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론통계학에서 무작위장(영어: random field 랜덤 필드[*])은 임의의 영역(보통 과 같은 다차원 공간)에서 정의된 무작위 함수이다. 즉, 각 점 (또는 다른 정의역)에서 임의의 값을 취하는 함수 이다. 또한 이는 첨자 집합에 어떤 제한이 있는 확률 과정의 동의어로 보기도 한다. 즉, 현대 정의에 따르면 무작위장은 기본 매개변수가 더 이상 실수 또는 정수일 필요가 없고 대신 다차원 벡터 또는 다양체의 점일 수 있다.[1]

가장 기초적으로, 값들이 분산된 경우, 무작위장은 그 지표가 n 차원 공간으로 사상된 무작위 숫자들의 목록이다. 무작위장의 값들은 보통 공간적으로 한가지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상호 관련되어 있다. 가장 기초적인 형태에서, 이것은 아마도 밀접한 값들(즉, 밀접한 지표를 갖는 값)이 그들이 그 이상 떨어져 있는 값들만큼 구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무작위장에서 모델링된 많은 다양한 유형들인 공분산 구조의 예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그 값들은 연속적인 영역에 대해 정의되어있고, 무작위장은 아마도 함수화된 확률변수로서 생각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각 값 은 연속적인 정의역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더 큰 격자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무작위장를 "함수 값" 확률 변수로 생각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자장론에서 함수 공간에 걸쳐 임의의 값을 취하는 확률 범함수를 고려한다(파인만 적분 참조).

정의

편집

확률공간  가 주어졌을 때,  에 값을 갖는 무작위장  는 각 위상 공간  의 점에 대하여 X에 값을 갖는 확률변수  을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즉, 무작위장 F는 다음과 같은 각  이 X-값 확률변수집합이다.

마르코프 무작위장, 기브스 무작위장, 조건부 무작위장, 가우스 무작위장 등의 여러 종류의 무작위장이 존재한다.

응용

편집

자연 과학 현상을 모델링 할 때 응용하는 경우 무작위장의 값은 공간적으로 상관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인접한 값(즉, 인접한 인덱스가 있는 값)은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값만큼 다르지 않다. 이는 공분산 구조의 한 예이며, 다양한 유형이 무작위장에서 모델링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는 때때로 가장 가까운 이웃 상호 작용이 모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단순화로만 포함되는 이징 모델이다.

무작위 장의 일반적인 용도는 컴퓨터 그래픽, 특히 물과 땅 과 같은 자연적 표면을 모방하는 그래픽 생성에 있다. 무작위장은[2]에서와 같이 지하 모델에도 사용되었다.

신경과학, 특히 PET 또는 fMRI를 사용한 작업 관련 기능적 뇌 영상 연구에서 무작위장의 통계 분석은 실제로 중요한 활성화가 있는 영역을 찾기 위한 다중 비교 수정에 대한 일반적인 대안 중 하나이다.[3]

이는 기계 학습에도 사용된다( 그래픽 모델 참조).

텐서 값 무작위장

편집

무작위장은 자연적으로 공간적으로 변하는 특성에 해당하는 몬테카를로 방법을 통해 자연적 과정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다. 이로 인해 텐서 값 무작위장이 발생한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은 속성의 평균을 계산할 수 있는 공간 상자인 통계적 부피 원소 (SVE)에 의해 수행된다. SVE가 충분히 커지면 그 특성은 결정론적이 되고 결정론적 연속체 물리학의 대표 체적 원소 (RVE)를 복구한다. 연속체 이론에 나타나는 두 번째 유형의 무작위장은 종속량(온도, 변위, 속도, 변형, 회전, 물체 및 표면력, 응력 등)의 무작위장이다.[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Vanmarcke, Erik (2010). 《Random Fields: Analysis and Synthesi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ISBN 978-9812563538. 
  2. Cardenas, IC (2023). “A two-dimensional approach to quantify stratigraphic uncertainty from borehole data using non-homogeneous random fields”. 《Engineering Geology》. doi:10.1016/j.enggeo.2023.107001. 
  3. Worsley, K. J.; Evans, A. C.; Marrett, S.; Neelin, P. (November 1992). “A Three-Dimensional Statistical Analysis for CBF Activation Studies in Human Brain”. 《Journal of Cerebral Blood Flow & Metabolism》 (미국 영어) 12 (6): 900–918. doi:10.1038/jcbfm.1992.127. ISSN 0271-678X. PMID 1400644. 
  4. Malyarenko, Anatoliy; Ostoja-Starzewski, Martin (2019). 《Tensor-Valued Random Fields for Continuum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8429856. 

참고 문헌

편집
  • Besag, J. E. "Spatial Interaction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Lattice Systems",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36, 2 (May 1974), 192-236.
  • Adler, RJ & Taylor, Jonathan (2007). 《Random Fields and Geometry》. Springer. ISBN 978-0-387-48112-8. 
  • Khoshnevisan (2002). 《Multiparameter Processes - An Introduction to Random Fields》. Springer. ISBN 0-387-954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