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잠
미르잠(Mirzam)[13] 또는 큰개자리 베타(β CMa)는 큰개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500 광년(150 파섹) 떨어져 있는 항성이다.[3] 근대 별자리에서 미르잠은 '개의 앞발' 부위에 해당된다.
미르잠 Mirzam | ||
미르잠의 위치(B CMa) | ||
명칭 |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큰개자리 2 (2 CMa) | |
밝은 별 목록 | HR 2294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44743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51428 | |
소천성표 | BD−17°1467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30324 | |
다른 이름 | 무르짐, 미르자,[1] FK5 243, GC 8223, CCDM 06227-1757[2]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큰개자리 | |
적경(α) | 06h 22m 41.98535s[3] | |
적위(δ) | −17° 57′ 21.3073″[3] | |
겉보기등급(m) | 1.985[4] (1.97 - 2.01[5]) | |
절대등급(M) | −4.1[6]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33.7 km/s[7] | |
적경 고유운동 | −3.23 mas/yr[3] | |
적위 고유운동 | −0.78 mas/yr[3] | |
연주시차 | 6.62 ± 0.22 mas[3] | |
성질 | ||
광도 | 26600 L☉[8] | |
나이 | 12.4 ± 0.7 (백만 년)[9] | |
분광형 | B1 II-III[10] | |
U-B 색지수 | −0.99[4] | |
B-V 색지수 | −0.235[4] | |
변광성 분류 | β Cep[11] | |
추가 사항 | ||
질량 | 13.5 ± 0.5 M☉[9] | |
반지름 | 9.7 ± 1.3 R☉[8] | |
표면온도 | 23,150 K[12] | |
중원소 함량 (Fe/H) | 0.04 ± 0.10[9] | |
표면 중력 (log g) | 3.79 ± 0.20 cgs[8] | |
자전 속도 | 31 ± 5 km/s[9] | |
항성 목록 |
명칭
편집큰개자리 베타(Beta Canis Majoris)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표기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 미르잠(Mirzam) 또는 알-무르짐(Al-Murzim), 무르짐(Murzim)은[1] 아랍어 مرزم ('전령')에서 온 것으로 이 명칭은 미르잠이 밤하늘에서 시리우스가 뜨는 것을 '미리 알리는'(시리우스보다 먼저 떠오르는) 위치에 착안하여 붙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2016년 7월 1차 공고에서 이 별에 미르잠 Mirzam 을 공식 고유명칭으로 부여하였다.[14][15]
중화권에서 미르잠은 큰개자리 누3, 큰개자리 15, 큰개자리 파이, 큰개자리 오미크론1, 큰개자리 크시1과 함께 군시(軍市, 군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구성원이다.[16] 이들 중 미르잠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군시1(軍市一)이다.[17] R. H. Allen은 이 명칭으로부터 미르잠의 이름을 Kuen She 로 표기했다.[1]
둔황 성도에는 미르잠이 Yeji ('장끼' 의미)로 표기되어 있으며 당대에는 이 별이 현재 위치보다 약 10 도 북쪽에 위치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8]
특성
편집주기 (일−1) |
진폭 (km s−1) |
---|---|
3.9793 | 2.7 |
3.9995 | 2.6 |
4.1832 | 0.7 |
미르잠은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6 시간 주기로 겉보기등급이 +1.97과 +2.01 사이에서 변동한다. 이 밝기 변화량은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 감지할 수 없다. 광도에 이런 변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항성의 외포층이 주기적으로 맥동하기 때문이다. 이 맥동 주기는 총 세 가지로 셋 다 주기가 약 6 시간이다. 이들 중 진폭이 큰 주기 둘은 합쳐져서 다시 약 50 일 주기의 맥놀이 주기를 갖는다. 가장 강한 맥동은 방사형 처음 배진동(radial first overtone)의 형태이며 두 번째 맥동은 비방사형 형태이다.[9]
이 별의 질량은 약 태양의 13 ~ 14 배이며[9] 반지름은 태양의 8 ~ 11 배이다.[8] 항성 외포층의 유효온도는 약 23150 켈빈으로 태양의 5778 켈빈보다 훨씬 뜨겁다. 전자의 높은 온도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로 인해 항성은 B형 별의 특징인 청백색 빛을 뿜는다.[12][20] 미르잠의 예상 나이는 1200 ~ 1300 만 년으로 미르잠 정도 질량의 항성은 거성으로 진화한 단계에 해당된다. 항성의 분광형 B1 II-III[10]은 이 별이 스펙트럼상으로 거성과 밝은 거성의 중간 단계에 위치해 있음을 뜻한다.
유럽 우주국의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미르잠은 450만 년 전 지구와 불과 40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이 당시 미르잠은 밤하늘에서 -3.6 등급의 밝기로 빛나고 있었는데, 이는 금성의 밝기와 거의 비슷한 값이다.[21]
문화
편집미르잠은 브라질의 국기에 있는 항성들 중 하나로 아마파주를 상징한다.[22]
무르짐 (AK-95) Murzim (AK-95)는 미국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으로 이 별의 고유 명칭들 중 하나를 따라 명명되었다.
각주
편집참조주
편집- ↑ 가 나 다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New York》: 129–130, Bibcode:1899sntm.book.....A
- ↑ “V* bet CMa -- Variable Star of beta Cep type”,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Cousins, A. W. J. (1972), “UBV Photometry of Some Very Bright Stars”, 《Monthly Note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31: 69, Bibcode:1972MNSSA..31...69C
- ↑ Balona, L. A.; Bregman, L.; Letsapa, B. A.; Magoro, B. T.; Walsh, S. E. (1996). “The Pulsation Frequencies of beta CMa”. 《Information Bulletin on Variable Stars》 4313: 1. Bibcode:1996IBVS.4313....1B.
- ↑ Shobbrook, R. R.; Handler, G.; Lorenz, D.; Mogorosi, D. (2006). “Photometric studies of three multiperiodic β Cephei stars: β CMa, 15 CMa and KZ Mu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69 (1): 171–181. arXiv:astro-ph/0603754. Bibcode:2006MNRAS.369..171S. doi:10.1111/j.1365-2966.2006.10289.x.
-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 ↑ 가 나 다 라 Hubrig, S.; 외. (June 2006), “Discovery of magnetic fields in the βCephei star ξ1 CMa and in several slowly pulsating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Letters》 369 (1): L61–L65, arXiv:astro-ph/0604283, Bibcode:2006MNRAS.369L..61H, doi:10.1111/j.1745-3933.2006.00175.x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Mazumdar, A.; 외. (November 2006), “An asteroseismic study of the β Cephei star β Canis Major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9 (2): 589–596, arXiv:astro-ph/0607261, Bibcode:2006A&A...459..589M, doi:10.1051/0004-6361:20064980
- ↑ 가 나 Abt, Helmut A.; 외.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2002ApJ...573..359A, doi:10.1086/340590
-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02025. Bibcode:2009yCat....102025S.
- ↑ 가 나 Zorec, J.; 외. (July 2009), “Fundamental parameters of B supergiants from the BCD system. I. Calibration of the (λ_1, D) parameters into Tef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1): 297–320, arXiv:0903.5134, Bibcode:2009A&A...501..297Z, doi:10.1051/0004-6361/200811147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2011-01-30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 Jean-Marc Bonnet-Bidaud; Dr Françoise Praderie & Dr Susan Whitfield (2009년 6월 16일). “The Dunhuang Chinese Sky: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Oldest Known Star Atlas”. 2014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Makemson 1941, 239쪽.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가이 콘솔매그노; 댄 데이비스. 《오리온 자리에서 왼쪽으로》. 해나무. 65쪽.
- ↑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2009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참고 서적
편집- Makemson, Maud Worcester (1941), 《The Morning Star Rises: An Account of Polynesian Astronomy》, Yal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