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차수열
수학에서 등차수열(等差數列, 문화어: 같은차수렬, 영어: arithmetic progression, AP 또는 arithmetic sequence)은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모두 일정한 수열을 뜻한다. 예를 들어 1, 3, 5, 7, 9, ...은 등차수열이다. 이때 두 항의 차이는 이 수열의 모든 연속하는 두 항들에 대해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차이므로, 공차(common difference)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앞의 수열의 공차는 2이다.
수열의 첫항을 , 공차를 라고 할 때, 일반항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등차수열 구하기
편집등차수열의 항과 공차 이용
편집번째 항을 , 공차를 라 하면 등차수열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물론 여기에 을 대입하면 잘 알려진 일반항으로 다음을 얻는다.
이를테면 제5번째 항이 9이고, 공차가 2라면
공차
편집등차수열에서 연속하는 두 수의 차이를 공차(公差)라고 한다. 보통 로 표시한다.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 1, 2, 3, 4,…으로 증가하는 수열이 있을 때, 공차 는 1이다.
- 1, 1, 1, 1, 1, … 이런 수열이 있을 때, 공차 는 0이다.(특히, 이런 수열을 상수수열이라고 한다)
- 2, 10, 18, 26, …으로 증가하는 수열이 있을 때, 공차 는 8이다.
- 342, 345, 348, 351 …으로 증가하는 수열이 있을 때, 공차 는 3이다.
- 0, -1, -2, -3, -4 …으로 증가하는 수열이 있을 때, 공차 는 -1이다.
는 - (단, 은 2)로 구할 수 있다. 또는 - - 로 구할 수 있다.
등차중항
편집세 수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때, 를 와 의 등차중항이라고 한다. 세 수 , , 에 대하여 가 와 의 등차중항이면 등차수열의 정의에 의해서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등차중항은 두 수를 1:1로 내분하는 등분점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세 수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때, 는 와 의 이등분점이다. 네 수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때, 는 와 의 1:2 내분점이고 는 와 의 2:1 내분점이다. 즉, 와 는 삼등분점이 된다.
수열의 정의상 함수처럼 생각하면 이를 내분점, 혹은 외분점의 의미로 받아 들일 수 있다. 항의 비로 표현이 가능하다.[1]
등차급수
편집등차급수(영어: arithmetic series)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난다. 초항부터 n번째 항까지의 합 은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 은, 즉
- 은, 즉
결론적으로 등차급수는 의 평균값 x 의 항의 개수로 정리할 수 있다.(단, 은 유한수열)
등차급수의 공식은 실생활에서는 도형의 넓이(ex-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 다른 방법
편집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합을 쉽게 계산 할 수 있다.
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등차수열의 합도 이와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양 끝의 합이 0이 되도록 양 끝의 합의 평균을 구해 항의 개수만큼 빼주는 것이다.
그 평균값을 m이라 하면
양변 m을 n개 빼주면 우변은 위와 같은 형태로 쉽게 0이 되어버린다.
등차급수의 무한합
편집첫항과 공차가 동시에 0이 아닌 어떤 등차수열 에 대하여, 이 수열의 무한합 은 항상 발산한다.
각주
편집같이 보기
편집- 등비수열
- 소수로 이루어진 등차수열
- 수열 슬라이드 자료 (위키버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