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역사
부산광역시의 깊은 역사
부산광역시의 지방조직 변천 | |||||
---|---|---|---|---|---|
변한 | - | 가락국 거칠산국 장산국 | |||
신라 | 6세기 | 거칠산군 | |||
757년 | 양주 동래군 | ||||
고려 | 1018년 | 경상도 울주 동래현 | |||
조선 | 1405년 | 경상도 동래현 | |||
1547년 | 경상도 동래도호부 | ||||
1592년 | 경상도 동래현 | ||||
1599년 | 경상도 동래도호부 | ||||
1895년 | 동래관찰부 동래군 | ||||
1896년 | 경상남도 동래부 | ||||
1903년 | 경상남도 동래군 | ||||
1906년 | 경상남도 동래부 | ||||
일제 강점기 | 1910년 | 경상남도 부산부 | |||
1914년 | 경상남도 부산부 경상남도 동래군 | ||||
대한 민국 | 1949년 | 경상남도 부산시 경상남도 동래군 | |||
1963년 | 부산직할시 경상남도 동래군 | ||||
1973년 | 부산직할시 | ||||
1995년 |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제 2의 도시로, 현재의 규모와 명성을 갖추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삼한 시대 변한의 거칠산국의 작은 고을로 시작하여 조선 시대에는 부산진 설치와 함께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로 발전하는 한편 조선 통신사의 출항지가 되었고, 근대에 들어 조선과 일본 사이의 불평등조약이었던 조일강화조약으로 인한 삼포(三浦) 개항 이후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1963년에는 《부산직할시》로 승격, 1995년에는 최종적으로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고대
편집- 삼한시대에는 해운대 지역에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 서기 1세기 후반인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한편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가야의 각축장이 되었다.
-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가야가 신라를 대거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
- 8세기 경 경덕왕에 의한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하였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속현이 되었다.
- 고려 때인 1018년 동래군이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되고 울주(蔚州, 지금의 울산)의 속현이 되며 동래군의 속현이던 동평현은 양주(梁州, 지금의 양산)의 속현이 되었다.
중세
편집- 1397년 동래군에 부산진(釜山鎭)이 설치되었다.
- 1405년 울주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독립현이 되었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 1409년 동평현이 다시 양주의 속현이 되었다.
- 1428년 동평현이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 1547년 동래현이 《동래도호부》로 승격되었다.
- 1592년 동래도호부가 다시 동래현으로 강등되었다.
-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 경상좌수영이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이전되었다.
- 1599년 동래현이 다시 동래도호부로 승격됨과 동시에 기장현이 폐현되어 동래에 이속되었다.
- 1617년 기장현이 복현되었다.
- 17세기-18세기에 부산진은 조선과 일본을 연결하는 사절단인 조선 통신사의 출항지로써의 역할을 수행했다.
- 1895년 음력 윤 5월 1일 이십삼부의 시행으로 지금의 포항시, 경주시, 울산광역시, 양산시, 부산광역시, 거제시에 해당하는 영역을 관할하는 광역행정구역인 동래부(東萊府)가 설치되었으며 그 관청이 동래에 설치됨과 동시에 동래도호부가 《동래군》으로 전환되었다.[1]
- 1896년 8월 4일 십삼도의 시행으로 경상남도 동래군으로 개편되었다.[2]
근대
편집- 1910년 10월 1일 동래부가 부산부(釜山府)로 개칭되었다.[5]
- 1914년 4월 1일 부산부가 도시 지역인 부산부와 그 외곽인 동래군으로 분할되었다. 동시에 기장군이 폐지되고 동래군에 흡수되었다.
- 부산부(釜山府)・사하면(沙下面)・사상면(沙上面)・서면(西面)・남면(南面)・동래면(東萊面)・북면(北面)・좌이면(左耳面)・철마면(鉄馬面)・정관면(鼎冠面)・장안면(長安面)・일광면(日光面)・기장면(機張面) (1부 12면)
- 개편 이전의 부산부의 영역은 지금의 부산 지역 대부분을 아우르나, 이후의 부산부 영역은 지금의 중구, 동구, 서구에 국한된다.[6]
1914년의 행정구역[7]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 현재 | ||
---|---|---|---|
면 | 동·리 | 시·구 | 동·리 |
사하면 (沙下面) |
암남리 | 부산 서구 |
암남동 |
감천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리, 다대리, 구평리, 당리, 괴정동 | 부산 사하구 |
감천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당리동, 괴정동 | |
사상면 (沙上面) |
주례리, 학장리, 괘법리, 덕포리, 엄궁리, 감전리, 모라리, 삼락리, 유두리 | 부산 사상구 |
주례동, 학장동, 괘법동, 덕포동, 엄궁동, 감전동, 모라동, 삼락동 일부, 삼락동 일부 |
서면 (西面) [8] |
양정리, 범전리, 부전리, 초읍리, 연지리, 전포리, 부암리, 개금리, 가야리, 당감리 | 부산 부산진구 |
양정동, 범전동, 부전동, 초읍동, 연지동, 전포동, 부암동, 개금동, 가야동, 당감동 |
문현리, 대연리, 우암리, 용호리, 용당리, 감만리 | 부산 남구 |
문현동, 대연동, 우암동, 용호동, 용당동, 감만동 | |
남면 (南面) [9] |
광안리, 남천리, 남수리, 망미리, 민락리 | 부산 수영구 |
광안동,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민락동 |
우리, 좌리, 중리, 재송리 | 부산 해운대구 |
우동, 좌동, 중동, 재송동 | |
동래면 (東萊面) [10] |
반여리, 석대리, 반송리 | 반여동, 석대동, 반송동 | |
연산리, 거제리 | 부산 연제구 |
연산동, 거제동 | |
수안리, 칠산리, 복천리, 낙민리, 원리, 교리, 온천리, 여고리, 명장리 | 부산 동래구 |
수안동, 칠산동, 복천동, 낙동, 안락동, 명륜동, 온천동, 사직동, 명장동 | |
회동리, 오륜리, 금사리, 서리 | 부산 금정구 |
회동동, 오륜동, 금사동, 서동 | |
북면 (北面) |
부곡리, 구서리, 선리, 두구리, 장전리, 노포리, 남산동, 청룡리 | 부곡동, 구서동, 선동, 두구동, 장전동, 노포동, 남산동, 청룡동 | |
좌이면 (左耳面) |
금성리 | 금성동 | |
화명리, 구포리, 덕천리, 금곡리, 만덕리 | 부산 북구 |
화명동, 구포동, 덕천동, 금곡동, 만덕동 | |
철마면 (鐵馬面) [11] |
이곡리, 연구리, 구칠리, 장전리, 웅천리, 백길리, 와여리, 안평리, 고촌리, 송정리, 임기리 | 부산 기장군 철마면 |
이곡리, 연구리, 구칠리, 장전리, 웅천리, 백길리, 와여리, 안평리, 고촌리, 송정리, 임기리 |
정관면 (鼎冠面) [12] |
달산리, 용수리, 방곡리, 예림리, 매학리, 병산리, 모전리, 월평리, 임곡리, 두명리 | 부산 기장군 정관읍 |
달산리, 용수리, 방곡리, 예림리, 매학리, 병산리, 모전리, 월평리, 임곡리, 두명리 |
장안면 (長安面) [13] |
고리, 길천리, 오리, 명례리, 장안리, 기룡리, 용소리, 반룡리, 효암리, 좌천리, 월내리, 임랑리, 좌동리, 덕선리 | 부산 기장군 장안읍 |
고리, 길천리, 오리, 명례리, 장안리, 기룡리, 용소리, 반룡리, 효암리, 좌천리, 월내리, 임랑리, 좌동리, 덕선리 |
일광면 (日光面) [14] |
이천리, 삼성리, 학리, 청광리, 동백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 문동리, 문중리, 칠암리, 신평리, 원리 | 부산 기장군 일광읍 |
이천리, 삼성리, 학리, 청광리, 동백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 문동리, 문중리, 칠암리, 신평리, 원리 |
기장면 (機張面) [15] |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죽성리, 신천리, 청강리, 연화리, 대변리, 교리, 만화리, 내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 부산 기장군 기장읍 |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죽성리, 신천리, 청강리, 연화리, 대변리, 교리, 만화리, 내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
송정리 | 부산 해운대구 |
송정동 |
- 당시 도청은 부산부 부민정 2정목(현재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2가)에 위치했다.
현대
편집광복 이후
편집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부산부 서정(西町)1~4정목, 부평정1~4정목, 변천정(弁天町)1~3정목, 행정(幸町)1~3정목, 본정(本町)1~5정목, 대청정1~4정목, 영정(榮町)1~3정목, 대창정(大倉町)1~4정목, 대교통(大橋通)1~3정목, 남빈정(南濱町)1~3정목, 보수정1~3정목, 복전정(福田町) 신창동1~4가, 부평동1~4가, 광복동1~3가, 창선동1~3가, 동광동1~5가, 대청동1~4가, 대창동1~3가, 중앙동1~4가, 대교동1~3가, 남포동1~3가, 보수동1~3가, 복병동(伏兵洞) 부산부 소화정(昭和町)1~5정목, 녹정(綠町)1~2정목, 초장정1~5정목, 토성정1~5정목, 곡정(谷町)1~2정목, 중도정(中島町)1~3정목, 동대신정1~3정목, 서대신정1~3정목, 토성정1~3정목, 부민정1~3정목, 남부민정(南富民町), 암남정 충무동1~5가, 완월동1~2가, 초장동1~5가, 토성동1~5가, 아미동1~2가, 부용동1~3가, 동대신동1~3가, 서대신동1~3가, 토성동1~3가, 부민동1~3가, 남부민동, 암남동 부산부 어영정(御影町)1~4정목, 산수정(山手町)1~3정목, 항정(港町)1~5정목, 대교통4~5정목, 갑정1~2정목, 석견정1~3정목, 청산정, 동산정 영선동1~4가, 신선동1~3가, 봉래동1~5가, 대교동4~5가, 대평동1~2가, 남항동1~3가, 청학동, 동삼동
- 해방 전 일제가 만든 부(府)를 시(市)로 변경[20].
- 당시 국회는 부산 문화극장으로 이전하였다.
- 당시 국회는 부산극장에서 개원하였다.
- 1951년 3월 20일에 부산특별시 승격안이 국회 내무위원회에 상정되어 유보 가결되었다.
- 1953년 9월 17일에 대연출장소와 해운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53년 8월 15일에 정부가 환도하고, 국회는 1953년 9월 16일에 환도하였다.
- 1957년 1월 1일에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부산시에 구(區)가 신설되었다.
광역시 승격 이후
편집- 남구 설치[23]와 함께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어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 북면출장소가 폐지
- 1980년 4월 1일에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해운대구를 설치하였다.[26]
- 1981년 4월 4일에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개정으로 법령상 부산직할시(釜山直轄市)로 명칭이 공식적으로 변경되었다.
- 1981년 6월 13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착공하였다.
- 1985년 7월 19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를 개통하였다.
- 강서구는 북구 대저1 · 대저2 · 강동 · 명지동과 김해군 가락면 · 녹산면, 의창군 천가면 관할[30]이며 강서구 천가출장소를 설치
- 1991년 11월 28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착공하였다.
- 1997년 11월 25일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착공하였다.
- 1999년 6월 30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개통하였다.
- 부산 지역의 구장은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이었으며 6월 30일까지 개최
- 이 대회는 10월 14일까지 개최
- 2003년 12월 3일에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을 착공하였다.
- 2005년 11월 28일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개통하였다.
- 이 시기 착공한 구간은 부산 사상 ~ 김해 신명 구간
- 이와 함께 대대적인 노선 개편으로 많은 버스 노선이 신설 · 폐지 · 조정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칙령 제49호 地方區域整理件 (1906년 9월 28일)
- ↑ 칙령 제47호 감리와 목사를 폐지하는 건과 기사무를 인계에 관한 건, 제48호 부를 군으로 개칭하고 군을 부로 개칭하는 건과 부청급 군청에 관한 건(1906년 10월 1일?)
- ↑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공포
- ↑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년)
- ↑ 서면은 서하면(西下面)과 동평면(東平面), 남면(南面, 부산부)의 합면이다.
- ↑ 남면은 용주면(龍珠面)과 동하면(東下面)의 합면이다.
- ↑ 동래면은 읍내면(邑內面, 부산부)과 서상면(西上面), 동상면(東上面)의 합면이다.
- ↑ 철마면은 상서면(上西面)과 하서면(下西面)의 합면이다.
- ↑ 정관면은 하북면(下北面)과 하서면의 합면이다.
- ↑ 장안면은 상북면(上北面)과 중북면(中北面)의 합면이다.
- ↑ 일광면은 동면(東面)과 중북면의 합면이다.
- ↑ 기장면은 읍내면(邑內面, 기장군)과 남면(南面, 기장군)의 합면이다.
-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8호 (1936년 2월 14일)
- ↑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년 9월 30일)
- ↑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년 9월 29일)
- ↑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공포
- ↑ 법률 제407호, 1956년 12월 17일 공포
- ↑ 법률 1173호, 1962년 12월 21일 공포
- ↑ 대통령령 제7816호, 1975년 9월 23일 공포
- ↑ 대통령령 제8758호, 1977년 12월 19일 공포
- ↑ 법률 제3014호, 1977. 12. 19 공포
- ↑ 대통령령 제9630호, 동래구 좌동,중동,우동,송정동,석대동,반여동,반송동,재송동 (해운대출장소) → 해운대구 좌동,중동,우동,송정동,석대동,반여동,반송동,재송동
- ↑ 경상남도사무소의소재지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1년 4월 13일 법률 제3426호)
- ↑ 부산직할시사하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제정 1983년 10월 8일 대통령령 제11248호)
- ↑ 서울특별시 송파구 등 13개구 설치와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제정 1987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12367호)
- ↑ 부산직할시 강서구 설치 및 시·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제정 1988년 12월 31일 법률 제4051호)
- ↑ 지방자치법 (법률 제4789호, 1994년 12월 22일 공포)
- ↑ 법률 제4802호, 1994년 12월 22일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