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 에서 비 판정법 (比判定法, 영어 : ratio test ) 또는 달랑베르 비 판정법 (영어 : d'Alembert's ratio test ) 또는 코시 비 판정법 (영어 : Cauchy ratio test )은 양의 실수 항의 급수 의 수렴 여부를 가리는 수렴 판정법 이다. 실수 항의 급수의 절대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웃하는 두 항의 비의 극한 을 사용한다. 공비에 따른 기하급수 의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다른 급수를 “표준 급수”로 삼아 더 정교한 판정법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만든 판정법은 모든 급수에 대하여 유효할 수 없다. 즉, 임의의 급수에 대하여, 이 급수에 기반한 판정법이 효력을 잃는 급수를 구성할 수 있다.
양의 실수 항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가 주어졌다고 하자 (
a
n
>
0
∀
n
≥
0
{\displaystyle a_{n}>0\forall n\geq 0}
). 또한, 극한
L
=
lim
n
→
∞
a
n
+
1
a
n
∈
[
0
,
∞
]
{\displaystyle L=\lim _{n\to \infty }{\frac {a_{n+1}}{a_{n}}}\in [0,\infty ]}
가 존재한다고 하자. 비 판정법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L
<
1
{\displaystyle L<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L
>
1
{\displaystyle L>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만약
L
<
1
{\displaystyle L<1}
이며,
L
<
q
<
1
{\displaystyle L<q<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1
a
n
<
q
{\displaystyle {\frac {a_{n+1}}{a_{n}}}<q}
이다. 따라서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a
N
⋅
a
N
+
1
a
N
⋅
a
N
+
2
a
N
+
1
⋅
⋯
⋅
a
n
a
n
−
1
≤
a
N
q
n
−
N
{\displaystyle a_{n}=a_{N}\cdot {\frac {a_{N+1}}{a_{N}}}\cdot {\frac {a_{N+2}}{a_{N+1}}}\cdot \cdots \cdot {\frac {a_{n}}{a_{n-1}}}\leq a_{N}q^{n-N}}
이다.
0
≤
q
<
1
{\displaystyle 0\leq q<1}
이므로, 기하급수
∑
n
=
0
∞
q
n
{\displaystyle \sum _{n=0}^{\infty }q^{n}}
은 수렴한다. 비교 판정법 에 따라,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L
>
1
{\displaystyle L>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1
a
n
>
1
{\displaystyle {\frac {a_{n+1}}{a_{n}}}>1}
이다. 즉,
(
a
N
,
a
N
+
1
,
…
)
{\displaystyle (a_{N},a_{N+1},\dots )}
은 양의 실수의 증가수열 이며, 특히 0으로 수렴할 수 없다. 따라서,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양의 실수 항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가 주어졌다고 하자 (
a
n
>
0
∀
n
≥
0
{\displaystyle a_{n}>0\forall n\geq 0}
). 또한,
R
=
lim sup
n
→
∞
a
n
+
1
a
n
∈
[
0
,
∞
]
{\displaystyle R=\limsup _{n\to \infty }{\frac {a_{n+1}}{a_{n}}}\in [0,\infty ]}
r
=
lim inf
n
→
∞
a
n
+
1
a
n
∈
[
0
,
∞
]
{\displaystyle r=\liminf _{n\to \infty }{\frac {a_{n+1}}{a_{n}}}\in [0,\infty ]}
라고 하자 (이는 항상 존재하며, 항상
r
≤
R
{\displaystyle r\leq R}
이다). 비 판정법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만약 극한
L
{\displaystyle L}
이 존재한다면
L
=
R
=
r
{\displaystyle L=R=r}
이다. 따라서 후자가 더 일반적인 결과다. 만약
r
≤
1
≤
R
{\displaystyle r\leq 1\leq R}
이라면 (특히, 만약
L
=
1
{\displaystyle L=1}
이라면), 비 판정법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a
n
+
1
a
n
≥
1
{\displaystyle {\frac {a_{n+1}}{a_{n}}}\geq 1}
이라면,
lim
n
→
∞
a
n
=
0
{\displaystyle \lim _{n\to \infty }a_{n}=0}
일 수 없으므로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라면 이 조건이 성립한다. 만약 이 조건이 성립한다면
r
≥
1
{\displaystyle r\geq 1}
이지만,
r
>
1
{\displaystyle r>1}
일 필요는 없다.) 근 판정법 이나 라베 판정법 등 더 정교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며,
R
<
q
<
1
{\displaystyle R<q<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1
a
n
<
q
{\displaystyle {\frac {a_{n+1}}{a_{n}}}<q}
이다. 따라서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a
N
⋅
a
N
+
1
a
N
⋅
a
N
+
2
a
N
+
1
⋅
⋯
⋅
a
n
a
n
−
1
≤
a
N
q
n
−
N
{\displaystyle a_{n}=a_{N}\cdot {\frac {a_{N+1}}{a_{N}}}\cdot {\frac {a_{N+2}}{a_{N+1}}}\cdot \cdots \cdot {\frac {a_{n}}{a_{n-1}}}\leq a_{N}q^{n-N}}
이다.
0
≤
q
<
1
{\displaystyle 0\leq q<1}
이므로, 기하급수
∑
n
=
0
∞
q
n
{\displaystyle \sum _{n=0}^{\infty }q^{n}}
은 수렴한다. 비교 판정법 에 따라,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1
a
n
>
1
{\displaystyle {\frac {a_{n+1}}{a_{n}}}>1}
이다. 즉,
(
a
N
,
a
N
+
1
,
…
)
{\displaystyle (a_{N},a_{N+1},\dots )}
은 양의 실수의 증가수열 이며, 특히 0으로 수렴할 수 없다. 따라서,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급수
∑
n
=
1
∞
n
2
n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n}{2^{n}}}}
을 생각하자.
a
n
=
n
2
n
{\displaystyle a_{n}={\frac {n}{2^{n}}}}
이라고 하자. 이웃하는 두 항의 비의 극한은
L
=
lim
n
→
∞
a
n
+
1
a
n
=
lim
n
→
∞
(
n
+
1
2
n
+
1
⋅
2
n
n
)
=
lim
n
→
∞
n
+
1
2
n
=
1
2
<
1
{\displaystyle L=\lim _{n\to \infty }{\frac {a_{n+1}}{a_{n}}}=\lim _{n\to \infty }\left({\frac {n+1}{2^{n+1}}}\cdot {\frac {2^{n}}{n}}\right)=\lim _{n\to \infty }{\frac {n+1}{2n}}={\frac {1}{2}}<1}
이다. 비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수렴한다.
급수
∑
n
=
1
∞
2
n
n
!
n
n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2^{n}n!}{n^{n}}}}
을 생각하자.
a
n
=
2
n
n
!
n
n
{\displaystyle a_{n}={\frac {2^{n}n!}{n^{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L
=
lim
n
→
∞
a
n
+
1
a
n
=
lim
n
→
∞
(
2
n
+
1
(
n
+
1
)
!
(
n
+
1
)
n
+
1
⋅
n
n
2
n
n
!
)
=
lim
n
→
∞
2
(
1
+
1
/
n
)
n
=
2
e
<
1
{\displaystyle L=\lim _{n\to \infty }{\frac {a_{n+1}}{a_{n}}}=\lim _{n\to \infty }\left({\frac {2^{n+1}(n+1)!}{(n+1)^{n+1}}}\cdot {\frac {n^{n}}{2^{n}n!}}\right)=\lim _{n\to \infty }{\frac {2}{(1+1/n)^{n}}}={\frac {2}{\mathrm {e} }}<1}
이다. 비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수렴한다.
급수
∑
n
=
0
∞
(
100
⋅
(
100
−
1
)
⋅
⋯
⋅
(
100
−
n
+
1
)
n
!
⋅
1
2
n
)
{\displaystyle \sum _{n=0}^{\infty }\left({\frac {100\cdot (100-1)\cdot \cdots \cdot (100-n+1)}{n!}}\cdot {\frac {1}{2^{n}}}\right)}
를 생각하자. 이는 양의 실수 항의 급수가 아니지만, 비 판정법을 사용하여 절대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
n
=
100
⋅
(
100
−
1
)
⋅
⋯
⋅
(
100
−
n
+
1
)
n
!
⋅
1
2
n
{\displaystyle a_{n}={\frac {100\cdot (100-1)\cdot \cdots \cdot (100-n+1)}{n!}}\cdot {\frac {1}{2^{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L
=
lim
n
→
∞
|
a
n
+
1
|
|
a
n
|
=
lim
n
→
∞
|
100
⋅
(
100
−
1
)
⋅
⋯
⋅
(
100
−
n
)
(
n
+
1
)
!
⋅
1
2
n
+
1
⋅
n
!
100
⋅
(
100
−
1
)
⋅
⋯
⋅
(
100
−
n
+
1
)
⋅
2
n
|
=
lim
n
→
∞
n
−
100
2
(
n
+
1
)
=
1
2
<
1
{\displaystyle L=\lim _{n\to \infty }{\frac {|a_{n+1}|}{|a_{n}|}}=\lim _{n\to \infty }\left|{\frac {100\cdot (100-1)\cdot \cdots \cdot (100-n)}{(n+1)!}}\cdot {\frac {1}{2^{n+1}}}\cdot {\frac {n!}{100\cdot (100-1)\cdot \cdots \cdot (100-n+1)}}\cdot {2^{n}}\right|=\lim _{n\to \infty }{\frac {n-100}{2(n+1)}}={\frac {1}{2}}<1}
비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절대 수렴 하며, 특히 수렴한다.
급수
∑
n
=
1
∞
2
n
n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2^{n}}{n}}}
을 생각하자.
a
n
=
2
n
n
{\displaystyle a_{n}={\frac {2^{n}}{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L
=
lim
n
→
∞
a
n
+
1
a
n
=
lim
n
→
∞
(
2
n
+
1
n
+
1
⋅
n
2
n
)
=
lim
n
→
∞
2
n
n
+
1
=
2
>
1
{\displaystyle L=\lim _{n\to \infty }{\frac {a_{n+1}}{a_{n}}}=\lim _{n\to \infty }\left({\frac {2^{n+1}}{n+1}}\cdot {\frac {n}{2^{n}}}\right)=\lim _{n\to \infty }{\frac {2n}{n+1}}=2>1}
이다. 비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발산한다.
급수
∑
n
=
1
∞
3
n
n
!
n
n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3^{n}n!}{n^{n}}}}
을 생각하자.
a
n
=
3
n
n
!
n
n
{\displaystyle a_{n}={\frac {3^{n}n!}{n^{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L
=
lim
n
→
∞
a
n
+
1
a
n
=
lim
n
→
∞
(
3
n
+
1
(
n
+
1
)
!
(
n
+
1
)
n
+
1
⋅
n
n
3
n
n
!
)
=
lim
n
→
∞
3
(
1
+
1
/
n
)
n
=
3
e
>
1
{\displaystyle L=\lim _{n\to \infty }{\frac {a_{n+1}}{a_{n}}}=\lim _{n\to \infty }\left({\frac {3^{n+1}(n+1)!}{(n+1)^{n+1}}}\cdot {\frac {n^{n}}{3^{n}n!}}\right)=\lim _{n\to \infty }{\frac {3}{(1+1/n)^{n}}}={\frac {3}{\mathrm {e} }}>1}
이다. 비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발산한다.
급수
∑
n
=
0
∞
1
{\displaystyle \sum _{n=0}^{\infty }1}
을 생각하자. 자명하게
L
=
1
{\displaystyle L=1}
이다. 하지만
a
n
=
1
{\displaystyle a_{n}=1}
이라고 하였을 때,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a
n
a
n
+
1
≥
1
{\displaystyle {\frac {a_{n}}{a_{n+1}}}\geq 1}
이다. 따라서 비 판정법의 더 일반적인 형태에 의하여, 이 급수는 발산한다. 사실, 비 판정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이 급수의 항이 0으로 수렴하지 않음은 자명하므로, 급수가 발산함은 자명하다.
양의 실수 항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가 주어졌다고 하자 (
a
n
>
0
∀
n
≥
0
{\displaystyle a_{n}>0\forall n\geq 0}
). 라베 판정법 (영어 : Raabe’s test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s
=
lim inf
n
→
∞
n
(
a
n
a
n
+
1
−
1
)
>
1
{\displaystyle s=\liminf _{n\to \infty }n\left({\frac {a_{n}}{a_{n+1}}}-1\right)>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s
′
=
lim sup
n
→
∞
n
(
a
n
a
n
+
1
−
1
)
<
1
{\displaystyle s'=\limsup _{n\to \infty }n\left({\frac {a_{n}}{a_{n+1}}}-1\right)<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라면
s
=
∞
{\displaystyle s=\infty }
이며, 만약
r
>
1
{\displaystyle r>1}
이라면
s
′
=
−
∞
{\displaystyle s'=-\infty }
이다. 따라서 라베 판정법은 비 판정법을 일반화한다. 라베 판정법은 급수
∑
n
=
1
∞
1
n
t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n^{t}}}}
의,
t
∈
R
{\displaystyle t\in \mathbb {R} }
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이 급수는
t
>
1
{\displaystyle t>1}
일 때 수렴하며,
t
≤
1
{\displaystyle t\leq 1}
일 때 발산한다. (이는 코시 응집 판정법 이나 적분 판정법 을 통하여 보일 수 있다.) 두 번째 명제에서,
s
′
<
1
{\displaystyle s'<1}
을 다음 조건으로 약화하여도 명제가 성립한다.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n
(
a
n
a
n
+
1
−
1
)
≤
1
{\displaystyle n\left({\frac {a_{n}}{a_{n+1}}}-1\right)\leq 1}
.”
임의의
t
>
u
>
1
{\displaystyle t>u>1}
이 주어졌을 때, 어떤
ϵ
t
,
u
>
0
{\displaystyle \epsilon _{t,u}>0}
및 임의의
0
≤
x
<
ϵ
t
,
u
{\displaystyle 0\leq x<\epsilon _{t,u}}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1
+
t
x
≥
(
1
+
x
)
u
{\displaystyle 1+tx\geq (1+x)^{u}}
이는
f
:
[
0
,
∞
)
→
R
{\displaystyle f\colon [0,\infty )\to \mathbb {R} }
f
(
x
)
=
1
+
t
x
−
(
1
+
x
)
u
{\displaystyle f(x)=1+tx-(1+x)^{u}}
라고 하였을 때
f
(
0
)
=
0
{\displaystyle f(0)=0}
f
′
(
0
)
=
t
−
u
>
0
{\displaystyle f'(0)=t-u>0}
이며,
f
′
{\displaystyle f'}
이 연속 함수 이기 때문이다.
만약
s
>
t
>
u
>
1
{\displaystyle s>t>u>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a
n
+
1
>
1
+
t
n
≥
(
1
+
1
n
)
u
=
(
n
+
1
)
u
n
u
{\displaystyle {\frac {a_{n}}{a_{n+1}}}>1+{\frac {t}{n}}\geq \left(1+{\frac {1}{n}}\right)^{u}={\frac {(n+1)^{u}}{n^{u}}}}
이다. 즉,
n
u
a
n
>
(
n
+
1
)
u
a
n
+
1
{\displaystyle n^{u}a_{n}>(n+1)^{u}a_{n+1}}
이다. 따라서,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n
u
a
n
≤
(
n
−
1
)
u
a
n
−
1
≤
⋯
≤
N
u
a
N
{\displaystyle n^{u}a_{n}\leq (n-1)^{u}a_{n-1}\leq \cdots \leq N^{u}a_{N}}
이다. 즉,
a
n
≤
N
u
a
N
n
u
{\displaystyle a_{n}\leq {\frac {N^{u}a_{N}}{n^{u}}}}
이다. 급수
∑
n
=
1
∞
1
n
u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n^{u}}}}
가 수렴하므로, 비교 판정법 에 따라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s
′
<
1
{\displaystyle s'<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a
n
+
1
<
1
+
1
n
=
n
+
1
n
{\displaystyle {\frac {a_{n}}{a_{n+1}}}<1+{\frac {1}{n}}={\frac {n+1}{n}}}
이다. 즉,
n
a
n
<
(
n
+
1
)
a
n
+
1
{\displaystyle na_{n}<(n+1)a_{n+1}}
이다. 따라서,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n
a
n
≥
(
n
−
1
)
a
n
−
1
≥
⋯
≥
N
a
N
{\displaystyle na_{n}\geq (n-1)a_{n-1}\geq \cdots \geq Na_{N}}
이다. 즉,
a
n
≥
N
a
N
n
{\displaystyle a_{n}\geq {\frac {Na_{N}}{n}}}
이다. 조화급수
∑
n
=
1
∞
1
n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n}}}
은 발산하므로, 비교 판정법 에 따라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급수
∑
n
=
1
∞
1
n
2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n^{2}}}}
를 생각하자.
a
n
=
(
2
n
−
1
)
!
!
(
2
n
)
!
!
{\displaystyle a_{n}={\frac {(2n-1)!!}{(2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s
=
lim
n
→
∞
n
(
a
n
a
n
+
1
−
1
)
=
lim
n
→
∞
n
(
(
n
+
1
)
2
n
2
−
1
)
=
lim
n
→
∞
n
(
n
2
+
2
n
+
1
n
2
−
1
)
=
lim
n
→
∞
2
n
2
+
n
n
2
=
2
>
1
{\displaystyle s=\lim _{n\to \infty }n\left({\frac {a_{n}}{a_{n+1}}}-1\right)=\lim _{n\to \infty }n\left({\frac {(n+1)^{2}}{n^{2}}}-1\right)=\lim _{n\to \infty }n\left({\frac {n^{2}+2n+1}{n^{2}}}-1\right)=\lim _{n\to \infty }{\frac {2n^{2}+n}{n^{2}}}=2>1}
이다. 라베 판정법에 따라, 이 급수는 수렴한다. (라베 판정법의 표준적인 증명은 이 급수가 수렴한다는 사실을 사용한다는 데 주의하자.) 적분 판정법 이나 코시 응집 판정법 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 으로는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 수 없다.
급수
∑
n
=
1
∞
(
2
n
−
1
)
!
!
(
2
n
)
!
!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2n-1)!!}{(2n)!!}}}
를 생각하자.
a
n
=
(
2
n
−
1
)
!
!
(
2
n
)
!
!
{\displaystyle a_{n}={\frac {(2n-1)!!}{(2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s
′
=
lim
n
→
∞
n
(
a
n
a
n
+
1
−
1
)
=
lim
n
→
∞
n
(
(
2
n
−
1
)
!
!
(
2
n
)
!
!
⋅
(
2
n
+
2
)
!
!
(
2
n
+
1
)
!
!
−
1
)
=
lim
n
→
∞
n
(
2
n
+
2
2
n
+
1
−
1
)
=
lim
n
→
∞
n
2
n
+
1
=
1
2
<
1
{\displaystyle s'=\lim _{n\to \infty }n\left({\frac {a_{n}}{a_{n+1}}}-1\right)=\lim _{n\to \infty }n\left({\frac {(2n-1)!!}{(2n)!!}}\cdot {\frac {(2n+2)!!}{(2n+1)!!}}-1\right)=\lim _{n\to \infty }n\left({\frac {2n+2}{2n+1}}-1\right)=\lim _{n\to \infty }{\frac {n}{2n+1}}={\frac {1}{2}}<1}
이다. 라베 판정법에 따라, 이 급수는 발산한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 으로는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 수 없다.
양의 실수 항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가 주어졌다고 하자 (
a
n
>
0
∀
n
≥
0
{\displaystyle a_{n}>0\forall n\geq 0}
). 베르트랑 판정법 (영어 : Raabe’s test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b
=
lim inf
n
→
∞
ln
n
(
n
(
a
n
a
n
+
1
−
1
)
−
1
)
>
1
{\displaystyle b=\liminf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a_{n}}{a_{n+1}}}-1\right)-1\right)>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b
′
=
lim sup
n
→
∞
ln
n
(
n
(
a
n
a
n
+
1
−
1
)
−
1
)
<
1
{\displaystyle b'=\limsup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a_{n}}{a_{n+1}}}-1\right)-1\right)<1}
이라면,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만약
s
>
1
{\displaystyle s>1}
이라면,
b
=
∞
{\displaystyle b=\infty }
이다. 만약
s
′
<
1
{\displaystyle s'<1}
이라면,
b
′
=
−
∞
{\displaystyle b'=-\infty }
이다. 따라서 베르트랑 판정법은 라베 판정법보다 강하다. 베르트랑 판정법의 본질은 주어진 급수를 급수
∑
n
=
2
∞
1
n
ln
t
n
{\displaystyle \sum _{n=2}^{\infty }{\frac {1}{n\ln ^{t}n}}}
(
t
∈
R
{\displaystyle t\in \mathbb {R} }
)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 급수는
t
>
1
{\displaystyle t>1}
일 때 수렴하며,
t
≤
1
{\displaystyle t\leq 1}
일 때 발산한다. (이는 적분 판정법 을 통하여 보일 수 있다.) 두 번째 명제에서,
b
′
<
1
{\displaystyle b'<1}
조건은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ln
n
(
n
(
a
n
a
n
+
1
−
1
)
−
1
)
≤
1
{\displaystyle \ln n\left(n\left({\frac {a_{n}}{a_{n+1}}}-1\right)-1\right)\leq 1}
” 조건으로 약화할 수 있다.
라베 판정법의 증명에서 다음 사실을 증명하였다. 임의의
t
>
u
>
1
{\displaystyle t>u>1}
이 주어졌을 때, 어떤
ϵ
t
,
u
>
0
{\displaystyle \epsilon _{t,u}>0}
및 임의의
0
≤
x
<
ϵ
t
,
u
{\displaystyle 0\leq x<\epsilon _{t,u}}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1
+
t
x
≥
(
1
+
x
)
u
{\displaystyle 1+tx\geq (1+x)^{u}}
베르트랑 판정법의 증명은 다음 사실을 추가로 사용한다. 임의의
x
≥
0
{\displaystyle x\geq 0}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x
≥
ln
(
1
+
x
)
{\displaystyle x\geq \ln(1+x)}
이는
g
:
[
0
,
∞
)
→
R
{\displaystyle g\colon [0,\infty )\to \mathbb {R} }
g
(
x
)
=
x
−
ln
(
1
+
x
)
{\displaystyle g(x)=x-\ln(1+x)}
라고 하였을 때
g
(
0
)
=
0
{\displaystyle g(0)=0}
g
′
(
x
)
=
1
−
1
1
+
x
≥
0
{\displaystyle g'(x)=1-{\frac {1}{1+x}}\geq 0}
이기 때문이다.
만약
b
>
t
>
u
>
1
{\displaystyle b>t>u>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a
n
+
1
>
1
+
1
n
+
t
n
ln
n
≥
1
n
+
(
1
+
1
n
ln
n
)
u
=
1
n
+
(
n
ln
n
+
1
n
ln
n
)
u
=
1
n
+
(
ln
n
+
1
/
n
ln
n
)
u
≥
1
n
+
(
ln
n
+
ln
(
1
+
1
/
n
)
ln
n
)
u
=
1
n
+
(
ln
(
n
+
1
)
ln
n
)
u
=
1
n
+
ln
u
(
n
+
1
)
ln
u
n
=
ln
u
(
n
+
1
)
+
n
ln
u
(
n
+
1
)
n
ln
u
n
=
(
n
+
1
)
ln
u
(
n
+
1
)
n
ln
u
n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a_{n}}{a_{n+1}}}&>1+{\frac {1}{n}}+{\frac {t}{n\ln n}}\\&\geq {\frac {1}{n}}+\left(1+{\frac {1}{n\ln n}}\right)^{u}\\&={\frac {1}{n}}+\left({\frac {n\ln n+1}{n\ln n}}\right)^{u}\\&={\frac {1}{n}}+\left({\frac {\ln n+1/n}{\ln n}}\right)^{u}\\&\geq {\frac {1}{n}}+\left({\frac {\ln n+\ln(1+1/n)}{\ln n}}\right)^{u}\\&={\frac {1}{n}}+\left({\frac {\ln(n+1)}{\ln n}}\right)^{u}\\&={\frac {1}{n}}+{\frac {\ln ^{u}(n+1)}{\ln ^{u}n}}\\&={\frac {\ln ^{u}(n+1)+n\ln ^{u}(n+1)}{n\ln ^{u}n}}\\&={\frac {(n+1)\ln ^{u}(n+1)}{n\ln ^{u}n}}\end{aligned}}}
이다. 급수
∑
n
=
2
∞
1
n
ln
u
n
{\displaystyle \sum _{n=2}^{\infty }{\frac {1}{n\ln ^{u}n}}}
이 수렴하므로, 비교 판정법 에 따라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만약
b
′
<
1
{\displaystyle b'<1}
이라면, 어떤
N
≥
0
{\displaystyle N\geq 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a
n
+
1
<
1
+
1
n
+
1
n
ln
n
=
(
n
+
1
)
ln
n
+
1
n
ln
n
≤
(
n
+
1
)
ln
n
+
n
ln
(
1
+
1
/
n
)
n
ln
n
<
(
n
+
1
)
ln
n
+
(
n
+
1
)
ln
(
1
+
1
/
n
)
n
ln
n
=
(
n
+
1
)
ln
(
n
+
1
)
n
ln
n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a_{n}}{a_{n+1}}}&<1+{\frac {1}{n}}+{\frac {1}{n\ln n}}\\&={\frac {(n+1)\ln n+1}{n\ln n}}\\&\leq {\frac {(n+1)\ln n+n\ln(1+1/n)}{n\ln n}}\\&<{\frac {(n+1)\ln n+(n+1)\ln(1+1/n)}{n\ln n}}\\&={\frac {(n+1)\ln(n+1)}{n\ln n}}\end{aligned}}}
이다. 급수
∑
n
=
2
∞
1
n
ln
n
{\displaystyle \sum _{n=2}^{\infty }{\frac {1}{n\ln n}}}
이 발산하므로, 비교 판정법 에 따라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급수
∑
n
=
1
∞
(
−
1
)
n
−
1
1
n
{\displaystyle \sum _{n=1}^{\infty }(-1)^{n-1}{\frac {1}{n}}}
를 생각하자. 이는 양의 항의 급수가 아니지만, 베르트랑 판정법을 사용하여 절대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
n
=
(
−
1
)
n
−
1
1
n
{\displaystyle a_{n}=(-1)^{n-1}{\frac {1}{n}}}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b
′
=
lim
n
→
∞
ln
n
(
n
(
|
a
n
|
|
a
n
+
1
|
−
1
)
−
1
)
=
lim
n
→
∞
ln
n
(
n
(
n
+
1
n
−
1
)
−
1
)
=
lim
n
→
∞
ln
n
(
n
⋅
1
n
−
1
)
=
0
<
1
{\displaystyle b'=\lim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a_{n}|}{|a_{n+1}|}}-1\right)-1\right)=\lim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n+1}{n}}-1\right)-1\right)=\lim _{n\to \infty }\ln n\left(n\cdot {\frac {1}{n}}-1\right)=0<1}
이다. 베르트랑 판정법에 따라, 이 급수는 절대 수렴 하지 않는다. (이 사실은 베르트랑 판정법의 증명에서 사용된다.) 이 급수는 양의 항의 급수가 아니므로, 수렴 여부를 판단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교대급수 판정법 에 따라, 이 급수는 수렴한다. 즉, 이 급수는 조건 수렴 한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 또는 라베 판정법으로는 이 급수의 절대 수렴 여부를 알 수 없다.
급수
∑
n
=
1
∞
(
(
2
n
−
1
)
!
!
(
2
n
)
!
!
)
2
{\displaystyle \sum _{n=1}^{\infty }\left({\frac {(2n-1)!!}{(2n)!!}}\right)^{2}}
를 생각하자.
a
n
=
(
(
2
n
−
1
)
!
!
(
2
n
)
!
!
)
2
{\displaystyle a_{n}=\left({\frac {(2n-1)!!}{(2n)!!}}\right)^{2}}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b
′
=
lim
n
→
∞
ln
n
(
n
(
a
n
a
n
+
1
−
1
)
−
1
)
=
lim
n
→
∞
ln
n
(
n
(
(
2
n
−
1
)
!
!
2
(
2
n
)
!
!
2
⋅
(
2
n
+
2
)
!
!
2
(
2
n
+
1
)
!
!
2
−
1
)
−
1
)
=
lim
n
→
∞
ln
n
(
n
(
(
2
n
+
2
)
2
(
2
n
+
1
)
2
−
1
)
−
1
)
=
lim
n
→
∞
ln
n
(
n
(
4
n
2
+
8
n
+
4
4
n
2
+
4
n
+
1
−
1
)
−
1
)
=
lim
n
→
∞
ln
n
(
4
n
2
+
3
n
4
n
2
+
4
n
+
1
−
1
)
=
lim
n
→
∞
−
(
n
+
1
)
ln
n
4
n
2
+
4
n
+
1
=
0
<
1
{\displaystyle {\begin{aligned}b'&=\lim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a_{n}}{a_{n+1}}}-1\right)-1\right)\\&=\lim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2n-1)!!^{2}}{(2n)!!^{2}}}\cdot {\frac {(2n+2)!!^{2}}{(2n+1)!!^{2}}}-1\right)-1\right)\\&=\lim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2n+2)^{2}}{(2n+1)^{2}}}-1\right)-1\right)\\&=\lim _{n\to \infty }\ln n\left(n\left({\frac {4n^{2}+8n+4}{4n^{2}+4n+1}}-1\right)-1\right)\\&=\lim _{n\to \infty }\ln n\left({\frac {4n^{2}+3n}{4n^{2}+4n+1}}-1\right)\\&=\lim _{n\to \infty }-{\frac {(n+1)\ln n}{4n^{2}+4n+1}}\\&=0\\&<1\end{aligned}}}
이다. 베르트랑 판정법에 따라, 이 급수는 발산한다. 사실,
s
=
s
′
=
1
{\displaystyle s=s'=1}
이지만,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n
(
a
n
a
n
+
1
−
1
)
≤
1
{\displaystyle n\left({\frac {a_{n}}{a_{n+1}}}-1\right)\leq 1}
이다. 따라서 베르트랑 판정법 대신 라베 판정법의 약간 더 일반적인 형태를 사용하여도 좋다.
양의 실수 항 급수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가 주어졌다고 하자 (
a
n
>
0
∀
n
≥
0
{\displaystyle a_{n}>0\forall n\geq 0}
). 쿠머 판정법 (영어 : Kummer’s test )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필요충분조건 이다.[ 1] :Theorem, (1)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수렴한다.
어떤 양의 실수의 수열
(
b
n
)
n
=
0
∞
{\displaystyle (b_{n})_{n=0}^{\infty }}
(
b
n
>
0
∀
n
≥
0
{\displaystyle b_{n}>0\forall n\geq 0}
)에 대하여,
lim inf
n
→
∞
(
b
n
a
n
a
n
+
1
−
b
n
+
1
)
>
0
{\displaystyle \liminf _{n\to \infty }\left(b_{n}{\frac {a_{n}}{a_{n+1}}}-b_{n+1}\right)>0}
마찬가지로, 다음 두 조건이 서로 필요충분조건 이다.[ 1] :Theorem, (2)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은 발산한다.
어떤 양의 실수의 수열
(
b
n
)
n
=
0
∞
{\displaystyle (b_{n})_{n=0}^{\infty }}
(
b
n
>
0
∀
n
≥
0
{\displaystyle b_{n}>0\forall n\geq 0}
)에 대하여,
∑
n
=
0
∞
1
b
n
{\displaystyle \sum _{n=0}^{\infty }{\frac {1}{b_{n}}}}
은 발산하며, 모든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lim sup
n
→
∞
(
b
n
a
n
a
n
+
1
−
b
n
+
1
)
<
0
{\displaystyle \limsup _{n\to \infty }\left(b_{n}{\frac {a_{n}}{a_{n+1}}}-b_{n+1}\right)<0}
쿠머 판정법의 몇 가지 특수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b
n
{\displaystyle b_{n}}
수렴 판정법
b
n
=
1
{\displaystyle b_{n}=1}
비 판정법
b
n
=
n
{\displaystyle b_{n}=n}
라베 판정법
b
n
=
n
ln
n
{\displaystyle b_{n}=n\ln n}
베르트랑 판정법
다른 판정법과 달리, 쿠머 판정법은 양의 항의 급수가 수렴·발산할 필요충분조건 을 제시하며,[ 1] 모든 급수에 대하여 유효하다. 하지만 쿠머 판정법은 적절한
(
b
n
)
n
=
0
∞
{\displaystyle (b_{n})_{n=0}^{\infty }}
을 찾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모든 급수에 대하여 유효한 하나의
(
b
n
)
n
=
0
∞
{\displaystyle (b_{n})_{n=0}^{\infty }}
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양의 실수 항 수렴급수
∑
n
=
0
∞
x
n
{\displaystyle \sum _{n=0}^{\infty }x_{n}}
에 대하여,
lim
n
→
∞
y
n
x
n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y_{n}}{x_{n}}}=\infty }
인 양의 실수 항 수렴급수
∑
n
=
0
∞
y
n
{\displaystyle \sum _{n=0}^{\infty }y_{n}}
가 존재하며, 또한 임의의 양의 실수 항 발산급수
∑
n
=
0
∞
x
n
{\displaystyle \sum _{n=0}^{\infty }x_{n}}
에 대하여,
lim
n
→
∞
y
n
x
n
=
0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y_{n}}{x_{n}}}=0}
인 양의 실수 항 발산급수
∑
n
=
0
∞
y
n
{\displaystyle \sum _{n=0}^{\infty }y_{n}}
가 존재한다.
비 판정법은 장 르 롱 달랑베르 가 처음 발표하였다. 쿠머 판정법(의 충분성 부분)은 1835년에 에른스트 쿠머 가 제시하였다.[ 2] 이후 반 세기 동안 수 차례 재발견되었으며, 최초의 발견자에 대하여 논란이 일었다.[ 1]
d'Alembert, J. (1768), 《Opuscules》 (영어) V , 171–183쪽 .
Apostol, Tom M. (1974), 《Mathematical analysis》 (영어) 2판, Addison-Wesley , ISBN 978-0-201-00288-1 : §8.14.
Knopp, Konrad (1956), 《Infinite Sequences and Series》 (영어),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ISBN 0-486-60153-6 : §3.3, 5.4.
Rudin, Walter (1976).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 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3판. McGraw-Hill. ISBN 978-0-07-054235-8 . MR 0385023 . Zbl 0346.26002 .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6일에 확인함 .
Tao, Terence (2016). 《Analysis I》. Texts and Readings in Mathematics (영어) 37 3판. Singapore: Springer. doi :10.1007/978-981-10-1789-6 . ISBN 978-981-10-1789-6 . ISSN 2366-8725 . LCCN 2016940817 .
Watson, G. N.; Whittaker, E. T. (1963), 《A Course in Modern Analysis》 (영어) 4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8807-3 :§2.36,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