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품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는 것보다 수요가 더 많이 증가하는 좋은 상품
(명품에서 넘어옴)
사치품(奢侈品) 또는 명품(名品), 호사품(豪奢品)[1] 은 고소득 소비 계층을 겨냥하여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고, 적은 물량으로 고급스럽게 만들어 낸 상품이다. 사치품의 상표 (브랜드)는 제품을 최초 디자인하거나 회사를 설립한 사람 (장인, 세공사, 디자이너)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제품의 원가보다 상표 가치에 의한 값이 훨씬 높게 책정된다.[2][3]
종류
편집사치품은 거의 모든 분야에 고루 있지만, 빌라, 아파트를 포함하여 가구, 자동차, 술, 보석, 의류, 시계 등의 상품, 그리고 호텔, 레스토랑 등의 서비스 상품에 치중되어 있다.
과세
편집사치품은 "생활 필수품"[4]과 가장 거리가 먼 대상이다. 이와 같은 성격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제도적으로 특별히 세금[5]을 더 많이 부과한다. 사치품의 가격은 과세로 인해 더욱 올라가게 되고,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제한적으로나마 면세점(免稅店)[6]을 통해 구매하는 경향이 생기기도 한다.[7]
대표적인 호화 상표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국립 국어원 "호사품"
- ↑ 손일권. (2003.12.01). 《브랜드 아이덴티티 (100년 기업을 넘어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경영 정신. 총 532쪽 중 162~176쪽. ISBN 89-7288-214-3.
- ↑ 김민주. (2007.03.06). 《앞으로 3년, 대한민국 트렌드 (트렌드로 바라본 한국, 한국인의 미래)》. 한즈 미디어 (한스 미디어). 총 424쪽 중 292~293쪽. ISBN 89-5975-068-9.
- ↑ 국립 국어원 "생활 필수품"
- ↑ 두산 백과사전 "사치세 (Luxury Tax)"[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국립 국어원 "면세점"
- ↑ Vittori, Jean-Marc. (2009.07.20). 《비경제학자를 위한 경제학 사전 (일상마저 경제화된 오늘을 읽는다)》(프랑스어: Dictionnaire d'Économie à l'usage des Non-économistes). 경영 정신. 박수현 번역. 총 496쪽 중 281쪽. ISBN 978-89-7288-349-4.
- ↑ 한국 조세 연구원 "개별 소비세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두산 백과사전 "개별 소비세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사치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참고 문헌
편집- 김난도. (2007.03.29). 《사치의 나라 럭셔리 코리아》. 미래의 창. 총 264쪽. ISBN 89-5989-0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