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엽 (1922년)
박병엽(朴炳燁, 1922년~1998년 9월 13일)은 전남 강진 출생의 북한 노동당 고위간부 출신으로, 1980년대 초 제3국에서 검거되어 여생을 한국에서 보내면서 해방 직후부터의 북한 정권 초기 역사에 대해 많은 증언과 저서를 남겼다. 한국에서는 서용규(徐容奎), 신경완(申敬完), 신평길 등의 가명 또는 필명을 사용했으며, 본명은 사후에 공개되었다.
약력
편집그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1]
- 1922년 전남 강진 출생
- 1930년대 부친을 따라 함경남도로 이주.
- 1945년 북조선공산청년동맹 가입
- 1946년 북조선공산당 입당
- 1949년 조선노동당 사회부 지도원
- 1953년 조선노동당 대남연락부 지도원
- 1960년대 중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부장
- 1970년대 조선노동당 대외정보조사부 부부장
- 1980년대 초반 제3국에서 피검
- 1998년 9월 13일 사망
한국에서는 필명으로 서용규(徐容奎)[2], 신경완(申敬完), 신평길 등을 사용했고, 본명 박병엽은 그의 사후에 비로소 공개되었다.
주요 저서
편집- 《(현대사실록) 압록강변의 겨울 : 납북 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 : 이태호 著; 신경완(申敬完) 증언 (다섯수레, 1991)[3]
- 《김정일과 대남공작》: 신평길 저 (북한연구소, 1997.03.03)[4]
- 《곁에서 본 김정일》: 정창현 著 (서울: 토지, 1999) - 신경완의 증언을 토대로 하고 있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생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겪은 건국 비화》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선인출판사, 2010.09.01)[5]
-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선인출판사, 2010.11.10.)[6]
- 《증언(證言) 납북인사(拉北人士) 그때 그 순간 : 신경완(申敬完) 전(前) 북한정무원 부부장(副部長) 공개》- 조선일보 연재 기사 (총3회)
납북인사 사망경위 처음 밝혀져 김규식 조소앙 정인보 엄항섭 방응모 백관수씨등 망명 전북한 정무원 부부장 신경완씨 증언 조선일보 1991.10.02. 1면
신경완 전 북한정무원 부부장 공개 (증언 납북인사 그때 그순간 1) 폭격피해 야간 북송 처지면 산속버려 조선일보 1991.10.02. 3면
신경완 전 북한정무원 부부장 공개 (증언 납북인사 그때 그순간 2) 탈진 김규식 입원요구 거부당해 조선일보 1991.10.03. 2면
신경완 전 북한정무원 부부장 공개 (증언 납북인사 그때 그순간 3) 조소앙 항의단식 끝에 숨져 조선일보 1991.10.04. 2면 - 實錄(실록)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 前(전)북한정무원 부부장 申敬完(신경완)씨 증언 (1) 1991.10.01 동아일보 5면
實錄(실록)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 前(전)북한정무원 부부장 申敬完(신경완)씨 증언 (1) 1991.10.01 동아일보 5면
實錄(실록)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 前(전)북한정무원 부부장 申敬完(신경완)씨 증언 (2) 1991.10.02 동아일보 5면
實錄(실록)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 前(전)북한정무원 부부장 申敬完(신경완)씨 증언 (3) 1991.10.03 동아일보 5면
實錄(실록)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 前(전)북한정무원 부부장 申敬完(신경완)씨 증언 (4) 1991.10.04 동아일보 5면
實錄(실록)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 前(전)북한정무원 부부장 申敬完(신경완)씨 증언 (5) 1991.10.05 동아일보 5면
「拉北(납북)인사들의 最後(최후)」책나와 1991.10.07 동아일보 10면 : 망명 申敬完(신경완)씨 「압록강변의 겨울」
박병엽 증언의 정확성에 대해
편집그는 기억력이 비상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진술은 대체로 사실로 믿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가 당시 북한의 문헌이나, 자신이 기록한 일기 같은 것을 가지고 온 것도 아니므로 노년의 기억에만 의존한 진술이 100% 정확한 지에 대해서는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가 있는 사례도 발견된다.
- 그는 현준혁의 피살 일자를 1945년 9월 28일이라고 했는데,[7] 실제로는 9월초이며 9월 3일 또는 4일이라는 기록이 가장 믿을만하다.[8]
- 그는 해방 직후 김일성과 박헌영의 2차 회동 일자에 대해 박헌영이 1945년 12월 28일 밤 비밀리에 3.8선을 넘어 평양으로 가서 지침을 받고, 신년 행사에 참석한 후 1월 1일 밤 3.8선을 넘어 1월 2일 서울로 귀환했다고 증언했다.[9][10] 그러나 이 기간에 박헌영은 서울에 있은 것으로 보이는 기록이 다수 있으므로 방북했다고 보기 어렵다.[11] 또 박헌영이 1945년 말 또는 1946년 초에 방북했다고 증언한 사람은 많으나 기간은 증언자마다 제각각이어서 특정하기 어렵다. 이 일에 관해서는 당시 서울의 소련 부영사였던 아나톨리 샤브신의 부인이자 영사관 도서관장이었던 샤브시나(쿨리코바)의 증언도 있고[12], 전 북한 외무성 부상 박길용(朴吉用, 1920 ~1997)과 소련 군정 핵심 인사 니콜라이 레베데프 소장, 그리고리 메클레르 중좌의 증언도 있지만, 박헌영이 방북했다는 시기는 제각각이다.[13]
각주
편집- ↑ 《CEO of DPRK 김정일 (휴먼다큐멘터리 시리즈2)》 정창현 (중앙북스, 2007.10.01) 저자소개 : 신경완
- ↑ 秘錄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상, 하 2권)/ 중앙일보특별취재반 저 (서울 : 中央日報社, 1992)에는 가명 서용규로 그의 증언이 나옴.
- ↑ 《(현대사실록) 압록강변의 겨울 : 납북 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태호 著; 신경완(申敬完) 증언 (다섯수레, 1991)
- ↑ 《김정일과 대남공작》: 신평길 저 (북한연구소, 1997.03.03)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생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겪은 건국 비화》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선인출판사, 2010.09.01)
- ↑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선인출판사, 2010.11.10.)
- ↑ 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2 중앙일보 1991.10.03 종합 9면
- ◎고당과 함께 가다 암살당한 현준혁/적위대복장 청년이 총격/대낮 평양시내서 타고가던 트럭 습격/“민족계열과 친하다” 소 군정에 밉보여
- ↑ 孫世一의 비교 評傳 (77)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平壤市民衆大會에 나타난 ‘金日成 장군’ 월간조선 2010년 8월호
-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 (선인출판사, 2010.11.10.) pp. 27~34, 제1장 김일성과 박헌영의 비밀회동
- ↑ 孫世一의 비교 評傳 (84)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信託統治反對鬪爭을 ‘새로운 獨立運動’으로 월간조선 2011년 3월호
- ↑ 1946년 1월 1일에 박헌영은 미군정 사령관 하지 중장과 만났다 : Radio TFGBI #157, Telegram from CG USAFIK to CINCAFPAC ; 25 Jan. 1946 (미군정청 문서)
- ↑ 박헌영의 정치노선:상 (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7) 중앙일보 1992.02.06 종합 11면
박헌영의 정치노선:하 (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8) 소의 「찬탁」지지에 겉으로만 따르는 척/남쪽 정세 불리하자 김일성 지지 선회“중위세력 손잡고 사회주의로 통일” 중앙일보 1992.02.10 종합 11면 - ↑ <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20> 신탁통치 소용돌이(1) 평양 다녀온 박헌영 돌연 "찬탁" 중앙일보 1991.11.21 종합 11면
<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21> 신탁통치 소용돌이(2) 소 군정, 반탁 고수 조만식에 온갖회유·협박 중앙일보 1991.11.28 종합 11면
<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22> 신탁통치 소용돌이(3) 박헌영 웃고간 평양 울며 떠났다 중앙일보 1991.12.05 종합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