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베
두베[10] 또는 큰곰자리 알파(Alpha UMa, α UMa)는 큰곰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바이어 명명법 명칭인 '알파'와 달리 별자리에서 가장 밝지는 않다.
두베 Dubhe | ||
큰곰자리 성도(星圖). 두베(Dubhe)는 그림 중앙에서 약간 위에 있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큰곰자리 알파, α UMa, Alpha UMa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큰곰자리 50 | |
밝은 별 목록 | HR 430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95689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5384 | |
소천성표 | BD+62°116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54061 | |
다른 이름 | 아크, Ak, CCDM J11037+6145AB, FK5 417, GC 15185, PPM 17705, WDS J11037+6145AB[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큰곰자리 | |
적경(α) | 11h 03m 43.67152s[2] | |
적위(δ) | +61° 45′ 03.7249″[2] | |
겉보기등급(m) | 1.79[3] | |
절대등급(M) | –1.10 ± 0.04[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9 km/s[5] | |
적경 고유운동 | –134.11 mas/년[2] | |
적위 고유운동 | –34.70 mas/년[2] | |
성질 | ||
광도 | A: 316 L☉[6] | |
분광형 | A: K0 III[6] + B: F0 V[7] | |
U-B 색지수 | +0.93[3] | |
B-V 색지수 | +1.07[3] | |
변광성 분류 | 변광성으로 의심됨.[8] | |
추가 사항 | ||
질량 | A: 4.25 / B: ~1.6 M☉[6] | |
표면온도 | A: 4,660 K[9] | |
중원소 함량 (Fe/H) | A: –0.20 ± 0.07[9] | |
표면 중력 (log g) | A: 2.46[9] | |
항성 목록 |
설명
편집두베는 북두칠성의 일원이며 북극성 폴라리스를 향해 나란히 놓여 있는 두 별 중 하나이다. 지구로부터 약 123 광년 떨어져 있으며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여 주계열 단계를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이다. 맨눈으로 볼 때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사실 두베는 분광쌍성으로 짝별은 분광형 F0 V의 주계열성이다. 두 별은 평균적으로 약 23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질량중심을 44.4년에 1회 공전하고 있다.[7]
이외에 주인별로부터 8 분각 떨어진 곳에 F8 분광형, 7 등급 밝기의 분광쌍성이 또 있다. 이 분광쌍성은 '큰곰자리 알파 C'로 불리기도 하나, 두베와는 별도로 HD 95638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7]
두베는 1000분의 1 등급 진폭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지금까지 10 가지의 방사진동 형태가 관측되었으며 그 주기는 6.4 시간부터 6.4 일 사이이다.[11]
두베는 큰곰자리를 이루는 구성원이기는 하나 큰곰자리 운동성단(우주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보여주는 별의 무리)에는 속해 있지 않다.[12]
명명법
편집큰곰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 방식으로 붙인 이름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에는 두베와 '아크'가 있다. 두베는 아랍어로 곰을 의미하는 단어 '두브'에서 왔다. 이 '두브'는 아랍어 구문 ظهر الدب الاكبر ('자르 아드-두브 알-아크바르', 큰곰의 등)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잘 불리지 않는 이름 '아크'는 '눈'이라는 뜻이다.[13]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하는 취지하에 WGSN(항성명칭심의위원회)을 조직했다.[14] 2016년 7월 위원회에서 최초로 발표한 항성명칭 고시문에 두베가 포함되어 정식명칭으로 등재되었다.[15]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두베는 자미원(紫微垣)의 북두(北斗, '북쪽의 국자')에 속해 있다. 북두는 두베, 큰곰자리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의 일곱 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두베의 단독 명칭은 북두일(北斗一, '북두의 첫 번째 별) 또는 천추(天樞)이다.[16]
문화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UBHE -- Spectroscopic binary”,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 Carney, Bruce W.; 외. (March 2008), “Rotation and Macroturbulence in Metal-Poor Field Red Giant and Red Horizontal Branch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3): 892–906, arXiv:0711.4984, Bibcode:2008AJ....135..892C, doi:10.1088/0004-6256/135/3/892
-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 ↑ 가 나 다 Guenther, D. B.; Demarque, P.;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Kreidl, T. (2000). “Evolutionary Model and Oscillation Frequencies for α Ursae Majoris: A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0 (1): L45–L48. Bibcode:2000ApJ...530L..45G. doi:10.1086/312473. PMID 10642202.
- ↑ 가 나 다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 가 나 다 McWilliam, Andrew (December 1990),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urvey of 671 GK giants. I - Stellar atmosphere parameters and abundance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4: 1075–1128, Bibcode:1990ApJS...74.1075M, doi:10.1086/191527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Shupe, D.; Gautier, T. N.; Kreidl, T.; Everett, D. (2000). “The Detection of Multimodal Oscillations on α Ursae Majori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2 (2): L133. arXiv:astro-ph/0002512. Bibcode:2000ApJ...532L.133B. doi:10.1086/312573. PMID 10715242.
- ↑ Motz, Lloyd; Nathanson, Carol (1988).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Doubleday. 39쪽. ISBN 978-0385176002.
- ↑ 가 나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438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15 日”. 2014년 1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State of Utah. “Utah State Centennial Star - Dubhe”. 《Utah's Online Library》. 2019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Section Patrol Craft Photo Archive Dubhe (ID 2562)”. 《NavSource Online》.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references>
태그 안에 정의된 "aj135_3_892"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에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