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베레진 의 이름을 딴 베레진 적분 (영어 : Berezin integral , 헤르만 그라스만 의 이름을 따서 그라스만 적분 이라고도 함)은 그라스만 수 (외대수 의 원소) 함수에 대한 적분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르베그 적분 의 의미에서 적분 이 아니다. "적분"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이유는 베레진 적분은 르베그 적분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고 페르미온 의 역사에 대한 합으로 사용되는 물리학의 경로 적분 을 확장하기 때문이다.
Λ
n
{\displaystyle \Lambda ^{n}}
를 반교환수
θ
1
,
…
,
θ
n
{\displaystyle \theta _{1},\dots ,\theta _{n}}
들의 복소 다항식들의 외대수하고 하자.(생성원들의 순서
θ
1
,
…
,
θ
n
{\displaystyle \theta _{1},\dots ,\theta _{n}}
가 고정되어 있으며 외대수의 방향을 정의한다.)
그라스만 변수
θ
=
θ
1
{\displaystyle \theta =\theta _{1}}
하나에 대한 베레진 적분은 선형 범함수
∫
[
a
f
(
θ
)
+
b
g
(
θ
)
]
d
θ
=
a
∫
f
(
θ
)
d
θ
+
b
∫
g
(
θ
)
d
θ
,
a
,
b
∈
C
{\displaystyle \int [af(\theta )+bg(\theta )]\,d\theta =a\int f(\theta )\,d\theta +b\int g(\theta )\,d\theta ,\quad a,b\in \mathbb {C} }
로 정의된다. 여기서
∫
θ
d
θ
=
1
,
∫
d
θ
=
0
{\displaystyle \int \theta \,d\theta =1,\qquad \int \,d\theta =0}
로 정의해서
∫
∂
∂
θ
f
(
θ
)
d
θ
=
0.
{\displaystyle \int {\frac {\partial }{\partial \theta }}f(\theta )\,d\theta =0.}
이 성립하도록 한다. 이러한 성질은 적분을 유일하게 정의하고 다음을 의미한다.
∫
(
a
θ
+
b
)
d
θ
=
a
,
a
,
b
∈
C
.
{\displaystyle \int (a\theta +b)\,d\theta =a,\quad a,b\in \mathbb {C} .}
f
(
θ
)
=
a
θ
+
b
{\displaystyle f(\theta )=a\theta +b}
는 가장 일반적인
θ
{\displaystyle \theta }
변수 함수이다. 그라스만 변수의 제곱은 0이 되기 때문에
f
(
θ
)
{\displaystyle f(\theta )}
는 1차를 넘어서는 0이 아닌 항을 가질 수 없다.
Λ
n
{\displaystyle \Lambda ^{n}}
위의 베레진 적분은 모든
f
∈
Λ
n
{\displaystyle f\in \Lambda ^{n}}
에 대해 다음 성질들
∫
Λ
n
θ
n
⋯
θ
1
d
θ
=
1
,
{\displaystyle \int _{\Lambda ^{n}}\theta _{n}\cdots \theta _{1}\,\mathrm {d} \theta =1,}
∫
Λ
n
∂
f
∂
θ
i
d
θ
=
0
,
i
=
1
,
…
,
n
{\displaystyle \int _{\Lambda ^{n}}{\frac {\partial f}{\partial \theta _{i}}}\,\mathrm {d} \theta =0,\ i=1,\dots ,n}
을 가진 유일한 선형 범함수
∫
Λ
n
⋅
d
θ
{\displaystyle \int _{\Lambda ^{n}}\cdot {\textrm {d}}\theta }
로 정의된다. 여기서
∂
/
∂
θ
i
{\displaystyle \partial /\partial \theta _{i}}
는 왼쪽 또는 오른쪽 편도함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성질은 적분을 유일하게 정의한다.
문헌에는 다양한 관례가 존재한다. 일부 저자는 대신[ 1]
∫
Λ
n
θ
1
⋯
θ
n
d
θ
:=
1.
{\displaystyle \int _{\Lambda ^{n}}\theta _{1}\cdots \theta _{n}\,\mathrm {d} \theta :=1.}
로 정의한다. 공식
∫
Λ
n
f
(
θ
)
d
θ
=
∫
Λ
1
(
⋯
∫
Λ
1
(
∫
Λ
1
f
(
θ
)
d
θ
1
)
d
θ
2
⋯
)
d
θ
n
{\displaystyle \int _{\Lambda ^{n}}f(\theta )\,\mathrm {d} \theta =\int _{\Lambda ^{1}}\left(\cdots \int _{\Lambda ^{1}}\left(\int _{\Lambda ^{1}}f(\theta )\,\mathrm {d} \theta _{1}\right)\,\mathrm {d} \theta _{2}\cdots \right)\mathrm {d} \theta _{n}}
은 푸비니 법칙 을 표현한다. 오른쪽에는 단항식
f
=
g
(
θ
′
)
θ
1
{\displaystyle f=g(\theta ')\theta _{1}}
의 내부 적분은
g
(
θ
′
)
{\displaystyle g(\theta ')}
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θ
′
=
(
θ
2
,
…
,
θ
n
)
{\displaystyle \theta '=\left(\theta _{2},\ldots ,\theta _{n}\right)}
이다.
f
=
g
(
θ
′
)
{\displaystyle f=g(\theta ')}
의 적분은 사라진다.
θ
2
{\displaystyle \theta _{2}}
과 그 이후의 변수들에 대한 적분은 비슷한 방법으로 계산된다.
θ
i
=
θ
i
(
ξ
1
,
…
,
ξ
n
)
,
i
=
1
,
…
,
n
,
{\displaystyle \theta _{i}=\theta _{i}\left(\xi _{1},\ldots ,\xi _{n}\right),\ i=1,\ldots ,n,}
를 어떤 반대칭 변수
ξ
1
,
…
,
ξ
n
{\displaystyle \xi _{1},\ldots ,\xi _{n}}
홀수 다항식리하 하자. 야코비 행렬은 행렬
D
=
{
∂
θ
i
∂
ξ
j
,
i
,
j
=
1
,
…
,
n
}
{\displaystyle D=\left\{{\frac {\partial \theta _{i}}{\partial \xi _{j}}},\ i,j=1,\ldots ,n\right\}}
이다. 여기서
∂
/
∂
ξ
j
{\displaystyle \partial /\partial \xi _{j}}
오른쪽 편도함수을 나타낸다(
∂
(
θ
1
θ
2
)
/
∂
θ
2
=
θ
1
,
∂
(
θ
1
θ
2
)
/
∂
θ
1
=
−
θ
2
{\displaystyle \partial (\theta _{1}\theta _{2})/\partial \theta _{2}=\theta _{1},\;\partial (\theta _{1}\theta _{2})/\partial \theta _{1}=-\theta _{2}}
). 좌표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f
(
θ
)
d
θ
=
∫
f
(
θ
(
ξ
)
)
(
det
D
)
−
1
d
ξ
.
{\displaystyle \int f(\theta )\,\mathrm {d} \theta =\int f(\theta (\xi ))(\det D)^{-1}\,\mathrm {d} \xi .}
이제 실 가환변수
x
=
x
1
,
…
,
x
m
{\displaystyle x=x_{1},\ldots ,x_{m}}
의 함수들과 반교환 변수
θ
1
,
…
,
θ
n
{\displaystyle \theta _{1},\ldots ,\theta _{n}}
들의 함수들의 대수
Λ
m
∣
n
{\displaystyle \Lambda ^{m\mid n}}
를 고려하자. (이를
(
m
|
n
)
{\displaystyle (m|n)}
차원 자유 초대수라고 한다. ). 직관적으로 함수
f
=
f
(
x
,
θ
)
∈
Λ
m
∣
n
{\displaystyle f=f(x,\theta )\in \Lambda ^{m\mid n}}
는 m 짝수(보손 , 교환) 변수와 n 홀수(페르미온, 반교환) 변수의 함수이다. 보다 공식적으로는 원소
f
=
f
(
x
,
θ
)
∈
Λ
m
∣
n
{\displaystyle f=f(x,\theta )\in \Lambda ^{m\mid n}}
는 열린 집합
X
⊂
R
m
{\displaystyle X\subset \mathbb {R} ^{m}}
에서는 변하는 인수
x
{\displaystyle x}
의
Λ
n
{\displaystyle \Lambda ^{n}}
대수의 값 함수이다. 이 함수가 연속적이고 콤팩트 집합
K
⊂
R
m
{\displaystyle K\subset \mathbb {R} ^{m}}
의 여집합에서는 사라진다고 하자. 그러면 베레진 적분은 다음과 같다.
∫
Λ
m
∣
n
f
(
x
,
θ
)
d
θ
d
x
=
∫
R
m
d
x
∫
Λ
n
f
(
x
,
θ
)
d
θ
.
{\displaystyle \int _{\Lambda ^{m\mid n}}f(x,\theta )\,\mathrm {d} \theta \,\mathrm {d} x=\int _{\mathbb {R} ^{m}}\,\mathrm {d} x\int _{\Lambda ^{n}}f(x,\theta )\,\mathrm {d} \theta .}
좌표 변환을 다음과 같이 해보자.
x
i
=
x
i
(
y
,
ξ
)
,
i
=
1
,
…
,
m
;
θ
j
=
θ
j
(
y
,
ξ
)
,
j
=
1
,
…
,
n
,
{\displaystyle x_{i}=x_{i}(y,\xi ),\ i=1,\ldots ,m;\ \theta _{j}=\theta _{j}(y,\xi ),j=1,\ldots ,n,}
여기서
x
i
{\displaystyle x_{i}}
는 짝수이고
θ
j
{\displaystyle \theta _{j}}
들은 짝수 변수
y
{\displaystyle y}
에 따라 바뀌는
ξ
{\displaystyle \xi }
의 홀수 다항식이다. 이 변환의 야코비 행렬은 블록 형식을 갖는다.
J
=
∂
(
x
,
θ
)
∂
(
y
,
ξ
)
=
(
A
B
C
D
)
,
{\displaystyle \mathrm {J} ={\frac {\partial (x,\theta )}{\partial (y,\xi )}}={\begin{pmatrix}A&B\\C&D\end{pmatrix}},}
여기서 각 짝수 도함수
∂
/
∂
y
j
{\displaystyle \partial /\partial y_{j}}
들은 대수
Λ
m
∣
n
{\displaystyle \Lambda ^{m\mid n}}
의 모든 원소와 가환이다. 홀수 도함수는 짝수 원소와 가환이고 홀수 원소와 반교환 한다. 대각선 블록의 성분
A
=
∂
x
/
∂
y
{\displaystyle A=\partial x/\partial y}
와
D
=
∂
θ
/
∂
ξ
{\displaystyle D=\partial \theta /\partial \xi }
은 짝수이고 대각선을 벗어난 블록의 성분
B
=
∂
x
/
∂
ξ
,
C
=
∂
θ
/
∂
y
{\displaystyle B=\partial x/\partial \xi ,\ C=\partial \theta /\partial y}
들은 홀수 함수들이다. 여기서
∂
/
∂
ξ
j
{\displaystyle \partial /\partial \xi _{j}}
는 다시 오른쪽 도함수를 의미한다.
이제 행렬
J
{\displaystyle \mathrm {J} }
의 베레지니안 (또는 초행렬식 )이 필요하다. 이는
det
D
{\displaystyle \det D}
가
Λ
m
∣
n
{\displaystyle \Lambda ^{m\mid n}}
에서 역행렬이 존재할 때 짝수 함수
Ber
J
=
det
(
A
−
B
D
−
1
C
)
det
D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Ber} \mathrm {J} =\det \left(A-BD^{-1}C\right)\det D^{-1}}
이다. 실함수
x
i
=
x
i
(
y
,
0
)
{\displaystyle x_{i}=x_{i}(y,0)}
가
R
m
{\displaystyle \mathbb {R} ^{m}}
의 열린 집합
X
,
Y
{\displaystyle X,Y}
에 대해 역사상을 가지는 매끄러운 사상
F
:
Y
→
X
{\displaystyle F:Y\to X}
을 정의한다고 하자. 그리고 사상의 선형 부분
ξ
↦
θ
=
θ
(
y
,
ξ
)
{\displaystyle \xi \mapsto \theta =\theta (y,\xi )}
은
y
∈
Y
{\displaystyle y\in Y}
각각에 대해 역사상이 존재한다고 하자. 베레진 적분에 대한 일반 변환 법칙은 다음과 같다.
∫
Λ
m
∣
n
f
(
x
,
θ
)
d
θ
d
x
=
∫
Λ
m
∣
n
f
(
x
(
y
,
ξ
)
,
θ
(
y
,
ξ
)
)
ε
Ber
J
d
ξ
d
y
=
∫
Λ
m
∣
n
f
(
x
(
y
,
ξ
)
,
θ
(
y
,
ξ
)
)
ε
det
(
A
−
B
D
−
1
C
)
det
D
d
ξ
d
y
,
{\displaystyle {\begin{aligned}&\int _{\Lambda ^{m\mid n}}f(x,\theta )\,\mathrm {d} \theta \,\mathrm {d} x=\int _{\Lambda ^{m\mid n}}f(x(y,\xi ),\theta (y,\xi ))\varepsilon \operatorname {Ber} \mathrm {J} \,\mathrm {d} \xi \,\mathrm {d} y\\[6pt]={}&\int _{\Lambda ^{m\mid n}}f(x(y,\xi ),\theta (y,\xi ))\varepsilon {\frac {\det \left(A-BD^{-1}C\right)}{\det D}}\,\mathrm {d} \xi \,\mathrm {d} y,\end{aligned}}}
여기서
ε
=
s
g
n
(
det
∂
x
(
y
,
0
)
/
∂
y
{\displaystyle \varepsilon =\mathrm {sgn} (\det \partial x(y,0)/\partial y}
)는 사상
F
{\displaystyle F}
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중첩
f
(
x
(
y
,
ξ
)
,
θ
(
y
,
ξ
)
)
{\displaystyle f(x(y,\xi ),\theta (y,\xi ))}
은 함수
x
i
(
y
,
ξ
)
{\displaystyle x_{i}(y,\xi )}
가
ξ
{\displaystyle \xi }
에 독립적일 때 명백하게 정의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x
i
(
y
,
ξ
)
=
x
i
(
y
,
0
)
+
δ
i
,
{\displaystyle x_{i}(y,\xi )=x_{i}(y,0)+\delta _{i},}
과 같이 쓴다. 여기서
δ
i
,
i
=
1
,
…
,
m
{\displaystyle \delta _{i},i=1,\ldots ,m}
는 심지어는
Λ
m
∣
n
{\displaystyle \Lambda ^{m\mid n}}
의 멱영원들이다. 그리고
f
(
x
(
y
,
ξ
)
,
θ
)
=
f
(
x
(
y
,
0
)
,
θ
)
+
∑
i
∂
f
∂
x
i
(
x
(
y
,
0
)
,
θ
)
δ
i
+
1
2
∑
i
,
j
∂
2
f
∂
x
i
∂
x
j
(
x
(
y
,
0
)
,
θ
)
δ
i
δ
j
+
⋯
,
{\displaystyle f(x(y,\xi ),\theta )=f(x(y,0),\theta )+\sum _{i}{\frac {\partial f}{\partial x_{i}}}(x(y,0),\theta )\delta _{i}+{\frac {1}{2}}\sum _{i,j}{\frac {\partial ^{2}f}{\partial x_{i}\,\partial x_{j}}}(x(y,0),\theta )\delta _{i}\delta _{j}+\cdots ,}
라 둔다. 여기서 테일러 급수는 유한하다.
가우스 적분에 대한 다음 공식은 양자장론 의 경로 적분 공식화 에 자주 사용된다. 복소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
A
{\displaystyle A}
에 대해,
∫
exp
[
−
θ
T
A
η
]
d
θ
d
η
=
det
A
{\displaystyle \int \exp \left[-\theta ^{T}A\eta \right]\,d\theta \,d\eta =\det A}
복소 반대칭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
M
{\displaystyle M}
과
(
P
f
M
)
2
=
det
M
{\displaystyle (\mathrm {Pf} \,M)^{2}=\det M}
이 성립하는
M
{\displaystyle M}
의 파피안
P
f
M
{\displaystyle \mathrm {Pf} \,M}
에 대해
∫
exp
[
−
1
2
θ
T
M
θ
]
d
θ
=
{
P
f
M
n
even
0
n
odd
{\displaystyle \int \exp \left[-{\tfrac {1}{2}}\theta ^{T}M\theta \right]\,d\theta ={\begin{cases}\mathrm {Pf} \,M&n{\mbox{ even}}\\0&n{\mbox{ odd}}\end{cases}}}
.
위의 공식에서 표기법
d
θ
=
d
θ
1
⋯
d
θ
n
{\displaystyle d\theta =d\theta _{1}\cdots \,d\theta _{n}}
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공식에서 다른 유용한 공식이 나온다([ 2] 의 부록 A 참조). :
∫
exp
[
θ
T
A
η
+
θ
T
J
+
K
T
η
]
d
η
1
d
θ
1
…
d
η
n
d
θ
n
=
det
A
exp
[
−
K
T
A
−
1
J
]
{\displaystyle \int \exp \left[\theta ^{T}A\eta +\theta ^{T}J+K^{T}\eta \right]\,d\eta _{1}\,d\theta _{1}\dots d\eta _{n}d\theta _{n}=\det A\,\,\exp[-K^{T}A^{-1}J]}
여기서
A
{\displaystyle A}
는
n
×
n
{\displaystyle n\times n}
가역 행렬이다. 이러한 적분은 모두 분할 함수의 형태라는 점에 유의하라.
교환 및 반교환 변수와의 적분에 대한 수학적 이론은 펠릭스 베레진 에 의해 창안되고 개발되었다.[ 3] 1956년 David John Candlin[ 4] 이 몇 가지 중요한 초기 통찰력을 제시했다. 물리학자 Khalatnikov[ 5] (그의 논문에는 실수가 포함되어 있음), Matthews 및 Salam,[ 6] 및 Martin을 포함한 다른 저자들이 이러한 발전에 기여했다.[ 7]
↑ 《Mirror symmetry》. Hori, Kentaro. Providence, RI: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3. 155쪽. ISBN 0-8218-2955-6 . OCLC 52374327 .
↑ S. Caracciolo, A. D. Sokal and A. Sportiello, Algebraic/combinatorial proofs of Cayley-type identities for derivatives of determinants and pfaffians, Advances in Applied Mathematics, Volume 50, Issue 4, 2013, https://doi.org/10.1016/j.aam.2012.12.001 ; https://arxiv.org/abs/1105.6270
↑ A. Berezin, The Method of Second Quantization , Academic Press, (1966)
↑ D.J. Candlin (1956). “On Sums over Trajectories for Systems With Fermi Statistics”. 《Nuovo Cimento》 4 (2): 231–239. Bibcode :1956NCim....4..231C . doi :10.1007/BF02745446 .
↑ Khalatnikov, I.M. (1955). “Predstavlenie funkzij Grina v kvantovoj elektrodinamike v forme kontinualjnyh integralov” [The Representation of Green's Function in Quantum Electrodynamics in the Form of Continual Integrals] (PDF) .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Physics》 (러시아어) 28 (3): 633. 2021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Matthews, P. T.; Salam, A. (1955). “Propagators of quantized field”. 《Il Nuovo Cimento》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 (1): 120–134. Bibcode :1955NCimS...2..120M . doi :10.1007/bf02856011 . ISSN 0029-6341 .
↑ Martin, J. L. (1959년 6월 23일). “The Feynman principle for a Fermi system”.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The Royal Society) 251 (1267): 543–549. Bibcode :1959RSPSA.251..543M . doi :10.1098/rspa.1959.0127 . ISSN 2053-9169 .
Theodore Voronov: Geometric integration theory on Supermanifolds , Harwood Academic 출판사,ISBN 3-7186-5199-8
Berezin, Felix Alexandrovich: Introduction to Superanalysis , Springer 네덜란드,ISBN 978-90-277-16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