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집수와 무집수

(무집수에서 넘어옴)

불교 용어유집수(有執受, 산스크리트어: upātta)는 사람(유정)의 몸 중에서 감각이 있는 부분을 말하고, 무집수(無執受, 산스크리트어: anupātta)는 머리카락이나 손톱처럼 몸 중에서 감각이 없는 부분을 말한다.[1][2] 한편, 불교에서는 호흡(숨, 즉, 들숨과 날숨)도 몸에 속한 것으로 보는데, 숨은 무집수에 속한다.[3][4][5] 숨을 몸에 속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불교의 4념처 수행에서, 호흡을 관찰하는 수행인 지식념 또는 수식관법념처가 아닌 신념처에 속한다.

보다 엄밀하게 정의하자면, 유집수는 심법(心法: 마음)과 심소법(心所法: 마음 작용)이 함께 집지(執持) · 포섭(包攝)하여 의처(依處), 즉 소의(所依: 도구, 감각 기관)나 경계(境界: 대상)로 삼는 (色, 물질)을 가리킨다. 반면, 무집수는 이러한 뜻이 없는 (色, 물질)을 말한다.[6] 달리 말하면, 유집수(有執受)는 현재 시점에서 마음의 지각작용, 즉 5온수온(受蘊: 지각작용)의 소의(所依: 도구, 감각 기관)나 경계(境界: 대상)가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무집수(無執受)는 현재 시점에서 마음의 지각작용, 즉 수온소의경계가 되어 있지 않은 것과 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심·심소와의 관계

편집

구사론》에 따르면,  · 심소는 유집수의 (色, 물질)에 손해와 이익을 끼치면서 일어나고 또한 유집수의 (色, 물질)은 그렇게 일어난  · 심소를 따르는 것, 즉, 서로가 손해와 이익을 함께 하는 것, 즉 서로의 힘[업력, 業力]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 심소와 유집수의 (色, 물질), 즉  · 심소와 해당 의처(依處: 소의와 경계, 즉 5근根과 5경境), 즉 소의(所依: 도구, 감각 기관, 즉 5근根)나 경계(境界: 대상, 즉 5경境) 간에 일어나는 본질적인 상호작용이다.[6]

예를 들어,  · 심소가 특정한 경계(境界: 대상)를 대상으로 해당 소의(所依: 도구, 감각 기관)에 의지하여 즐거움과 기쁨을 일으켜 활발하게 될 때 해당 의처(依處)도 역시 활발하게 되고,  · 심소가 근심과 괴로움을 일으켜 위축(萎縮)될 때 해당 의처(依處: 5근과 5경)도 역시 위축된다. 반대로, 좋은 음식 등을 획득하여 의처(依處: 5근과 5경)가 활성화될 때 해당  · 심소도 역시 활발하게 되며, 나쁜 음식 등을 획득하여 위축되면 해당  · 심소도 역시 위축된다.[6]

세상에서 경험하는 고 · 락 등의 감촉이 있고 이런 감촉을 바탕으로 선법(善法)의 증대(예를 들어, 선행의 기쁨이나 수행의 즐거움)나 불선법(不善法)의 증대(예를 들어, 담배 중독이나 마약 중독과 같은 집착) 등이 있는 것은 심 · 심소와 유집수의 (色, 물질) 간의 이러한 본질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연(緣)이 감촉되어 즐거움 따위를 느끼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하는 선법(善法) 또는 불선법(不善法)의 세력, 즉 업력(業力)이  · 심소의처 모두에서 동시에 증대 또는 감소되기 때문이다.[6]

18계의 유·무집수 분별

편집

먼저, 18계(十八界)는 다음 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구사론》에 따르면, 18계(界)에서 7심계(七心界) · 법계(法界) · 성계(聲界)의 9가지 계(界)는 언제나 무집수이다. 나머지 9가지 계, 즉 5색근과 색(色) · 향(香) · 미(味) · 촉(觸)의 4경(境)은 유집수가 될 때도 있고 무집수가 될 때도 있다. 5색근(色根)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의 5색근은 유집수이고, 과거와 미래 시점에서의 5색근은 무집수이다. 4경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 5색근과 함께 있는 경우 유집수이고 5색근을 떠나 있는 경우 무집수이며, 과거와 미래 시점에서의 4경은 무집수이다.[6][7][8]

예를 들어,  · 심소가 의지하는 몸[身], 즉 해당 소의신(所依身)에 존재하는 것이면서도 (根)과 화합한 것이 아닌 머리카락 · 수염 · 손톱 · 이빨 · 대소변 · 눈물 · 침 · 피 등은 현재 시점에서 존재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무집수이이다. 또한 해당 소의신 밖에 존재하는 색(色) · 향(香) · 미(味) · 촉(觸)도 현재 시점에서 존재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무집수이다.[6][9][10]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有執受(유집수)" , 운허. 《불교사전》:
    有執受(유집수)
    ↔ 무집수(無執受). 우리들의 신체에 감각 있는 부분. 털과 손톱 따위는 신체 밖에 있는 물체와 같이 무집수라 함.
  2. "有執受"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有執受
    梵語 upātta。即有感覺之意。亦即被心、心所法所執持的眾生之身體。反之,則稱無執受、非執受。
    俱舍宗認為有生命即有執受。此蓋以眾生之五根(眼、耳、鼻、舌、身)與色、香、味、觸等四境,合之為九界,共為心與心所法所執持,且亦為心與心所法之依處,故稱為有執受。此五根、四境即有情眾生之「有根身」,亦即有執受之依身,為眾生現在世之身體。有執受之「受」,意謂有根身能產生覺受(苦、樂等之感覺、感受)。
    然唯識宗則除俱舍宗所說之覺受外,認為「執受」另有「安危共同」之義,即除「有根身」外,含藏於阿賴耶識中之種子亦為有執受,而與阿賴耶識同安共危。安,指善趣;危,指惡趣。種子及有根身之安危即是阿賴耶識之安危。相互之間,命運等同而休戚與共,故稱安危共同。據成唯識論述記卷三本載,執為攝、持之義;受為領、覺之義。若就覺受之義而言,則有根身為執受,種子及器界為非執受;此即上記俱舍論之觀點。然若就安危共同之義而言,則有根身及種子為執受,器界為非執受;此即唯識宗之主張。〔俱舍論卷二、卷三、瑜伽師地論卷六十六、成唯識論卷二、卷三、俱舍論光記卷二、百法問答鈔卷一〕p3061
  3.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2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29n1558_p0118b29║息有情數攝。有情身
    T29n1558_p0118c01║分故。非有執受。與根相離故。
  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2권:
    숨은 유정수(有情數, 감정과 의식을 지닌 유정)에 포섭되니, 유정의 몸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88)
    또한 유집수(有執受, 유정의 몸 중에 감각이 있는 부분)가 아니니, 근(根)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기 때문이다.
    88) 즉 감각이 없는 무정수의 몸에는 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는 비록 숨이 외부에서 들어온 것이라 할지라도 내부에 계속(繫屬)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5. Gelong Lodrö Sangpo, Louis de La Vallee Poussin, Xuanzang, Vasubandhu (2012). 《Abhidharmakośa-Bhāṣya of Vasubandhu: The Treasury of the Abhidharma and its (Auto) commentary》 Vol. 3. p.1906. 한자는 편집자가 추가.
    13b. [In- and out-breathing] are "indicative of sentient beings 有情數".161
    [In- and out-breathing] are "indicative of sentient beings" (sattvākhya 有情數), not "nonindicative of sentient beings" (asattvākhya 非有情數; i. 10b).
    13b. [In- and out-breathing] are not appropriated 非有執受.162
    For [in- and out-breathing] are not part of the sensory organism 根 (indriyapṛthagvṛtti; indriyavinirbhāgin 有執受) (i. 34cd).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66-67 / 1397쪽.
  7. 星雲, "有執受". 2012년 9월 4일에 확인.
  8. 星雲, "無執受". 2012년 9월 4일에 확인.
  9. 운허, "無執受(무집수)". 2012년 9월 4일에 확인.
  10. 운허, "有執受(유집수)". 2012년 9월 4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