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영어: Northwest Sumatra–Barrier Islands languages)은 북수마트라 내륙의 바탁족, 수마트라섬 서해안의 평행사도(시메울루에섬, 니아스섬, 믄타와이 제도)에 살고 있는 니아스족믄타와이족 및 그와 가까운 민족들의 언어들로 이루어진 어군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평행사도·바탁어군
지리적 분포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계통적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글로톨로그nort2829[1]
북수마트라의 언어 지도.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과 말레이어군, 참어군 언어들이 나타나 있다.

분류

편집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속한다.

이 분류군을 처음 제안한 것은 Lafeber (1922)로, “바탁·니아스어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2] Nothofer (1986)는 이 분류를 뒷받침하는 음운론적·어휘적 증거를 제시하며 “평행사도·바탁어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3]

엥가노어는 매우 이질적인 언어로서 그 분류는 논란의 대상이다. Lafeber (1922)와 Nothofer (1986) 모두 엥가노어가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2][3] Edwards (2015)는 이를 부정하며 엥가노어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했다.[4] 한편, Smith (2017)의 최근 연구는 그가 잠정적으로 “수마트라어군”이라 이름붙인 분기군에 엥가노어를 포함시키는 것을 지지하는데, 여기에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뿐만 아니라 수마트라 남서부의 븡쿨루에서 쓰이는 나살어까지 포함된다.[5]

어휘

편집

Edwards (2015:78)는 다음과 같이 평행사도 언어들의 신체부위 어휘 비교표를 제시한다. Edwards (2015:89)는 엥가노어를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의 일부로 보지 않는다.[4]

PMP 엥가노어 믄타와이어 니아스어 시쿨레어 시메울루에어
머리 *qulu e-(ʔ)udu uteʔ həɡə tuhu ulu
머리카락 *buhek e-pududui alai bu bu buʔ
얼굴 *daqih e-baka mata bava muko bobaŋon
*mata e-baka mata hərə mata mata
*ijuŋ ẽ-pãnũ asak ixu nixu ixuŋ
*baqbaq e-kaʔa ŋaŋa bava bafa ba(ʔ)ba
입술 *biRbiR e-ukudipo bibo beve befe befil
*dilaq e-dio† lila, ʤala lela l/nela dila
*nipen e-kaʔa ʧon ifɨ ifɨ ehen
*taliŋa e-kadiha taliŋa taliŋa ɡuɡuyu (k)oeuʔ
*liqeR ẽ-ũʔũ lolokat baɡi ʔoɡu leŋɡəl
*kamay/*lima e-ʔapo kabei bələxa,taŋa taŋa kaoʔ,siʔu
손톱 *kanuhkuh ẽ-kanũʔũnũ sulet siʔa tena tenab˺
가슴 *titi(q)/*susu e-koko tottot susu totoʔ totuʔ
*tian e-kitai baɣa talu amatan besil
다리 *qaqay e-ae dere ahe ae haɨ
무릎 *tuhud ẽ-pũʔũ u-ae bókolo tuhi bohun boxul
*bulu e-pududui bulu bu bu buʔ
살갗 *kulit e-ʔudi kulit uli bebi bebiʔ
살/고기 *hesi e-heda akkelak naɡole ö(h)i isi
지방 *miñak/*himaR ẽ-mĩnãʔ㇠lainak tavə tafɨ tafɨ
*tuqelaŋ e-ʔaa tolat təla tɨ/öla sod˺
심장 *pusuq e-báhau, ẽ-kẽmã teinuŋ tədə ɨlaxa, oho ate
*daRaq e-kiaki loɣau do do dala
*qatay ẽ-nĩũnĩũ atei ate bala
오줌 *iheq ẽ-ĩkõ kia xiɨ k/xiɨ
*taqi e-kai tanai tai tai tai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Northwest Sumatra–Barrier Islands〉.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Lafeber, Abraham (1922). 《Vergelijkende klankleer van het Niasisch》. s'-Gravenhage: Hadi Poestaka. 
  3. Nothofer, Bernd (1986). "The Barrier Island Languages 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In Geraghty, P., Carrington, L. and Wurm, S.A. (eds.) Focal II: Papers From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pp. 87–109. Pacific Linguistics, Series C, No. 94, Canberra,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 Edwards, Owen (2015). "The Position of Enggano within Austronesian". Oceanic Linguistics 54(1): 54-109
  5. Smith, Alexander D. (2017).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Oceanic Linguistics 56(2): 435-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