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
전라남도 무안군에 있는 국제공항
(무안공항에서 넘어옴)
무안국제공항(務安國際空港, 영어: Muan International Airport, IATA: MWX, ICAO: RKJB)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광주공항과 목포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무안국제공항 Muan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MWX - ICAO: RKJB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간 | |||||
시간기준 | 한국 표준시 | |||||
운영시간 | 24시간 | |||||
소유기관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
운영기관 | 한국공항공사 | |||||
지역 |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 |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공항로 970-260 | |||||
해발고도 | 16 m / 53 ft | |||||
좌표 | 북위 34° 59′ 29.06″ 동경 126° 22′ 58.13″ / 북위 34.9914056° 동경 126.3828139°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01/19 | 2800 | 45 | CAT 1 | 아스팔트 | ||
통계(2022) | ||||||
이용 여객 | 29,394 명 | |||||
운항 횟수 | 192 회 | |||||
처리 화물¹ | 2.1 톤 | |||||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수하물은 제외한다. |
연혁
편집1980년대
편집- 1986년 : 영동, 호남권 신 국제공항 건설 추진
- 1989년 : 수도권, 영동, 호남 3개 신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
1990년대
편집2000년대
편집2010년대
편집- 2010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니가타 부정기편 신규취항
- 2016년
- 상하이(푸둥) 신규취항 (주7회)
- 무안 훈련기 추락사고로 3명 사망
- 17년
- 상하이(푸둥) 단항
- 칼리보 신규취항
-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 돗토리 전세편 신규취항
- 2018년
- 2019년
2020년대
편집- 2021년
- 2024년 12월 29일
시설 규모
편집운항 노선
편집국제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제주항공 | 나가사키, 다낭, 방콕(수완나품), 코타키나발루, 타이페이(타오위안) |
진에어 | 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울란바타르[6], 타이페이(타오위안) |
룽에어 | 항저우 |
비엣젯 항공 | 다낭, 나트랑 |
국내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제주항공 | 제주[7] |
진에어 | 제주[8] |
이용객 추이
편집전체
편집연도[9]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224 | 1,841 | 1,032 | 1,058 | 875 | 923 | 1,237 | 1,499 | 2,355 | 2,330 |
여객 (명) | 15,223 | 130,014 | 57,716 | 100,021 | 91,133 | 96,166 | 132,603 | 178,414 | 311,922 | 321,675 |
연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운항(편수) | 2,146 | 3,818 | 6,585 | 930 | 88 | 192 | ||||
여객 (명) | 298,016 | 543,247 | 895,410 | 112,938 | 7,529 | 29,394 |
- 2007년 11월 8일 개항과 함께 폐쇄된 목포공항을 대체하고 광주공항의 국제선을 이관받았지만, 광주공항이 유지되어 여객 유치에 한계가 있었고 개항 초기에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로 인해 국제적 이용객 수(2008년 10만4천 명, 2009년 3만8천 명)가 개항 전 광주공항의 국제선 이용객(2006년 12만4천 명)보다 저조하였다.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10만 명대였던 국제선 이용객 수가 제주항공 등이 국제선 운항을 대폭 늘려 2018년에 32만6천 명, 2019년에 68만7천 명에 이르렀다.
국내선
편집연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93 | 775 | 642 | 435 | 193 | 209 | 205 | 323 | 930 | 729 |
여객 (명) | 3,897 | 25,801 | 19,915 | 22,617 | 15,460 | 17,089 | 18,125 | 32,112 | 129,125 | 126,654 |
연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운항(편수) | 860 | 1,510 | 1,390 | 233 | 88 | 0 | ||||
여객 (명) | 141,067 | 216,725 | 208,130 | 25,054 | 7,529 | 0 |
국제선
편집연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131 | 1,066 | 390 | 623 | 682 | 714 | 1,032 | 1,176 | 1,425 | 1,601 |
여객 (명) | 11,326 | 104,213 | 37,801 | 77,404 | 75,673 | 79,077 | 114,478 | 146,302 | 182,797 | 195,021 |
연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운항(편수) | 1,286 | 2,308 | 5,195 | 697 | 0 | 192 | ||||
여객 (명) | 156,949 | 326,522 | 687,280 | 87,884 | 0 | 29,394 |
논란
편집명칭 변경 문제
편집- 박광태 전 광주광역시장과 김재균 등 민주당 소속 정치인을 비롯해 광주상공회의소가 무안국제공항 명칭을 '광주국제공항' 또는 '광주·무안국제공항'으로 변경할 것을 국토부에 요청하자 한동안 무안군이 반발했다. 전라남도는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했다.[10] 그러나 무안군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광주공항을 폐쇄하고 그 노선을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해 공항을 활성화하는 조건으로 광주란 명칭을 사용해도 된다는 응답이 많았다.[11]
광주공항 통합 문제
편집- 무안국제공항은 1993년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사고 이후 광주공항과 목포공항을 통합해 대체하기 위해 1999년에 착공하여 2007년에 완공해 같은 해 11월 8일에 개항하였다. 그러나 광주공항의 국내선이 유지되어 여객 유치에 한계가 있었고, 개항 초기에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로 이용객 수가 매우 적어 사실상 유령공항이 되었다.
- 이를 이유로 광주광역시 내에서는 무안국제공항에 대한 회의론이 퍼졌고, 광주공항의 국제선을 부활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12] 그러나, 이는 소음 문제를 이유로 광주공항의 군공항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과 배치되어 이율배반적인 것이었다.
- 전라남도와 무안군은 광주공항의 국내선을 이전해야 무안국제공항이 활성화가 된다고 주장하면서도,[13] 무안군은 군공합 통합 이전을 반대하고 전라남도는 미온적 입장을 보여왔다.
- 2021년까지 광주공항을 폐쇄하고 공항 기능을 모두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기로 2018년에 전라남도지사와 광주시장이 합의하였으나,[14] 국토교통부가 군공항 이전과 연계해 추진하기로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확정함으로써 이전이 미뤄졌다.[15]
- 광주공항이 폐쇄·통합되면 무안공항의 연간 이용객 수는 4개 대형 공항(인천, 제주, 김포, 김해) 등에 이어 대한민국 6위권 공항으로 만성적인 적자 공항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16]
사건 및 사고
편집- 2016년 6월 17일 15시경 무안 훈련기 추락사고로 3명 전원 사망 했다.
2024년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편집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181명이 탑승한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보잉 737-800)이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하던 중 외벽과 충돌했다. 동체 충돌 후 발생한 화재로 반파되었고, 사망자 179명, 생존자 2명으로 밝혔다.
사고의 원인으로는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이 유력하게 지목되고 있다. 탑승객이 자신을 기다리던 가족에게 “새가 날개에 껴서 착륙을 못하고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남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것 말고도 랜딩 기어 문제까지 겹쳐 참사가 일어났다.[1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무안공항 외국항공기 무제한 취항 가능”. 머니투데이. 2007년 12월 17일.
: 국내 공항 중에는 무안국제공항 앞서 제주국제공항이 1998년 9월에 자.유공항으로 지정되었다. - ↑ “광주공항 국제선 무안공항으로 이전”. 중앙일보. 2008년 5월 15일. 2008년 9월 12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무안국제공항, 백두산 관문 中 연길 하늘길 열려 연합뉴스, 2019.8.21.
- ↑ "100만명 돌파 기대"…무안공항 1~3월 이용객 25만명, 2배 증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매일경제 2019년 4월 18일
- ↑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360m 늘린다 - 전남매일
- ↑ “진에어, 5월 무안∼울란바토르 신규 취항”. 2024년 4월 12일.
- ↑ “무안공항 국내 정기 노선 운항 재개”. 2024년 4월 1일.
- ↑ “진에어, 무안·울산 등 5개 제주 노선 대상 항공권 할인”. 2024년 3월 27일.
- ↑ 공항별 통계 한국공항공사, 2020년 1월 22일 확인.
- ↑ 무안공항 명칭 변경 논란 세계일보, 2008.6.12.
- ↑ 무안군민 59% "공항명칭 바꿀 수도" 연합뉴스, 2009.5.11.
- ↑ 호남권 국제공항 두고 광주·무안 '힘겨루기' 경향신문, 2010.9.14.
- ↑ 무안군민들 "광주공항 국내선 조속히 이전해야" 뉴시스, 2011.3.18.
- ↑ 광주공항, 2021년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 뉴스1, 2018.8.20.
- ↑ 국토부 "광주·무안공항 통합, 군공항 이전 연계" KBS, 2021.9.24.
- ↑ 무안공항 1~7월 이용객 55만명…작년 전체 이용객 수 추월 연합뉴스, 2019.8.11.
- ↑ 박기주. “"새가 날개에 껴서"…무안 추락 항공기 탑승객이 전한 정황”. 2024년 12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