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담의 난
비담의 난(毗曇-亂)은 645년 상대등에 오른 비담이 권력을 장악하여 647년 1월, "
비담의 난 | |||||||
---|---|---|---|---|---|---|---|
| |||||||
교전국 | |||||||
신라 | 비담의 반란군 | ||||||
지휘관 | |||||||
정부수반 선덕여왕 김춘추 지휘부 김유신 등 |
반란 주동자 비담 염종 등 | ||||||
병력 | |||||||
불명 | 불명 | ||||||
피해 규모 | |||||||
불명 |
주력병력 와해 비담 생포. |
계기
편집647년 1월, 비담은 주위의 꾐에 넘어가 염종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고 한다. 이 때 선덕여왕의 심장병은 최고조에 달하여, 선덕여왕의 기력이 쇠할 때를 노려 난을 일으켰다는 일설이 있다.
사건 전개
편집월성에서의 전투
편집난의 혼란스러운 기간 동안, 월성을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다. 김유신이 먼저 월성을 장악하여, 세가 밀린 비담은 월성에 진을 쳤다.[2]
유성 낙하
편집난 도중, 밤에 큰 유성이 떨어지자 이를 본 비담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내가 듣기로 별에 떨어진 아래에는 반드시 피흘림이 있다고 하니, 이는 아마 여자 임금[4]이 패할 징조일 것이다."[2] 이는 비담의 승리로 기울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승패 확정
편집이 때, 김유신은 한 가지 꾀을 내었는데 큰 연에다 불 붙인 허수아비를 달았고 그 연을 날렸다. 이는 꼭 별이 다시 올라가는 것처럼 보여, 반란군의 사기가 떨어졌다. 이 때를 공략해 김유신은 반란군을 토벌하였다.[2]
비담의 죽음
편집비담은 토벌소식을 듣고 급히 도망쳤다. 하지만 비담은 647년(진덕여왕 1)에 1월 17일에 죽임을 당하였다.[3]
진덕여왕 즉위
편집혼란스런 난 도중인, 647년 1월 8일에 선덕여왕이 승하하고 말았다.[5] 결국 진덕여왕이 왕위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