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지
부도지(符都誌)는 신라 눌지왕 때 박제상이 저술했다는 사서인 《징심록》의 일부이다.
부도지 | |
---|---|
저자 | 박제상 |
분야 | 사서 |
1953년에 그 후손인 박금(朴錦)이 그 내용을 발표함으로써 일반에 공개되었고, 1986년 번역본이 출간되어 널리 알려졌다. 조선 시대에 김시습에 의해 번역되었고, 그 필사본이 보관되고 있었다고 하지만 확인할 수 없다. 현존하는 《부도지[1]》의 내용은 원본의 내용을 연구했던 기억을 복원한 것이라고 한다.[2]
저자
편집박금의 본명은 박재익이며, 박제상의 55세손이다. 1895년 함경남도 문주(지금의 문천)에서 태어났다.[3] 1930년대(1925년~1934년)에는 동아일보 기자로서 활동했으며, 만보산 사건을 취재하기도 했다.
징심록
편집《징심록(澄心錄)》은 3교(敎) 15지(誌)로 되어 있다.
- 상교 - 부도지(符都誌), 음신지(音信誌), 역시지(曆時誌), 천웅지(天雄誌), 성신지(星辰誌)
- 중교 - 사해지(四海誌), 계불지(禊祓誌), 물명지(物名誌), 가악지(歌樂誌), 의약지(醫藥誌)
- 하교 - 농상지(農桑誌), 도인지(陶人誌), 나머지 3지는 알 수 없다.
《부도지》외에 음신지, 역시지, 천웅지, 성신지 등을 복원했다고 하나 일반에 전해지지 않는다.
징심록추기
편집복원된 《부도지》에는 조선시대 생육신 중 한 명인 김시습이 《징심록》의 원본을 고대어에서 당시의 문장으로 적으면서 내력과 느낀 점을 덧붙였다.
요정징심록연의추기
편집박금씨가 《징심록》을 복원하면서 느낀 점을 기록하였다.
내용
편집- 시대는 짐세, 선천, 후천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선천(先天)의 시대가 열리기 이전에 짐세(朕世)라는 시대가 있었으며, 후천의 말기에 임검씨(단군)가 등장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부도지”.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시인 김지하는 고서인 《부도지(符都誌)》가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고, 《부도지》에서 언급한 마고성(麻姑城)을 인류 시원(始原)의 문명이라고 규정한다. 마고성은 21세기 현재에서 1만 4천 년 전(1만1천년 +7천년 = 1만8천년) 파미르고원에 있었다고 한다. 또 단군조선이 개국하기 이전 시대인 신시(神市, 신시배달국)도 중요시한다. 고대로 돌아가는 원시반본(原始返本)의 정신으로 현재의 위기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군이 실존인물이라고 믿으며, 율려가 생활 속에 가장 순수하게 살아있던 때가 단군시대이며 한민족의 역사 속에 실제로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 ↑ 박제상 저, 《부도지》, 김은수 번역·주해, 가나출판사, 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