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세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7년 6월) |
병역세 대상자
편집다음과 같은 사람들에 대한 배려 및 병역세로 사병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로서 병역세를 시행하지 않는 징병제 국가는 대한민국과 북한 등이 있다.
병역세의 용도
편집병역세를 징수하면 그 돈으로 사병의 급여를 지급하고 사병의 관사를 건설하는 등 사병 복지 위주로 사용되며 무기 구매 및 훈련비용 등은 다른 예산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병역세를 납부하지 않고 군복무를 택하는 사람들은 군대가 평생 직장이 된다.
병역세를 시행하는 국가들
편집노르웨이나 과거 서독 등의 선진국부터 중화민국, 터키같은 중진국은 물론이고 몽골에 이르는 후진국도 병역이 징병제일 경우 병역세 제도를 시행한다. 물론 현재의 독일은 병역이 모병제이다.
병역세의 액수는 다음과 같다. 해당 국가의 평균 연봉과 비슷하다.
- 노르웨이: 29,000 유로(한화 약 4,000만 원)
- 튀르키예: 5,900 유로(한화 약 810만 원)
- 몽골: 150만 투그릭(한화 약 68만 원)
이 글은 경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