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출혈열

질병의 일종

바이러스성 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s; VHFs)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출혈과 열이 동반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아레나바이러스과, 필로바이러스과, 분야바이러스과, 플라비바이러스과, 랍도바이러스과의 총 다섯개 RNA 바이러스과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열과 쇼크, 사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증세도 한타바이러스에 의한 스칸디나비아 신증후군 출혈열의 경우 비교적 경미한 출혈열을 보이는 데에서부터 에볼라바이러스의 매우 치명적인 출혈열 등 다양하다.

바이러스성 출혈열
에볼라에 감염된 한 간호사가 누워있고 그 곁에 두 간호사가 서있다. 누워있는 간호사는 며칠 후 내출혈로 사망했다.
진료과감염병

원인

편집

다음의 다섯 바이러스과가 바이러스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멕시코에서 1545년과 1576년에 발생한 코코리츨리유행병의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1545년의 경우 세균성 출혈열일 가능성이 높다.[1][2]

예방

편집

격리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모든 바이러스성 출혈열 환자들은 손의 위생을 철저히 하고, 장갑을 두 겹씩 끼며, 가운을 입고, 신발과 다리를 덮고, 보안면이나 고글을 착용하는 등 접촉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3] 라싸바이러스,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들은 모두 원내감염이 발생했다. 따라서 N95 마스크 등 공기를 통한 전염에도 특별히 주의해야한다. 페놀성 소독제나 표백제 등 차아염소산염을 통해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병원체들을 제거할 수 있다.[4]

역학

편집

바이러스성 출혈열로 여겨지는 유행병은 다음과 같다.

생화학무기

편집

바이러스성 출혈열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된다. 소련에서 망명한 케니스 알리벡(Ken Alibek)에 의하면, 1980년대에 중국이 바이러스성 출혈열을 생화학무기로 사용하려고 했으나 밖으로 새어나가면서 개발이 중지되었다.[13] 공기로 전염되는 특징으로 인해 무기로 개발될 잠재력이 충분하다 여겨지며, 여러 종의 바이러스들 중 무엇이 감염원인지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무기로 개발 시 충분한 위력이 있다.[14][1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cuna-Soto R, Stahle DW, Cleaveland MK, Therrell MD (April 2002). “Megadrought and megadeath in 16th century Mexico”. 《Emerging Infect. Dis.》 8 (4): 360–62. doi:10.3201/eid0804.010175. PMC 2730237. PMID 11971767. 
  2. France-Presse, Agence (2018년 1월 16일). “500 years later, scientists discover what probably killed the Aztecs”. 《The Guardian》. 
  3. 《Viral hemorrhagic fevers》. Boca Raton: CRC Press. 2014. ISBN 978-1-4398-8431-7. 
  4. Woods, Lt Col Jon B., 편집. (2005). 《USAMRIID's Medical Management of Biological Casualties Handbook》 (PDF) 6판. Fort Detrick MA: U.S. Army Medical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143–44쪽. 2007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9일에 확인함. 
  5. “Was the Huey Cocoliztli a Haemorrhagic Fever?” (PDF). 2010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5일에 확인함. 
  6. “Indigenous Hemorrhagic Fever and The Spanish Conquest” (PDF). 2018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7. Acuna-Soto R, Romero LC, Maguire JH (June 2000). “Large Epidemics of Hemorrhagic Fevers in Mexico 1545–1815” (PDF). 《Am J Trop Med Hyg》 62 (6): 733–39. doi:10.4269/ajtmh.2000.62.733. PMID 11304065. 2007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4일에 확인함. 
  8. “Epidemics in New Spain”. 2010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9. Towner, J. S.; Khristova, M. L.; Sealy, T. K.; Vincent, M. J.; Erickson, B. R.; Bawiec, D. A.; Hartman, A. L.; Comer, J. A.; Zaki, S. R.; Ströher, U.; Gomes Da Silva, F.; Del Castillo, F.; Rollin, P. E.; Ksiazek, T. G.; Nichol, S. T. (2006). “Marburgvirus Genomics and Association with a Large Hemorrhagic Fever Outbreak in Angola”. 《Journal of Virology》 80 (13): 6497–516. doi:10.1128/JVI.00069-06. PMC 1488971. PMID 16775337. 
  10. Olson PE, Hames CS, Benenson AS, Genovese EN (1996). “The Thucydides syndrome: Ebola déjà vu? (or Ebola reemergent?)”. 《Emerging Infect. Dis.》 2 (2): 155–56. doi:10.3201/eid0202.960220. PMC 2639821. PMID 8964060. 
  11. Scott, Susan and Duncan, Christopher. (2004). Return of the Black Death: The World's Greatest Serial Killer West Sussex; John Wiley and Sons. ISBN 0-470-09000-6.
  12. Briese, T.; Paweska, J.T.; McMullan, L.K.; Hutchison, S.K.; Street, C.; Palacios, G.; Khristova, M.L.; Weyer, J.; Swanepoel, R.; Engholm, M.; Nichol, S.T.; Lipkin, W.I. (2009). “Genetic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ujo Virus, a New Hemorrhagic Fever–Associated Arenavirus from Southern Africa”. 《PLoS Pathog》 5 (5): e1000455. doi:10.1371/journal.ppat.1000455. PMC 2680969. PMID 19478873. 
  13. Alibek, Ken; Handelman, Steven (1999).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 told from the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New York: Random House. 286쪽. ISBN 978-0-375-50231-6. 
  14. Woods 2005, 145쪽
  15. Peters, C. (2000). 〈Are Hemorrhagic Fever Viruses Practical Agents for Biological Terrorism?〉. Scheld, W. M.; Craig, W. A.; Hughes, J. M. 《Emerging Infections》 4. Washington, D.C.: ASM Press. 201–09쪽. ISBN 978-155581197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