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문(아랍어: دلمون, 영어 : Dilmun 또는 Telmoon)[1]은 약 5000년 전 아시리아 문헌에 사르곤 2세와 그 후예들이 정복한 땅으로 언급된 곳이다. 문헌에 따르면, 딜문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인더스 문명 사이의 교역로인 페르시아만에 있었고, 바다와 자분 대수층에서 가까웠다.[2][3] 오늘날 동부 아라비아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딜문은 아라비아의 고대어인 동셈어군을 사용하는 정치 공동체로,[4][5] 오늘날 동부 사우디아라비아 지역을 포함해서 바레인,[6] 쿠웨이트,[7][8][9] 카타르 땅에 걸쳐 있었다.[10]

엘람, 마간, 딜문, 마르하시, 멜루하를 포함한 메소포타미아인들의 외국 영토의 위치.

딜문과 메소포타미아 사이에는 큰 규모의 상업과 무역 관계가 성립되어 있었다. 딜문이 수메르 창조 신화의 중심 인물로 등장할 정도였다.[11] 딜문은 엔키닌후르사그의 사가에서 살인도, 질병의 고통도 없으며, 사람들이 늙지 않는 파라디지아 상태로 존재한다고 묘사돼다.[11]

딜문은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세력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 나라는 페르시아만의 무역로를 통제하고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계곡 사이의 무역을 중개해 번성을 누렸다.[2][12] 수메르인들은 딜문을 신성한 장소로 여겼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으나,[13] 현재까지 알려진 어떤 고대 문헌에도 그런 식의 언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딜문을 무역의 파트너, 구리의 원천 사업가로 언급했다. 딜문 정원의 낙원에 대한 수메르 이야기는 에덴 동산 이야기에 영감을 주었을지도 모른다.[14][15][1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he former is the reconstructed Sumerian pronunciation; the latter is the reconstructed Semitic.
  2. Jesper Eidema, Flemming Højlund (1993). “Trade or diplomacy? Assyria and Dilmun in the eighteenth century BC”. 《World Archaeology》 24 (3): 441–448. doi:10.1080/00438243.1993.9980218. 
  3. “Dilmun and Its Gulf Neighbors”. 《Harriet E. W. Crawford》. 1998. 9쪽. 
  4. Smith, Sylvia (2013년 5월 21일). “Bahrain digs unveil one of oldest civilizations”. 《BBC News》 (BBC). 
  5. “Qal'at al-Bahrain – Ancient Harbour and Capital of Dilmun”. UNESCO. 2011년 8월 17일에 확인함. 
  6. “The Invention of Cuneiform: Writing in Sumer”. 《Jean-Jacques Glassner》. 1990. 7쪽. 
  7. Archived at Ghostarchive and the Wayback Machine: “Kuwait's archaeological sites reflect human history & civilizations (2:50 – 3:02)”. 《Ministry of Interior News》. 
  8. Calvet, Yves (1989). “Failaka and the Northern Part of Dilmun”. 《Proceedings of the Seminar for Arabian Studies》 19: 5–11. JSTOR 41223078. 
  9. “The Archaeology of Kuwait” (PDF). 《Cardiff University》. 5–427쪽. 
  10. “Prehistory and Proto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Bahrain”. 《M. A. Nayeem》. 1990. 32쪽. 
  11. The Arab world: an illustrated history p.4
  12. 이희수 (2022). 《인류본사》. 휴머니스트. 19쪽. 
  13. Rice, Michael (2004). 《Egypt's Making: The Origins of Ancient Egypt 5000–2000 BC》. Routledge. ISBN 978-1-134-49263-3. , page 230
  14. Edward Conklin. 《Getting Back Into the Garden of Eden》. 10쪽. 
  15. Kramer, Samuel Noah (1961).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Revised Edi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4–59쪽. ISBN 978-0-8122-1047-7. 2017년 5월 21일에 확인함. 
  16. Kramer, Samuel Noah (1963).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5–150쪽. ISBN 978-0-226-45238-8. In fact, there is some reason to believe that the very idea of a paradise, a garden of the gods, originated with the Sumerians.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