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표

원래의 음에서 반음 내림
(반내림표에서 넘어옴)

내림표 또는 플랫 (Flat)은 음악기보법에서 음을 반음 내리는 것을 뜻하는 기호이며 로 표시한다. 올림표 ()와 서로 반대되는 기호이다.

내림표는 소문자 비 (b)를 둥글게 쓴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올림표보다 먼저 나온 기호다. 고대에 한 키 내린 B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렇게 표시한 것이다. 그러다 세월이 흘러 다른 위치의 음표에 붙어도 그 해당 원음을 한 키 내리는 기호가 되었다.

내림표
유니코드에서&#9838
다른
다른U+0062 b 로마자

예시

편집

조표임시표로 쓰일 수 있다.[1] 예를 들어, 아래는 세 개의 내림표 (내림마장조 또는 다단조를 나타냄)가 조표로 붙어있고 D 음표에는 내림표가 임시표로 붙어있다.

 

12평균율에서 C음은 B음과, F은 E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다른 음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과 다르다.

관련 기호

편집

겹내림표 혹은 더블 플랫 (Double flat) ( )은 음을 반음 두 개만큼 내린다. 즉, 온음만큼 내리는 것과 같다.  로 표기한다.

 

반내림표 혹은 하프 플랫 (Half flat) 혹은 데미 플랫 (Demiflat) ( , 𝄳 혹은  )은 음을 반음의 1/2만큼 내린다. 즉, 온음의 1/4, 사분음만큼 내리는 것과 같다.  , 𝄳 혹은  로 표기한다. 3/2 내림표, 세반내림표, 플랫 앤 하프 (Flat-and-a-half) 혹은 세스퀴플랫 (Sesquiflat), ( )은 반음의 3/2만큼 내린다. 즉, 온음의 3/4, 세 개의 사분음 만큼 내리는 것과 같다.  로 표기한다. 3/4음 내림표 혹은 쓰리 쿼터 톤 플랫 (Three-quarter-tone flat)이라고도 한다.

 

매우 드물지만, 세겹내림표 혹은 트리플 플랫 (Triple Flat) ( )도 등장할 수 있다. 이는 음을 반음 세 개만큼 내린다. 즉, 온음과 반음만큼 내리는 것과 같다.  로 표기한다.[2]

 

더 나아가서, 네겹내림표 혹은 쿼드러플 플랫 (Quadruple Flat) (  )[주 1] 이상의 기호도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음률에서 매우 드물다.[3][4]

 

조표

편집

내림표올림표조표로 쓰일 경우엔 기본적으로 음자리표의 오른쪽에 한 개 이상을 써서 조를 나타낸다.

 
내림표를 조합하는 순서는 기본적으로 "B E A D G C F" 순이다.

도중에 조성이 바뀌거나 제자리표 (), 올림표 () 등 다른 변화표의 효력을 받는 경우가 아닌 이상 임시표와는 달리 마디옥타브에 관계없이 효력이 계속 적용된다.

조표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B E A D G C F 내림표가 1개인 장조 음계는 바장조다. 내림 조표의 모든 스케일에서 장음계의 으뜸음은 마지막 기호의 완전 4도 아래 혹은 완전 5도 위이며, 단음계의 으뜸음은 마지막 기호의 장3도 위이다.

내림표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장조의 으뜸음은 조표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기호의 음이다. 가령 4개의 내림표로 구성된 장조 (B E A D)일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플랫은 A으로, 이는 A 장조(즉, 내림가장조)를 나타낸다. 각각의 새로운 음계는 이전 음계보다 5도 아래 (또는 4도 위)에서 시작된다.

장조 내림표의 개수 내림표가 붙는 음 단조
다장조 (C 장조) 0 가단조 (A 단조)
바장조 (F 장조) 1 B 라단조 (D 단조)
내림나장조 (B 장조) 2 B, E 사단조 (G 단조)
내림마장조 (E 장조) 3 B, E, A 다단조 (C 단조)
내림가장조 (A 장조) 4 B, E, A, D 바단조 (F 단조)
내림라장조 (D 장조) 5 B, E, A, D, G 내림나단조 (B 단조)
내림사장조 (G 장조) 6 B, E, A, D, G, C 내림마단조 (E 단조)
내림다장조 (C 장조) 7 B, E, A, D, G, C, F 내림가단조 (A 단조)

12 평균율 기준으로 위의 조표의 조성 중에서 음이 조화롭게 겹치는 이명동조를 지닌 조성이 있다.

즉, 다음과 같다.

기준 이명동조
장조 내림표의 개수 단조 장조/단조
내림라장조 5 내림나단조 올림다장조/올림가단조
내림사장조 6 내림마단조 올림바장조/올림라단조
내림다장조 7 내림가단조 나장조/올림사단조

단, 장조의 이명동조는 장조만이, 단조의 이명동조는 단조만이 해당된다. 예를들어 위의 내림표 5개 조표의 조성 중 내림라장조의 이명동조는 올림다장조만이 되고, 내림표 5개 조표의 조성 중 내림나단조의 이명동조는 올림가단조만이 된다.

그 외에 12 평균율에서 5도권 순환으로 봤을 때 이명동조를 고려하여 조표 형태로 사용 시 내림표 7개의 조성인 내림다장조와 내림가단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해오지 않았고 주로 표기가 보다 덜 복잡한 이명동조인 각각 나장조와 올림사단조를 사용해왔다. 다만,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에서와 다른 음률에서는 이와 예외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음률에 따라 이명동음이명동조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출처 필요]

임시표

편집

내림표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임시표로 사용될 경우 그 보표마디옥타브 내에서 내림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적용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마디나 옥타브만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항상 변화되지 않은 원래의 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보표와 마디와 옥타브 내에서 임시표로 쓰인 내림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제자리표 (), 올림표 () 등의 다른 변화표를 사용한다.

 

유니코드

편집

컴퓨터에서 내림표 및 여러 변형을 표현하는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 문자 ♭ (U+266D)는 Miscellaneous Symbols 블록에서 찾을 수 있다. HTML 엔티티는 ♭이다. 할당된 다른 내림표는 다음과 같다.

  • U+1D12B 𝄫 musical symbol double flat (HTML: 𝄫)
  • U+1D133 𝄳 musical symbol quarter tone flat (HTML: 𝄳)

다른 표기법과 사용

편집
  • 'B' (로마자 비)의 소문자인 'b'는 내림표 ()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기호다.
  • 겹내림표가 붙은 음을 기본 내림표가 붙은 음으로 내릴 때 ♮♭ 혹은 ♭♮처럼 내림표 옆에 제자리표를 쓰는 관습이 있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생략할 수도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 세겹내림표 이상의 기호를 무효화 시에도 비슷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3] 그리고, ♮♭는 올림표에서 내림표로 바꿀 때 쓰이기도 한다.
     
  • 평균율이 아닌 다른 음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명동음이명동조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 과 A♭이 서로 구별된다.
  • 확장된 순정률을 표기하기 위해 작곡가 벤 존스턴은 70.6센트 낮음을 나타낼 때 내림표를 사용했다.[5]
  • 존 스텀프의 Prelude and the Last Hope에서는 조표 자리에 겹내림표가 쓰인 예가 있다.[6]
     
  •   기호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 혹은 특정 텍스트 표기 등에선 겹내림표를 기본 내림표 두 개 ()소문자 b 두 개 (bb) 등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세겹내림표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출처 필요]
  •   혹은 𝄳 기호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 혹은 특정 텍스트 표기 등에선 반내림표소문자 d 등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3/2 내림표d 혹은 db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출처 필요]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1. 네겹내림표 혹은 쿼드러플 플랫(Quadruple Flat) (  )은 기본적인 음률을 기준으로, 음을 반음 네 개만큼 내린다. 즉, 온음 두 개만큼 내리는 것과도 같다.   로 표기한다.
참조주
  1. 이화여자대학교음악연구소 (2001년 2월 28일). 《교사 및 지도자를 위한 피아노 기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2~24쪽. ISBN 9788973003709. 
  2. Byrd, Donald (October 2018). “Extremes of conventional music notation”. 《luddy.indiana.edu》.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3. Wen, Eric (2011). “E-quadruple flat: Tovey’s Whimsy.”. 《Zeitschrift der Gesellschaft für Musiktheorie 8/1》 (독일어): 77–89. doi:10.31751/612. 
  4. “The Unplayable Score: Faerie’s Aire and Death Waltz – John Stump”. String Quartet No. 556(b) for Strings In A Minor. 2012년 5월 19일. 
  5. Fonville, J. (Summer 1991). “Ben Johnston's extended Just Intonation – a guide for interpreters”. 《Perspectives of New Music29 (2): 106–137, esp. 109. doi:10.2307/833435. JSTOR 833435. ... the 25/ 24  ratio is the sharp () ratio ... this raises a note approximately 70.6 cents.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