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과일의 종류
다른 뜻에 대해서는 라즈베리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즈베리(raspberry, 영국식 영어 발음: /ˈrɑ:zbəri/, 미국식 영어 발음: /ˈræzbɛri/)는 식용 가능한 산딸기속의 과일들을 일컫는 말이다. 원래는 루부스 이데우스(Rubus idaeus)라는 한 종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산딸기아속에 속하는 식물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1]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220 kJ (53 kcal) |
11.94 g | |
당분 | 4.42 g |
식이 섬유 | 6.5 g |
0.65 g | |
1.2 g |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3% 0.032 mg |
리보플라빈 (B2) | 3% 0.038 mg |
나이아신 (B3) | 4% 0.598 mg |
판토테산 (B5) | 7% 0.329 mg |
비타민 B6 | 4% 0.055 mg |
엽산 (B9) | 5% 21 μg |
콜린 | 3% 12.3 mg |
비타민 C | 32% 26.2 mg |
비타민 E | 6% 0.87 mg |
비타민 K | 7% 7.8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3% 25 mg |
철분 | 5% 0.69 mg |
마그네슘 | 6% 22 mg |
망간 | 32% 0.67 mg |
인 | 4% 29 mg |
칼륨 | 3% 151 mg |
아연 | 4% 0.42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85.8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2022년 세계 라즈베리 생산량은 947,852톤으로 러시아가 전체 생산량의 22%를 차지했다. 라즈베리는 북유럽과 북미 전역에서 재배되며 전체 과일, 보존 식품, 케이크, 아이스크림, 리큐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된다.[2] 라즈베리는 비타민 C, 망간, 식이섬유의 풍부한 공급원이다.
종류
편집한반도 특산종인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도 상표명 등에서 ‘라즈베리’로 불린다. 라즈베리는 거의 모든 환경에서 자랄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농산물이기도 하다. 현대에 널리 재배되고 있는 라즈베리 가운데 하나는 R. idaeus와 R. strigosus의 교배종이다.[3]
산딸기아속 식물 가운데 "라즈베리"로 불리는 것은 다음과 같다.
- 곰딸기 R. phoenicolasius Maxim.
- 라즈베리 R. idaeus L.
- R. idaeus subsp. strigosus (Michx.) Focke
- 멍석딸기 R. parvifolius L.
- 복분자딸기 R. coreanus Miq.
- 산딸기 R. crataegifolius Bunge
- 서양복분자 R. occidentalis L.
- R. ellipticus Sm.
- R. gunnianus Hook.
- R. leucodermis Douglas ex Torr. & A. Gray
- R. rosifolius Sm.
그 외에도 다음 식물이 "라즈베리"로 불린다.
생산
편집라즈베리 생산량 – 2018년 | |
---|---|
국가 | 생산량 (수천톤) |
러시아 | 166 |
멕시코 | 130 |
세르비아 | 127 |
폴란드 | 116 |
미국 | 99 |
전 세계 | 870 |
출처: 유엔 FAOSTAT[4] |
사진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lora of NW Europe: Rubus idaeus Archived 2007년 12월 6일 - 웨이백 머신
- ↑ 〈Raspberry | Description, Fruit, Cultivation, Types, & Facts〉. 《Encyclopedia Britannica》. 2023년 11월 24일. 2023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Huxley, A., ed. (1992).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ISBN 0-333-47494-5.
- ↑ “Production of raspberries in 2018; Pick list by Crops/Regions/Production Quantity”.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19. 2020년 6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