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부

전근대 중국 및 한국의 행정부서인 6부에서 국방을 담당하던 부서로, 오늘날의 국방부에 해당하는 부서

병부(兵部)는 전근대 중국한국의 행정부서인 6부에서 국방을 담당하던 부서로, 오늘날의 국방부에 해당하는 부서이다. 부서의 장관은 병부상서이다.

역사

편집

병부는 수당시대에 설립된 6개 부서 중 하나로 군무원 선발, 병적 등록, 병기, 병령 등을 관장한다. 장관은 최고 관료였고, 서기는 두 번째 관료였다.

청나라 말까지 이 부서는 여러 왕조에 걸쳐 존재하였으나 기능과 권력은 같지 않았다. , , , 등의 왕조는 군대의 특별한 구성으로 인해 병부가 존재하지 않았고 황제에게 직접 복종하는 추밀원으로 대체되었다. 명나라 때 정식 명칭은 '본병'이었고 그는 막강한 권력을 가졌다. 청나라 때는 팔기제가 시행되었고 각 기에는 군사력이 귀속되었다.

청나라 광서 32년(1906), 청 정부가 입헌정부를 모방하여 병부를 육군부로 변경하고 해군부를 추가한다고 선언하면서 병부는 폐지되었다.

한국 및 일본

편집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던 한반도고려에는 병부가 존재하고 병부판서가 해당 부서를 감독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병조로 개칭되어 병조판서가 해당 부서를 감독하였다. 일본에도 이와 유사한 기관으로 병부성이 존재하였다.

고려

편집
  • 공역서(供驛署) : 각 (驛)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1]
  • 혜음원 : 개성의 동남방 지역에서 수도 개성으로 들어오는 혜음령에 별원(고려 시대 행궁)을 포함한 관사[2]
  • 벽란정 : 예성강 하구에 있던 관사
  • 상라산성 : 국경 지역에서 중국 사신의 접근을 수도 개성에 알리는 봉수대,[3] 사신의 관사[4]에 인접한 흑산도 산성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공역서(供驛署)”. 《한국역사용어 시소러스》. 국사편찬위원회. 2023년 12월 17일에 확인함. 
  2. “문화관광 > 관광명소 > 테마별 역사유적 > 혜음원지(사적 제464호)”. 《파주시청》. 파주시청. 2023년 12월 15일에 확인함. 
  3. “재미있는 초등역사 > 조선 > 봉수 > 국가의 위급한 상황을 전하던 봉수”.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2023년 12월 16일에 확인함. 
  4. 강봉룡 (2016년 12월). “바다로 보는 한국사”. 《역사학보》 (역사학회) 232: 147–200. doi:10.16912/tkhr.2016.12.232.147. 2023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