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잠

(무르짐에서 넘어옴)

미르잠(Mirzam)[13] 또는 큰개자리 베타(β CMa)는 큰개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500 광년(150 파섹) 떨어져 있는 항성이다.[3] 근대 별자리에서 미르잠은 '의 앞발' 부위에 해당된다.

미르잠
Mirzam
미르잠의 위치(B CMa)
미르잠의 위치(B CMa)
명칭
플램스티드 명명법 큰개자리 2 (2 CMa)
밝은 별 목록 HR 2294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44743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51428
소천성표 BD−17°1467
히파르코스 목록 HIP 30324
다른 이름 무르짐, 미르자,[1] FK5 243, GC 8223, CCDM 06227-1757[2]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큰개자리
적경(α) 06h 22m 41.98535s[3]
적위(δ) −17° 57′ 21.3073″[3]
겉보기등급(m) 1.985[4] (1.97 - 2.01[5])
절대등급(M) −4.1[6]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33.7 km/s[7]
적경 고유운동 −3.23 mas/yr[3]
적위 고유운동 −0.78 mas/yr[3]
연주시차 6.62 ± 0.22 mas[3]
성질
광도 26600 L[8]
나이 12.4 ± 0.7 (백만 년)[9]
분광형 B1 II-III[10]
U-B 색지수 −0.99[4]
B-V 색지수 −0.235[4]
변광성 분류 β Cep[11]
추가 사항
질량 13.5 ± 0.5 M[9]
반지름 9.7 ± 1.3 R[8]
표면온도 23,150 K[12]
중원소 함량 (Fe/H) 0.04 ± 0.10[9]
표면 중력 (log g) 3.79 ± 0.20 cgs[8]
자전 속도 31 ± 5 km/s[9]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명칭

편집

큰개자리 베타(Beta Canis Majoris)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표기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 미르잠(Mirzam) 또는 알-무르짐(Al-Murzim), 무르짐(Murzim)은[1] 아랍어 مرزم ('전령')에서 온 것으로 이 명칭은 미르잠이 밤하늘에서 시리우스가 뜨는 것을 '미리 알리는'(시리우스보다 먼저 떠오르는) 위치에 착안하여 붙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2016년 7월 1차 공고에서 이 별에 미르잠 Mirzam 을 공식 고유명칭으로 부여하였다.[14][15]

중화권에서 미르잠은 큰개자리 누3, 큰개자리 15, 큰개자리 파이, 큰개자리 오미크론1, 큰개자리 크시1과 함께 군시(軍市, 군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구성원이다.[16] 이들 중 미르잠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군시1(軍市一)이다.[17] R. H. Allen은 이 명칭으로부터 미르잠의 이름을 Kuen She 로 표기했다.[1]

둔황 성도에는 미르잠이 Yeji ('장끼' 의미)로 표기되어 있으며 당대에는 이 별이 현재 위치보다 약 10 도 북쪽에 위치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8]

투아모투족은 미르잠을 오우포 Oupo 로 부른다.[19]

특성

편집
 
미르잠(좌측 하단 Beta Canis Majoris)은 국부 거품의 변두리에 위치하고 있다.
맥동 주기[9]
주기
(일−1)
진폭
(km s−1)
3.9793 2.7
3.9995 2.6
4.1832 0.7

미르잠은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6 시간 주기로 겉보기등급이 +1.97과 +2.01 사이에서 변동한다. 이 밝기 변화량은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 감지할 수 없다. 광도에 이런 변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항성의 외포층이 주기적으로 맥동하기 때문이다. 이 맥동 주기는 총 세 가지로 셋 다 주기가 약 6 시간이다. 이들 중 진폭이 큰 주기 둘은 합쳐져서 다시 약 50 일 주기의 맥놀이 주기를 갖는다. 가장 강한 맥동은 방사형 처음 배진동(radial first overtone)의 형태이며 두 번째 맥동은 비방사형 형태이다.[9]

이 별의 질량은 약 태양의 13 ~ 14 배이며[9] 반지름은 태양의 8 ~ 11 배이다.[8] 항성 외포층의 유효온도는 약 23150 켈빈으로 태양의 5778 켈빈보다 훨씬 뜨겁다. 전자의 높은 온도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로 인해 항성은 B형 별의 특징인 청백색 빛을 뿜는다.[12][20] 미르잠의 예상 나이는 1200 ~ 1300 만 년으로 미르잠 정도 질량의 항성은 거성으로 진화한 단계에 해당된다. 항성의 분광형 B1 II-III[10]은 이 별이 스펙트럼상으로 거성과 밝은 거성의 중간 단계에 위치해 있음을 뜻한다.

유럽 우주국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미르잠은 450만 년 전 지구와 불과 40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이 당시 미르잠은 밤하늘에서 -3.6 등급의 밝기로 빛나고 있었는데, 이는 금성의 밝기와 거의 비슷한 값이다.[21]

문화

편집

미르잠은 브라질의 국기에 있는 항성들 중 하나로 아마파주를 상징한다.[22]

무르짐 (AK-95) Murzim (AK-95)미국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으로 이 별의 고유 명칭들 중 하나를 따라 명명되었다.

각주

편집

참조주

편집
  1.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New York》: 129–130, Bibcode:1899sntm.book.....A 
  2. “V* bet CMa -- Variable Star of beta Cep type”,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2일에 확인함 
  3.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4. Cousins, A. W. J. (1972), “UBV Photometry of Some Very Bright Stars”, 《Monthly Note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31: 69, Bibcode:1972MNSSA..31...69C 
  5. Balona, L. A.; Bregman, L.; Letsapa, B. A.; Magoro, B. T.; Walsh, S. E. (1996). “The Pulsation Frequencies of beta CMa”. 《Information Bulletin on Variable Stars》 4313: 1. Bibcode:1996IBVS.4313....1B. 
  6. Shobbrook, R. R.; Handler, G.; Lorenz, D.; Mogorosi, D. (2006). “Photometric studies of three multiperiodic β Cephei stars: β CMa, 15 CMa and KZ Mu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69 (1): 171–181. arXiv:astro-ph/0603754. Bibcode:2006MNRAS.369..171S. doi:10.1111/j.1365-2966.2006.10289.x. 
  7.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8. Hubrig, S.; 외. (June 2006), “Discovery of magnetic fields in the βCephei star ξ1 CMa and in several slowly pulsating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Letters》 369 (1): L61–L65, arXiv:astro-ph/0604283, Bibcode:2006MNRAS.369L..61H, doi:10.1111/j.1745-3933.2006.00175.x 
  9. Mazumdar, A.; 외. (November 2006), “An asteroseismic study of the β Cephei star β Canis Major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9 (2): 589–596, arXiv:astro-ph/0607261, Bibcode:2006A&A...459..589M, doi:10.1051/0004-6361:20064980 
  10. Abt, Helmut A.; 외.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2002ApJ...573..359A, doi:10.1086/340590 
  11.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02025. Bibcode:2009yCat....102025S. 
  12. Zorec, J.; 외. (July 2009), “Fundamental parameters of B supergiants from the BCD system. I. Calibration of the (λ_1, D) parameters into Tef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1): 297–320, arXiv:0903.5134, Bibcode:2009A&A...501..297Z, doi:10.1051/0004-6361/200811147 
  13.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4.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5.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6.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17.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2011-01-30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18. Jean-Marc Bonnet-Bidaud; Dr Françoise Praderie & Dr Susan Whitfield (2009년 6월 16일). “The Dunhuang Chinese Sky: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Oldest Known Star Atlas”. 2014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9. Makemson 1941, 239쪽.
  20.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21. 가이 콘솔매그노; 댄 데이비스. 《오리온 자리에서 왼쪽으로》. 해나무. 65쪽. 
  22.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2009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참고 서적

편집
  • Makemson, Maud Worcester (1941), 《The Morning Star Rises: An Account of Polynesian Astronomy》, Yal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