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청룡암시 목판

부산 범어사 청룡암시 목판(釜山 梵魚寺 靑龍巖詩 木板)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중기 1608년 2월부터 1609년 7월까지 동래부사를 역임한 이안눌(1571∼1637) 선생의 「청룡암시」와 「범어사증도원선인」시를 자필로 쓴 것을 판각한 것이다. 1999년 9월 3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25호 이안눌청룡암시목판(李安訥靑龍巖詩木板)으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10월 1일 범어사 청룡암시 목판(梵魚寺 靑龍巖詩 木板)으로 문화재 명칭이 변경되었다.[1]

범어사청룡암시목판
(梵魚寺靑龍巖詩木板)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구)제25호
(1999년 9월 3일 지정)
수량1판
시대조선시대
관리범어사
위치
부산 범어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부산 범어사
부산 범어사
부산 범어사(대한민국)
주소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
좌표북위 35° 17′ 03″ 동경 129° 04′ 08″ / 북위 35.28417° 동경 129.06889°  / 35.28417; 129.0688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이 목판은 조선 중기 1608년 2월부터 1609년 7월까지 동래부사를 역임한 이안눌(1571∼1637) 선생의 「청룡암시」와 「범어사증도원선인」시를 자필로 쓴 것을 판각한 것이다.

이안눌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29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쳤으며,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따라 남한산성으로 갔다가 다시 돌아온 뒤 병이 심해져 죽었다. 시를 짓는데 뛰어나 문집에 4,379수의 엄청난 양의 시를 남겼다.

이안눌은 동래부사 재임시 자주 범어사를 찾았는데, 당시 범어사 혜창 장로가 시를 한 수 지어 바위에 새길 것을 요청하였고, 이에 이안눌 부사가 지어 바위에 새긴 것이 「청룡암시」이다.

지방사 연구에 기초자료로 쓰이는 문화재이다.

각주

편집
  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93호,《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2014-10-1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