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라소로 대수
V
i
r
{\displaystyle {\mathfrak {Vir}}}
는
L
n
{\displaystyle L_{n}}
(
n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과
c
{\displaystyle c}
로 인하여 생성되는 복소수 리 대수 이며, 다음과 같은 리 괄호를 가진다.
[
c
,
L
n
]
=
0
{\displaystyle [{\mathsf {c}},{\mathsf {L}}_{n}]=0}
[
L
m
,
L
n
]
=
(
m
−
n
)
L
m
+
n
+
c
12
(
m
+
1
)
m
(
m
−
1
)
δ
m
+
n
{\displaystyle [{\mathsf {L}}_{m},{\mathsf {L}}_{n}]=(m-n){\mathsf {L}}_{m+n}+{\frac {\mathsf {c}}{12}}(m+1)m(m-1)\delta _{m+n}}
중심 원소
c
{\displaystyle c}
가 0인 대수를 비트 대수 (영어 : Witt algebra )
W
i
t
t
{\displaystyle {\mathfrak {Witt}}}
라고 하며, 이는 비라소로 대수의 고전적 형태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소수 리 대수 의 짧은 완전열
0
→
C
c
→
V
i
r
→
W
i
t
t
→
0
{\displaystyle 0\to \mathbb {C} {\mathsf {c}}\to {\mathfrak {Vir}}\to {\mathfrak {Witt}}\to 0}
이 존재한다.
비라소로 대수는 실수 리 대수 로서 다음과 같은 자기 동형을 갖는다. (이는 복소수 벡터 공간 위의 반선형(영어 : antilinear ) 사상이다.)
i
↦
−
i
{\displaystyle \mathrm {i} \mapsto -\mathrm {i} }
L
n
↦
−
L
−
n
{\displaystyle {\mathsf {L}}_{n}\mapsto -{\mathsf {L}}_{-n}}
c
↦
−
c
{\displaystyle {\mathsf {c}}\mapsto -{\mathsf {c}}}
이는
L
n
{\displaystyle {\mathsf {L}}_{n}}
을 원 위의 벡터장
L
n
=
−
i
exp
(
−
i
n
t
)
d
d
t
{\displaystyle {\mathsf {L}}_{n}=-\mathrm {i} \exp(-\mathrm {i} nt){\frac {\mathrm {d} }{\mathrm {d} t}}}
[ 1] :77, §5.2
으로 간주하여 유도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고정점
L
n
−
L
−
n
{\displaystyle {\mathsf {L}}_{n}-{\mathsf {L}}_{-n}}
i
(
L
n
+
L
−
n
)
{\displaystyle \mathrm {i} ({\mathsf {L}}_{n}+{\mathsf {L}}_{-n})}
i
c
{\displaystyle \mathrm {i} {\mathsf {c}}}
을 생각하자. 이는 실수 리 대수
V
i
r
R
⊊
V
i
r
{\displaystyle {\mathfrak {Vir}}^{\mathbb {R} }\subsetneq {\mathfrak {Vir}}}
를 생성하며, 마찬가지로 실수 리 대수 의 짧은 완전열
0
→
i
R
c
→
V
i
r
R
→
W
i
t
t
R
→
0
{\displaystyle 0\to \mathrm {i} \mathbb {R} {\mathsf {c}}\to {\mathfrak {Vir}}^{\mathbb {R} }\to {\mathfrak {Witt}}^{\mathbb {R} }\to 0}
을 구성한다. 정의에 따라 자연스러운 포함 관계
W
i
t
t
R
↪
V
e
c
t
(
S
1
)
{\displaystyle {\mathfrak {Witt}}^{\mathbb {R} }\hookrightarrow {\mathfrak {Vect}}(\mathbb {S} ^{1})}
가 존재한다.
1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인 원
S
1
{\displaystyle \mathbb {S} ^{1}}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들의 리 대수
V
e
c
t
(
S
1
)
{\displaystyle {\mathfrak {Vect}}(\mathbb {S} ^{1})}
를 생각하자. 이는 실수 프레셰 공간 이다. 그 속에는 푸리에 급수 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C
[
z
,
z
−
1
]
↪
V
e
c
t
(
S
1
)
⊗
R
C
{\displaystyle \mathbb {C} [{\mathsf {z}},{\mathsf {z}}^{-1}]\hookrightarrow {\mathfrak {Vect}}(\mathbb {S} ^{1})\otimes _{\mathbb {R} }\mathbb {C} }
R
[
z
+
z
−
1
,
i
(
z
−
z
−
1
)
]
↪
V
e
c
t
(
S
1
)
{\displaystyle \mathbb {R} [{\mathsf {z}}+{\mathsf {z}}^{-1},\mathrm {i} ({\mathsf {z}}-{\mathsf {z}}^{-1})]\hookrightarrow {\mathfrak {Vect}}(\mathbb {S} ^{1})}
z
↦
exp
(
i
t
)
d
d
t
(
t
∈
R
/
(
2
π
Z
)
)
{\displaystyle {\mathsf {z}}\mapsto \exp({\mathsf {i}}t)\,{\frac {\mathrm {d} }{\mathrm {d} t}}\qquad (t\in \mathbb {R} /(2\pi \mathbb {Z} ))}
이는 다음과 같은 리 대수 코호몰로지 2차 공사슬을 갖는다.
V
e
c
t
(
S
1
)
×
V
e
c
t
(
S
1
)
→
R
{\displaystyle {\mathfrak {Vect}}(\mathbb {S} ^{1})\times {\mathfrak {Vect}}(\mathbb {S} ^{1})\to \mathbb {R} }
(
f
(
t
)
d
d
t
,
g
(
t
)
d
d
t
)
↦
∮
d
f
d
t
d
2
g
d
t
2
d
t
=
−
∮
d
f
2
d
t
2
d
g
d
t
d
t
(
f
,
g
∈
C
∞
(
S
1
,
R
)
)
{\displaystyle \left(f(t){\frac {\mathrm {d} }{\mathrm {d} t}},g(t){\frac {\mathrm {d} }{\mathrm {d} t}}\right)\mapsto \oint {\frac {\mathrm {d} f}{\mathrm {d} t}}{\frac {\mathrm {d} ^{2}g}{\mathrm {d} t^{2}}}\,\mathrm {d} t=-\oint {\frac {\mathrm {d} f^{2}}{\mathrm {d} t^{2}}}{\frac {\mathrm {d} g}{\mathrm {d} t}}\,\mathrm {d} t\qquad (f,g\in {\mathcal {C}}^{\infty }(\mathbb {S} ^{1},\mathbb {R} ))}
이를 겔판트-푹스 공사슬 (영어 : Gelfand–Fuchs cocycle )이라고 한다.[ 2] :67, Definition/Proposition Ⅱ.2.1 이에 대한 중심 확장
0
→
R
c
→
V
i
r
^
→
V
e
c
t
(
S
1
)
→
0
{\displaystyle 0\to \mathbb {R} {\mathsf {c}}\to {\widehat {\mathfrak {Vir}}}\to {\mathfrak {Vect}}(\mathbb {S} ^{1})\to 0}
을 생각할 수 있다.
V
i
r
^
{\displaystyle {\widehat {\mathfrak {Vir}}}}
역시 프레셰 공간 이다.
V
i
r
^
⊗
C
{\displaystyle {\widehat {\mathfrak {Vir}}}\otimes \mathbb {C} }
속에서,
C
[
z
,
z
−
1
]
{\displaystyle \mathbb {C} [{\mathsf {z}},{\mathsf {z}}^{-1}]}
과
C
c
{\displaystyle \mathbb {C} {\mathsf {c}}}
로 생성되는 부분 리 대수를 비라소로 대수 라고 한다.
V
i
r
⊊
V
i
r
^
{\displaystyle {\mathfrak {Vir}}\subsetneq {\widehat {\mathfrak {Vir}}}}
1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인 원
S
1
{\displaystyle \mathbb {S} ^{1}}
을 생각하자. 그 (매끄러운 ) 자기 미분 동형 사상 들의 군
Diff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athbb {S} ^{1})}
을 생각하자. 이는 프레셰 다양체 를 이룬다. 이는 두 개의 연결 성분 을 가지는데, 만약 원에 임의의 방향 을 부여하여 유향 다양체 로 만든다면, 한 연결 성분 은 방향을 보존하지만, 다른 한 연결 성분 은 방향을 뒤집는다. 물론, 항등 함수 는 전자에 속한다. 그 연결 부분군을
Diff
+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athbb {S} ^{1})}
이라고 하자.
이 경우, 그 실수 리 대수 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실수 프레셰 공간 이 된다. 구체적으로, 이는 원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들의 리 대수
V
e
c
t
(
S
1
)
{\displaystyle {\mathfrak {Vect}}(\mathbb {S} ^{1})}
이다.
프레셰 리 군
Diff
+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athbb {S} ^{1})}
은 특별한 1차원 중심 확대 를 가지며, 기하학적으로 이는 리 군의 U(1) 주다발 을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84, §5.4 [ 3] :§6.8
우선, 르베그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
L
2
(
S
1
;
C
)
≅
L
2
(
Z
;
C
)
{\displaystyle H=\operatorname {L} ^{2}(\mathbb {S} ^{1};\mathbb {C} )\cong \operatorname {L} ^{2}(\mathbb {Z} ;\mathbb {C} )}
을 생각하자. 여기서 동형 사상은 푸리에 급수 에 의한 것이다. 이 가운데, 다음과 같은 부분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을 생각할 수 있다.
H
+
=
L
2
(
N
;
C
)
⊊
L
2
(
Z
;
C
)
{\displaystyle H^{+}=\operatorname {L} ^{2}(\mathbb {N} ;\mathbb {C} )\subsetneq \operatorname {L} ^{2}(\mathbb {Z} ;\mathbb {C} )}
H
−
=
L
2
(
Z
∖
N
;
C
)
⊊
L
2
(
Z
;
C
)
{\displaystyle H^{-}=\operatorname {L} ^{2}(\mathbb {Z} \setminus \mathbb {N} ;\mathbb {C} )\subsetneq \operatorname {L} ^{2}(\mathbb {Z} ;\mathbb {C} )}
H
=
H
+
+
H
−
≅
H
+
⊕
H
−
−
{\displaystyle H=H^{+}+H^{-}\cong H^{+}\oplus H^{-}-}
(여기서
N
=
{
0
,
1
,
2
,
…
,
}
{\displaystyle \mathbb {N} =\{0,1,2,\dotsc ,\}}
은 자연수 의 집합이다.) 즉, 이는 각각 음이 운동량 성분을 갖지 않는 파동 함수 와 음의 운동량만을 갖는 파동 함수 의 부분 공간들이다.
이제,
Diff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athbb {S} ^{1})}
은
H
{\displaystyle H}
위에 다음과 같은 유니터리 표현 을 갖는다.
ρ
:
Diff
(
S
1
)
→
U
(
H
)
{\displaystyle \rho \colon \operatorname {Diff} (\mathbb {S} ^{1})\to \operatorname {U} (H)}
|
f
′
(
θ
)
|
1
/
2
⟨
f
(
θ
)
|
(
ρ
f
)
|
ψ
⟩
=
⟨
θ
|
ψ
⟩
(
θ
∈
R
/
(
2
π
Z
)
,
ψ
∈
C
1
(
S
1
,
C
)
⊊
H
)
{\displaystyle |f'(\theta )|^{1/2}\langle f(\theta )|(\rho f)|\psi \rangle =\langle \theta |\psi \rangle \qquad (\theta \in \mathbb {R} /(2\pi \mathbb {Z} ),\;\psi \in {\mathcal {C}}^{1}(\mathbb {S} ^{1},\mathbb {C} )\subsetneq H)}
그렇다면, 이제 다음과 같은 유니터리 작용소 들의 부분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1] :53, Definition 3.16 [ 3] :§6.2
U
r
e
s
(
H
+
,
H
−
)
=
{
(
T
+
+
T
+
−
T
−
+
T
−
−
)
∈
U
(
H
+
⊕
H
−
)
:
T
+
−
∈
S
2
(
H
−
,
H
+
)
,
T
−
+
∈
S
2
(
H
+
,
H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U_{res}} (H^{+},H^{-})=\left\{{\begin{pmatrix}T_{++}&T_{+-}\\T_{-+}&T_{--}\end{pmatrix}}\in \operatorname {U} (H^{+}\oplus H^{-})\colon T_{+-}\in {\mathfrak {S}}_{2}(H^{-},H^{+}),\;T_{-+}\in {\mathfrak {S}}_{2}(H^{+},H^{-})\right\}}
여기서
S
2
(
H
+
,
H
−
)
{\displaystyle {\mathfrak {S}}_{2}(H^{+},H^{-})}
는
H
+
→
H
−
{\displaystyle H^{+}\to H^{-}}
힐베르트-슈미트 작용소 들의 공간이다.
이제,
H
{\displaystyle H}
를 어떤 양자장론 의 위상 공간 으로 삼고,
H
=
H
+
⊕
H
−
{\displaystyle H=H^{+}\oplus H^{-}}
를 그 심플렉틱 구조 로 삼자. 그렇다면, 기하학적 양자화 에 따라, 다음과 같은 페르미온 포크 공간 을 얻는다.
H
=
(
⋀
H
+
+
⊗
⋀
H
¯
−
)
^
{\displaystyle {\mathcal {H}}=\left(\bigwedge H^{+}+\otimes \bigwedge {\bar {H}}^{-}\right)^{\hat {}}}
여기서
(
−
)
^
{\displaystyle (-)^{\hat {}}}
은 내적 공간 을 힐베르트 공간 으로 만드는 완비화이다.
H
¯
−
{\displaystyle {\bar {H}}^{-}}
는
H
−
{\displaystyle H^{-}}
의 복소켤레
a
v
¯
=
a
¯
v
¯
(
v
∈
H
−
)
{\displaystyle a{\bar {v}}={\overline {{\bar {a}}v}}\qquad (v\in H^{-})}
이다.
⋀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
는 외대수 이다.
기하학적 양자화 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계 작용소 로의 표현
Φ
:
H
→
B
(
H
)
{\displaystyle \Phi \colon H\to \operatorname {B} ({\mathcal {H}})}
가 존재한다. (
B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B} ({\mathcal {H}})}
는
H
→
H
{\displaystyle {\mathcal {H}}\to {\mathcal {H}}}
유계 작용소 의 공간이다.) 이에 따라서,
H
{\displaystyle H}
위의 유니터리 작용소
U
∈
U
(
H
)
{\displaystyle U\in \operatorname {U} (H)}
가 다음과 같이
H
{\displaystyle {\mathcal {H}}}
위에
U
~
∈
U
(
H
)
{\displaystyle {\tilde {U}}\in \operatorname {U} ({\mathcal {H}})}
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따질 수 있다.
U
~
Φ
(
v
)
=
Φ
(
U
v
)
U
~
∀
f
∈
H
{\displaystyle {\tilde {U}}\Phi (v)=\Phi (Uv){\tilde {U}}\qquad \forall f\in H}
이 경우, 위 조건을 만족시키는
U
~
{\displaystyle {\tilde {U}}}
가 존재할 필요 충분 조건 은
U
∈
U
r
e
s
(
H
+
,
H
−
)
{\displaystyle U\in \operatorname {U_{res}} (H^{+},H^{-})}
인 것이다. 이러한
U
~
{\displaystyle {\tilde {U}}}
는 노름 1의 복소수 스칼라 곱셈을 무시하면 유일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니터리 연산자의 공간
U
~
r
e
s
(
H
+
,
H
−
)
=
{
U
~
∈
U
(
H
)
:
∃
U
∈
U
(
H
)
∀
f
∈
H
:
U
~
Φ
(
v
)
=
Φ
(
U
v
)
U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ilde {U}}_{res}} (H^{+},H^{-})=\{{\tilde {U}}\in \operatorname {U} ({\mathcal {H}})\colon \exists U\in \operatorname {U} (H)\forall f\in H\colon {\tilde {U}}\Phi (v)=\Phi (Uv){\tilde {U}}\}}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군의 짧은 완전열
1
→
U
(
1
)
→
U
~
r
e
s
(
H
+
,
H
−
)
→
U
(
H
+
,
H
−
)
→
1
{\displaystyle 1\to \operatorname {U} (1)\to \operatorname {{\tilde {U}}_{res}} (H^{+},H^{-})\to \operatorname {U} (H^{+},H^{-})\to 1}
을 이룬다.
이제, 단사 군 준동형
Diff
+
(
S
1
)
↪
U
r
e
s
(
H
+
,
H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athbb {S} ^{1})\hookrightarrow \operatorname {U_{res}} (H^{+},H^{-})}
을 통해
U
~
r
e
s
(
H
+
,
H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ilde {U}}_{res}} (H^{+},H^{-})}
속에 부분군
D
i
f
f
~
(
S
1
)
⊊
U
~
r
e
s
(
H
+
,
H
−
)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etilde {Diff}} (\mathbb {S} ^{1})\subsetneq \operatorname {{\tilde {U}}_{res}} (H^{+},H^{-})}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군의 짧은 완전열
1
→
U
(
1
)
→
D
i
f
f
~
+
(
S
1
)
→
Diff
+
(
S
1
)
→
1
{\displaystyle 1\to \operatorname {U} (1)\to \operatorname {\widetilde {Diff}} ^{+}(\mathbb {S} ^{1})\to \operatorname {Diff} ^{+}(\mathbb {S} ^{1})\to 1}
을 이룬다. 이 짧은 완전열 의 모든 항들은 프레셰 다양체 이다.
이에 대한 실수 리 대수 의 짧은 완전열 을 취할 수 있다.
0
→
R
c
→
V
i
r
^
→
V
e
c
t
(
S
1
)
→
0
{\displaystyle 0\to \mathbb {R} {\mathsf {c}}\to {\widehat {\mathfrak {Vir}}}\to {\mathfrak {Vect}}(\mathbb {S} ^{1})\to 0}
이 짧은 완전열 의 각 항은 프레셰 공간 이다.
특히, 복소수 리 대수
V
i
r
^
⊗
C
{\displaystyle {\widehat {\mathfrak {Vir}}}\otimes \mathbb {C} }
속에 다음과 같은 부분 집합
{
c
}
∪
{
exp
(
i
n
t
)
d
d
t
:
n
∈
Z
}
{\displaystyle \{{\mathsf {c}}\}\cup \left\{\exp(\mathrm {i} nt){\frac {\mathrm {d} }{\mathrm {d} t}}\colon n\in \mathbb {Z} \right\}}
으로 생성되는 (대수적) 부분 리 대수
V
i
r
⊊
V
i
r
^
⊗
C
{\displaystyle {\mathfrak {Vir}}\subsetneq {\widehat {\mathfrak {Vir}}}\otimes \mathbb {C} }
를 비라소로 대수 라고 한다.
V
i
r
^
⊗
C
{\displaystyle {\widehat {\mathfrak {Vir}}}\otimes \mathbb {C} }
는 비라소로 대수의 (프레셰 공간 으로의) 완비화이며,
D
i
f
f
~
+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etilde {Diff}} ^{+}(\mathbb {S} ^{1})}
는 그 실수 형태에 대응되는 프레셰 리 군 이다.
비라소로 대수의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H}
위의 표현
ρ
:
V
i
r
→
B
(
H
)
{\displaystyle \rho \colon {\mathfrak {Vir}}\to \operatorname {B} (H)}
가운데, 만약 다음이 성립한다면, 이를 비라소로 대수의 유니터리 표현 이라고 한다.
ρ
(
L
n
)
†
=
ρ
(
L
−
n
)
{\displaystyle \rho ({\mathsf {L}}_{n})^{\dagger }=\rho ({\mathsf {L}}_{-n})}
비라소로 대수의 유니터리 표현은 모두 기약 표현 들의 직합으로 분해된다.
비라소로 대수의 아벨 부분 리 대수
Span
C
{
L
0
,
c
}
⊊
V
i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_{\mathbb {C} }\{{\mathsf {L}}_{0},{\mathsf {c}}\}\subsetneq {\mathfrak {Vir}}}
를 생각하자. 각 기약 표현
ρ
{\displaystyle \rho }
에서
ρ
(
c
)
∈
[
0
,
∞
)
id
H
{\displaystyle \rho ({\mathsf {c}})\in [0,\infty )\operatorname {id} _{H}}
ρ
(
L
0
)
∈
[
0
,
∞
)
id
H
{\displaystyle \rho ({\mathsf {L}}_{0})\in [0,\infty )\operatorname {id} _{H}}
이게 되며, 반대로 주어진 두 실수
(
c
,
h
)
=
(
ρ
(
c
)
,
ρ
(
L
0
)
)
{\displaystyle (c,h)=(\rho ({\mathsf {c}}),\rho ({\mathsf {L}}_{0}))}
에 대응되는 기약 유니터리 표현은 (동형 아래) 유일하다. 주어진
(
c
,
h
)
{\displaystyle (c,h)}
에 대응되는 기약 표현은 베르마 가군 의 몫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라소로 대수의 기약 유니터리 표현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c
≥
1
{\displaystyle c\geq 1}
인 경우, 모든
h
≥
0
{\displaystyle h\geq 0}
에 대한 표현
(
c
,
h
)
{\displaystyle (c,h)}
가 존재한다.
0
≤
c
<
1
{\displaystyle 0\leq c<1}
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값들만이 존재한다.
c
=
1
−
6
m
(
m
+
1
)
{\displaystyle c=1-{\frac {6}{m(m+1)}}}
h
=
h
(
c
;
p
,
q
)
=
(
(
m
+
1
)
p
−
m
q
)
2
−
1
4
m
(
m
+
1
)
{\displaystyle h=h(c;p,q)={\frac {((m+1)p-mq)^{2}-1}{4m(m+1)}}}
m
=
2
,
3
,
4
,
…
{\displaystyle m=2,3,4,\dots }
p
=
1
,
2
,
…
,
m
−
1
{\displaystyle p=1,2,\dots ,m-1}
q
=
1
,
2
,
…
,
p
{\displaystyle q=1,2,\dots ,p}
0
≤
c
<
1
{\displaystyle 0\leq c<1}
의 경우는 2차원 등각 장론 의 일종인 최소 모형 의 구성에 등장한다. 함수
h
(
c
;
p
,
q
)
{\displaystyle h(c;p,q)}
는 다음과 같은 대칭을 가진다.
h
(
c
;
p
,
q
)
=
h
(
c
;
m
−
p
,
m
+
1
−
q
)
{\displaystyle h(c;p,q)=h(c;m-p,m+1-q)}
특히,
p
=
q
=
1
{\displaystyle p=q=1}
인 경우
h
=
0
{\displaystyle h=0}
이며, 이는 2차원 등각 장론 의 진공 또는 대칭류(영어 : current )에 해당한다. (2차원 등각 장론 은 두 개의 비라소로 대수 대칭을 갖는데, 진공의 경우
h
{\displaystyle h}
가 둘 다 0이지만, 대칭류의 경우 둘 가운데 하나만이 0이다.)
m
−
1
=
p
=
q
=
1
{\displaystyle m-1=p=q=1}
인 경우는
(
c
,
h
)
=
(
0
,
0
)
{\displaystyle (c,h)=(0,0)}
이며, 이는 1차원 자명한 표현에 해당한다.
비라소로 대수의 모든 기약 유니터리 표현은
(
c
,
h
)
=
(
0
,
0
)
{\displaystyle (c,h)=(0,0)}
을 제외하면 무한 차원 표현이다. (
(
c
,
h
)
=
(
0
,
0
)
{\displaystyle (c,h)=(0,0)}
인 자명한 표현은 물론 1차원이다.)
비라소로 대수의 실수 형태
V
i
r
R
{\displaystyle {\mathfrak {Vir}}^{\mathbb {R} }}
의 실수 프레셰 공간 으로의 완비화는 어떤 프레셰 리 군 의 리 대수 이다. 그러나 이 리 군은 복소화될 수 없으며, 복소수 비트 대수와 복소수 비라소로 대수는 복소수 리 군의 리 대수가 될 수 없다.[ 1] :82–84, §5.4
비트 대수의 지수 사상
exp
:
V
e
c
t
(
S
1
)
→
Diff
(
S
1
)
{\displaystyle \exp \colon {\mathfrak {Vect}}(\mathbb {S} ^{1})\to \operatorname {Diff} (\mathbb {S} ^{1})}
을 생각하자. 이는 존재하지만, 프레셰 다양체
Diff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athbb {S} ^{1})}
에서 항등 함수 의 임의의 근방 에서,
exp
{\displaystyle \exp }
의 치역 에 포함되지 않는 원소가 존재한다.[ 5] :14, Proposition 1.23 [ 6] :28, Proposition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