017년 1월 2일 지정 | [8] |
각주
편집- ↑ 동두천시 향토문화재 보호 조례 제2조
- ↑ 동두천시 향토문화재 보호 조례 제9조
참고 문헌
편집- 동두천시 홈페이지 - 고시/공고 Archived 2019년 5월 3일 - 웨이백 머신
- 동두천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