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 (불교)

(불신관에서 넘어옴)

삼신(三身 · Trikaya)은 부처의 여러가지 모습으로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을 말한다. 삼신설은 석가모니 부처가 열반에 든 후, 제자들이 '석가모니 부처가 열반 후에도 존재하는지, 존재한다고 하면 인격적 존재인지'에 대한 논의에서 나왔다.[1]

구례 화엄사 삼신불

깨달은 존재로서의 붓다에 대한 불교의 교의인 불신관(佛身觀)의 대표적인 견해로, 붓다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 또는 화신(化身)의 3가지 몸을 가지고 있다는 사상 또는 교의이다.

석가모니의 열반과 대체 부처를 찾으려는 노력

편집

고타마 붓다(=석가모니)가 80세로 입멸하고 나서도 제자들의 마음 속에서는 여전히 살아 있었다. 제자들은 붓다의 입멸은 다만 붓다가 자기들 눈앞에서 모습을 감춘 데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붓다의 생명은 영원한 것이며 붓다는 영원한 실재라고 생각하였다.[2]

그러나 석가모니의 유골(遺骨)=사리만으로는 부족했다. 부처님을 대신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으려고 했다. 이는 2가지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석가모니와 별개의 존재인 부처'를 찾으려는 노력이고, 다른 하나는 '석가모니 부처를 여러 다른 부처'로 나누려는 노력이다.[3]

석가모니와 별개인 부처의 등장

편집

석가모니와 별개의 존재인 부처를 찾는 노력이 먼저 열매를 맺었다.[4]

과거불과 미래불

편집

불법은 석가모니가 만든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진리인 불법을 깨달은 이가 석가모니이다. 그래서 이미 존재하는 불법이라면 과거에도 부처가 있었을 것이고, 미래에도 부처가 출현한 것이라고 보았다.[5]

그래서 과거불인 연등불(제화갈라보살)과 미래불인 미륵불(미륵보살)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미래불은‘56억7000만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6]

그래서 현재 지구에는 없지만, 현재 존재하는 부처를 찾게 되었다.

타방불

편집

타방불(他方佛) 혹은 타토불(他土佛)은 다른 세계(장소)에 있는 부처를 말한다. 서방정토에 있는 아미타불과 동방유리세계에 있는 약사여래불이 대표적이다.[7]

그러나 타방불은 지금 이 세계에는 없으므로, 죽어서 그 세계에서 환생을 해야 만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8]

비로자나불의 등장

편집

석가모니 부처 이전에도 존재했던 불교의 진리(불법)를 형상화하고 이념화한 부처가 비로자나불이다.[9]

이신설(二身說)

편집

이신설은 석가모니 부처가 설한 가르침인 비로자나불을 ‘법신(法身)’으로 보고, 석가모니 부처의 당체를 ‘색신(色身)’으로 보는 관점이다.[10] 법신은 비로자나불이고, 색신은 석가모니불이다.

그러나 법신(부처의 가르침)은 영원하지만 현실에서 볼 수 없고, 색신(석가모니)은 현실에서 제자들이 볼 수 있었지만 영원하지 못하여 열반(죽음)에 들었다. 영원성과 현실성을 모두 만족할 또 다른 대상이 필요했다.[11]

삼신설(三身說)

편집

삼신은 법신(法身) · 보신(報身) · 화신(化身) 또는 응신(應身)으로 이루어진다.[12]

법신은 이신설과 마찬가지로 비로자나불이다. 삼신설에서의 화신 또는 응신은 이신설의 색신이다. 여기에 현실성과 영원성을 모두 갖춘 보신이 추가된 것이다.[13]

법신

편집

법신은 이신설에서와 마찬가지로 불법 그 자체인 비로자나불을 의미한다. 붓다가 설한 불멸의 진리 그 자체를 법신(法身)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2]

화신

편집

불교경전에는 부처의 몸은 법 자체로 되어 있는데,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중생과 같은 몸을 빌려서 온 것이라고 한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들 때에도, '자신의 몸에 의지말고 불법과 중생 스스로에게 의지하라.'고 하였다.[14]

그러므로 법신이 세상 인간의 몸으로 나타난 것이 화신(化身)이다. 또한 세상 인간을 구제하기 위해 응현(應現)했다고 하여 응신(應身)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

보신

편집

응신 또는 화신으로서의 부처가 특별한 수행을 하여서, 그 과보로 법신의 영원성마저 성취한 것이 보신이다. 보신불을 예로 들자면, 다섯 겁에 걸친 특별한 수행을 통해 수명과 광명이 무량한 경지를 성취한 아미타불이 있다.[15]

석가모니 또한 업보윤회설(業報輪廻說)에 기초하여서 보자면, 무한한 과거세(過去世)로부터 보살로서의 수행을 쌓은 과보(果報)로서 현세에 있어서 붓다가 될 수 있었다.[2]

결론

편집

이와 같이 법신(法身)과 생신(生身)의 2신설(二身說)이 우선 생각되었고, 여기에서 발전하여 법신 · 보신 · 응신 또는 화신의 3신설, 다시 나아가 4신설에로 발전해 갔다.[2] 불신관의 발전은 불교에 있어서 인격신앙의 발전 · 성립을 뜻한다.[2]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박, 인탁 (2005년 5월 14일). “삼신(三身)”.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법신(法身).보신(報身).응신(應身) 등 부처님의 여러 가지 모습을 말한다. 삼신설은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제자들 사이에서 부처님께서 입멸 후에도 존재하는지 여부와 존재한다면 인격적 존재인지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나왔다. 
  2.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부파불교의 사상 > 불신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비로자나불은 무엇 때문에 태어났을까. 역사적 부처님인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이후, 제자들은 유골(遺骨)을 통해 그 분의 체취를 느꼈지만, 그것만으론 무엇인가 부족했다. 부처님을 대신할 수 있는 ‘권위’를 어떤 형태로든 찾으려 노력했다. ‘석가모니 부처와 별개의 인격적 존재’로서 다른 부처님을 찾으려는 노력과 ‘석가모니 부처 안에서 여러 차원의 부처님’을 분별하는 노력이 시도했다. 
  4.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두 가지 노력 가운데 전자가 먼저 결실을 거뒀다. 
  5.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이미 존재하는 진리를 깨달음 분이 부처님이라면 과거에도 있을 수 있고, 미래에도 있을 수 있다고 보았던 것. 그래서 태어난 부처님이 과거불(연등불)과 미래불(미륵불)이다. 그러나 미래불은 ‘56억7000만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6.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그래서 태어난 부처님이 과거불(연등불)과 미래불(미륵불)이다. 그러나 미래불은 ‘56억7000만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7.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지금이라도 가기만 하면 만날 수 있는 부처님, 다른 국토의 부처님을 찾게 됐다. 타방불(他方佛) 혹은 타토불(他土佛)은 이래서 태어났다. 동방묘희세계의 아촉불, 서방극락세계의 아미타불은 대표적 타방불이다. 타방불 사상은 사방불(四方佛).시방불(十方佛)로 발전했지만, 타방불도 문제는 있다. 현재 친견할 수 있는 부처님이 아니고 죽어 왕생해야만 볼 수 있는 부처님이기 때문이다. 
  8.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지금이라도 가기만 하면 만날 수 있는 부처님, 다른 국토의 부처님을 찾게 됐다. 타방불(他方佛) 혹은 타토불(他土佛)은 이래서 태어났다. 동방묘희세계의 아촉불, 서방극락세계의 아미타불은 대표적 타방불이다. 타방불 사상은 사방불(四方佛).시방불(十方佛)로 발전했지만, 타방불도 문제는 있다. 현재 친견할 수 있는 부처님이 아니고 죽어 왕생해야만 볼 수 있는 부처님이기 때문이다. 
  9.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진리의 당체인 비로자나불은 부처님 가르침을 형상화.이념화 한 존재다. 
  10.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이와 달리 석가모니 부처님 내부에서 여러 부처님을 찾으려는 노력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인 ‘법신(法身)’과 석가모니 부처님의 당체인 ‘색신(色身)’을 - 이를 ‘이신설(二身說)’이라 한다 - 만들어 냈다. 
  11.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이와 달리 석가모니 부처님 내부에서 여러 부처님을 찾으려는 노력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인 ‘법신(法身)’과 석가모니 부처님의 당체인 ‘색신(色身)’을 - 이를 ‘이신설(二身說)’이라 한다 - 만들어 냈다. 시간이 지나고 교리가 발달함에 따라 ‘영원한 본체신(本體身)으로서의 법신’과 ‘현실적.역사적 실존 인물로서의 색신’의 관계도 변했다.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설(三身說)’ 사상으로 발전되고 전개된 것. 이신설의 법신은 영원성은 있으나 현실적 구체성이 없고, 색신은 현실적 구체성은 있으나 무상한 몸이라 영원성은 갖추지 못했다. ‘영원성’과 ‘현실적 구체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부처님인 보신불이 필요했다. 
  12.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설(三身說)’ 사상으로 발전되고 전개된 것. 
  13. 조, 병활 (2004년 8월 20일). “19-비로자나불(法身佛)”.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영원성’과 ‘현실적 구체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부처님인 보신불이 필요했다. 때문에 보신불은 ‘영원한 본체신으로서의 법신’과 ‘현실적 구체성을 띤 색신’이 통합된 불신(佛身)이라 할 수 있다. 
  14. 불교신문, 불교신문 (2008년 1월 14일). “시방세계에 두루하신 부처님 - 법신 보신 화신”.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이 질문에 답은 “법(法)과 자신에게 의지하여 당신에게 의지하지 말라”는 부처님의 마지막 당부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부처님이 모든 중생 하나 하나가 스스로 깨달음의 주체임을 말씀하신 것이다. 그러나 법에 의지하라는 이 말씀만으로는 법은 무엇을 의미하고 부처님과 법의 관계는 무엇인지 명확히 알 수 없다. 경전에서는 부처님의 몸은 법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부처님의 본래 모습은 법 그 자체인데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중생과 같은 몸을 빌려 중생의 세계에 온 것이다. 
  15. 불교신문, 불교신문 (2008년 1월 14일). “시방세계에 두루하신 부처님 - 법신 보신 화신”.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응신으로서의 부처님이 특별한 수행을 해 그 과보로 법신의 영원성마저 성취한 것이 ‘보신(5겁에 걸친 특별한 수행을 통해 수명과 광명이 무량한 경지를 성취한 아미타불)’인 것이다.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