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기적 테셀레이션
비주기적 테셀레이션(非周期的-, 영어: aperiodic tessellation) 또는 비주기적 타일링(영어: aperiodic tiling)은 임의의 반복되는 기본 단위를 찾을 수 없는 테셀레이션이다. 이때 기본 단위(primitive unit)란 평행 이동만을 사용하여 평면을 채울 수 있는 최소 타일들의 구성을 말한다. 만약 어떤 타일들이 모여서 비주기적 타일밖에 만들어지지 않으면, 그 타일들의 집합(프로토타일)이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의 예시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펜로즈 테셀레이션이다.[1][2]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은 준결정의 수학적 모형 역할을 한다. 준결정은 1982년 단 셰흐트만이 발견되었고,[3] 2011년 그가 준결정 연구로 노벨상을 탔다.[4] 하지만 이 물질의 자세한 국소적인 구조는 아직 잘 설명할 수 없다.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만드는 몇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정의 및 그림
편집단위 정사각형 격자의 주기적 테셀레이션을 생각하자. (격자 종이처럼 보인다) 이제 한 정사각형을 두 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눈다. 이렇게 얻은 테셀레이션은 비주기적인데, 평행이동을 시켜서 이 테셀레이션과 같도록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 이 예시는 펜로즈 테셀레이션보다 흥미롭지 않다. 이런 지루한 예시를 제외하기 위해,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임의의 큰 주기적인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테셀레이션으로 정의할 수 있다.
어떤 테셀레이션이 비주기적 테셀레이션만 생성(hull)하면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테셀레이션의 생성 는 T를 평행이동한 가능한 모든 T+x를 포함하는데, 이들을 T의 평행이동으로 생각할 수 있다. 형식적으로 이것은 국소 위상수학에서 집합 의 닫힌 부분 집합(closure)이다.[5] 국소 위상수학(각각에 대응되는 행렬)에서 두 테셀레이션이 보다 덜 평행이동했을 때 지름 의 구간에서 일치하면 에 대해 닫혀 있다고 한다.
위보다 더 쉬운 예시를 들면, ...aaaaaabaaaaa...처럼 직선 모양의 1차원 테셀레이션 T를 생각하자. 여기서 a는 길이 1의 간격을 나타내고 b는 길이 2의 간격을 나타낸다. 그래서 이 테셀레이션 T는 무수히 많은 a들과 한 개의 b로 만들어지는데, b를 중심 0이라고 하자. T의 모든 평행이동은 b가 어딘가 있고 나머지는 모두 a일 것이다. b가 에 중심이 있을 때 테셀레이션의 순서는 a로만 이루어진 주기적인 테셀레이션과 국소 위상수학에서 합동이다. 따라서 T는 주기적 테셀레이션 ...aaaaaa...를 부분집합으로 가지기 때문에 주기적 테셀레이션이 아니다.
잘 정의된 테셀레이션(예를 들어 유한하게 많은 국소 패턴으로 구성되는 테셀레이션)에 대해서, 주기적이지 않고 반복되는 테셀레이션(각 타일이 고르게 밀집하게 테셀레이션에서 모여 있음)은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다.[5]
역사
편집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의 구체적인 발견은 1961년에 최초로 있었는데, 논리학자 하오 왕이 도미노 문제가 결정 가능한지 연구했을 때였다. 결정 가능하다는 것은 유한한 프로토타일 집합이 주어졌을 때, 이것이 평면을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왕은 평면을 채울 수 없는 타일 집합과 주기적으로 채울 수 있는 평면 집합을 찾으려고 알고리즘을 발견했다. 이로써 평면을 채울 수 있는 유한한 프로토타일 집합 각각이 주기적 테셀레이션도 만들 수 있다면 이 결정 알고리즘이 존재한다는 걸 보였다. 1964년 로버트 버거는 테셀레이션 문제가 사실 결정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서 비주기적 프로토타일 집합을 찾았다.[6][7] 이 증명에 버거가 쓴 집합은 왕 타일 20,426개가 필요했는데, 나중에 104개로 개수를 줄였다. 한스 레우히리는 40개 왕 타일만 필요한 비주기 집합을 찾았다.[8] 왕 타일 6개로 된 더 간단한 비주기적 집합을 래피얼 미셸 로빈슨이 1971년에 발견했다.[9] 로저 펜로즈는 1973년과 74년에 3개의 집합을 추가로 발견했는데, 2개의 타일만 필요했다. 로버트 애먼은 몇개의 집합을 1977년에 더 찾았다.[8]
비주기적인 펜로즈 테셀레이션은 비주기적인 프로토타일 집합뿐 아니라 대체하기(subtitution)나 잘라서 사영하기(cut-and-project) 방법도 써서 만들 수 있다. 준결정이 연구된 이후 물리학자와 수학자들이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열심히 연구했다. 펜로즈 테셀레이션에 쓰이는 니콜라스 호베르트 드 브뢰인의 잘라서 사영하기 방법이 마이어 집합 이론의 예라는 게 결국 밝혀졌다.[10][11] 현재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에 대한 여러 문헌이 있다.[5]
만들기
편집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만드는 몇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일부는 무한한 비주기적 타일 집합을 사용한다.[12][13] 비주기적인 계층 구조를 주로 써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도미노 문제의 비결정성에 따라서 무한히 많은 만드는 원리가 있을 것이고, 비주기적이라는 걸 증명할 수 없는 비주기적 테셀레이션도 존재한다.
비주기적 계층 테셀레이션
편집어떤 테셀레이션이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일반적인 정의가 현재 없지만, 대체하기 방법을 쓴 테셀레이션과 커누스, 라우히리, 로빈슨의 테셀레이션이 계층적이라는 건 확실하다.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에서 나아가서 "비주기적 계층 테셀레이션"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 비주기적 테셀레이션만 허용하는 타일 집합을 말한다
이런 타일 집합이 만드는 모든 테셀레이션에서 계층적인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 구조는 타일 대체하기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런 타일로는 어떤 주기적 타이링도 만들 수 없느데, 단순히 평행 이동으로 전체 계층 구조와 같게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아래는 로빈슨의 1971년 타일이다.
이런 타일로 만든 테셀레이션은 사각형 격자 계층만 만들 수 있는데, 임의의 주황색 사각형 중심은 더 큰 주황색 사각형의 중심이 되고, 이는 무한히 반복된다. 어떻게 평행이동을 해도 이동한 거리보다 더 큰 정사각형이 있으므로, 원래와 같아질(invariant) 수 없다.
로빈슨은 타일들이 서로 맞아서 원래의 타일보다 더 큰 블록을 만들어내는 걸 계속할 것이라고 구조를 귀납적으로 증명했다. 어느 테셀레이션이 계층적인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이 아이디어를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한다.
대체하기
편집타일 대체하기 방법으로 다양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다. 아래는 예시 중 하나인 의자 테셀레이션이다. 대체하기 테셀레이션은 비주기적이지만, 의자 타일 자체는 비주기적이 아니어서 주기적 테셀레이션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아래의 타일은 의자 대체하기 구조를 합쳐놓았기 때문에 타일 자체도 비주기적이다.[14]
펜로즈 타일과 애먼의 타일 몇 개가[15] 대체하기 테셀레이션 구조를 명쾌하게 합쳐놓은 첫 번째 예시였다. 조슈아 소콜라,[16][17] 로저 펜로즈,[18] 루트비히 단체,[19]와 체임 굿맨-스트러스[14]가 이후 타일을 발견했다. 샤하르 모제스는 모든 1차원 대체하기가 규칙을 통해 합쳐질 수 있다는 걸 보이면서 최초로 일반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성했다.[13] 찰스 래딘은 콘웨이 바람개비 대체 테셀레이션을 합치는 규칙을 찾아냈다.[20] 1998년 체임 굿맨-스트러스는 약한 조건에서 모든 테셀레이션 대체하기 구조에서 국소적으로 대응시키는 규칙을 찾을 수 있다는 걸 보였다.[12]
잘라 사영하기 방법
편집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은 고차원 구조를 낮은 차원으로 사영시켜서 만들 수 있고, 비주기적 구조로 합쳐져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되는 경우도 있다. 드 브라운의 업적에서도 나와 있듯이, 펜로즈 테셀레이션이 가장 최초이자 유명한 예시이다.[21] 필요충분조건은 알려져 있지만, 대응하는 규칙으로 합쳐서 테셀레이션을 잘라 사영하는 대수적인 완전한 정의는 아직 없다.[22]
다른 방법
편집비주기적 방법을 만드는 몇 가지 방법만 발견되었다. 야르코 카리는 타일이 직선으로 암호화된 실수에 2 또는 2/3을 곱해 비주기적 왕 타일들을 만들었다. (암호화는 비티 수열의 항의 차이로 만들어진 스튀름 순서와 관련이 있다) 이는 2n/3m이 양의 정수 m, n에 대해 절대 1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토대로 만든 것이다.[23] 이 방법은 나중에 굿맨-스트러스가 쌍곡면 위의 강하게 비주기적인 테셀레이션을 하기 위해 사용했다.[24] 샤하르 모제스는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대안을 찾았는데, 준-단순(semi-simple) 리군에서처럼 색다른 조건에서도 찾았다.[25] 블록과 와인버거는 종순 다양체이 아닌 모든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만드려고 호몰로지 방법을 썼다.[26] 조슈아 소콜라도 대안 조건에 대해서 비주기성을 만들 다른 방법을 찾았다.[27] 이 방법으로 만든 타일은 대체하기로 만든 것보다 보통 훨씬 작다.
같이 보기
편집- 기리 테셀레이션
-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의 목록
- 준결정
- 젤리지(Zellige)
각주
편집- ↑ Gardner, Martin (January 1977). “Mathematical Games”. 《Scientific American》 236 (1): 111–119. Bibcode:1977SciAm.236a.110G. doi:10.1038/scientificamerican0177-110.
- ↑ Gardner, Martin (1988). 《Penrose Tiles to Trapdoor Ciphers》. W H Freeman & Co. ISBN 978-0-7167-1987-8.
- ↑ Schechtman, D.; Blech, I.; Gratias, D.; Cahn, J.W. (1984). “Metallic Phase with long-range orientational order and no translational symmetry”. 《Physical Review Letters》 53 (20): 1951–1953. Bibcode:1984PhRvL..53.1951S. doi:10.1103/PhysRevLett.53.1951.
- ↑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1”. Nobelprize.org. 2011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aake, M.; Grimm, Uwe (2013). 《Aperiodic Order. Vol 1: A Mathematical Invi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틀:Mathgenealogy.
- ↑ Berger, Robert (1966). “The undecidability of the domino problem”.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6): 1–72.
- ↑ 가 나 Grünbaum and Shephard, section 11.1.
- ↑ Robinson, Raphael M. (1971). “Undecidability and Nonperiodicity for Tilings of the Plane”. 《Inventiones Mathematicae》 12 (3): 177–209. Bibcode:1971InMat..12..177R. doi:10.1007/BF01418780. S2CID 14259496.
- ↑ Lagarias, J.C. (1996). “Meyer's concept of quasicrystal and quasiregular sets”. 《Commun. Math. Phys.》 179 (2): 356–376. Bibcode:1996CMaPh.179..365L. doi:10.1007/BF02102593. S2CID 122753893.
- ↑ Moody, R.V. (1997). 〈Meyer sets and their duals〉. 《The Mathematics of Long-Range Aperiodic Order》. 《The Mathematics of Long Range Aperiodic Order, NATO ASI Series C》. 403–441쪽. doi:10.1007/978-94-015-8784-6_16. ISBN 978-90-481-4832-5.
- ↑ 가 나 Goodman-Strauss, Chaim (1998). “Matching rules and substitution tilings”. 《Annals of Mathematics》 147 (1): 181–223. CiteSeerX 10.1.1.173.8436. doi:10.2307/120988. JSTOR 120988.
- ↑ 가 나 Mozes, S. (1989). “Tilings, substitution systems and dynamical systems generated by them”. 《Journal d'Analyse Mathématique》 53 (1): 139–186. doi:10.1007/BF02793412. S2CID 121775031.
- ↑ 가 나 Goodman-Strauss, Chaim (1999). “A small aperiodic set of planar tiles”. 《European Journal of Combinatorics》 20 (5): 375–384. doi:10.1006/eujc.1998.0281.
- ↑ Grünbaum, Branko; Geoffrey C. Shephard (1986). 《Tilings and Patterns》. W.H. Freeman & Company. ISBN 978-0-7167-1194-0.
- ↑ Senechal, Marjorie (1996) [1995]. 《Quasicrystals and geometry》 correct paperback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7541-6.
- ↑ Socolar, J.E.S. (1989). “Simple octagonal and dodecagonal quasicrystals”. 《Phys. Rev. B》 39 (15): 10519–51. Bibcode:1989PhRvB..3910519S. doi:10.1103/PhysRevB.39.10519. PMID 9947860.
- ↑ Penrose, R. (1997). “Remarks on Tiling: details of a 1 + ε + ε2-aperiodic set”. 《The Mathematics Long Range Aperiodic Order, NATO Adv. Sci. Inst. Ser. C. Math. Phys. Sci.》 489: 467–497.
- ↑ Nischke, K.-P.; Danzer, L. (1996). “A construction of inflation rules based on n-fold symmetry”.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15 (2): 221–236. doi:10.1007/BF02717732.
- ↑ Radin, Charles (1994). “The pinwheel tilings of the plane”. 《Annals of Mathematics》 139 (3): 661–702. doi:10.2307/2118575. JSTOR 2118575.
- ↑ N. G. de Bruijn, Nederl. Akad. Wetensch. Indag. Math. 43, 39–52, 53–66 (1981). Algebraic theory of Penrose's nonperiodic tilings of the plane, I, II
- ↑ See, for example, the survey of T. T. Q. Le in Le, T.T.Q. (1997). 〈Local rules for quasiperiodic tilings〉. 《The Mathematics of Long-Range Aperiodic Order》. 《The Mathematics Long Range Aperiodic Order, NATO Adv. Sci. Inst. Ser. C. Math. Phys. Sci.》 489. 331–366쪽. doi:10.1007/978-94-015-8784-6_13. ISBN 978-90-481-4832-5.
- ↑ Kari, Jarkko (1996). “A small aperiodic set of Wang tiles”. 《Discrete Mathematics》 160 (1–3): 259–264. doi:10.1016/0012-365X(95)00120-L.
- ↑ Goodman-Strauss, Chaim (2005). “A strongly aperiodic set of tiles in the hyperbolic plane”. 《Inventiones Mathematicae》 159 (1): 119–132. Bibcode:2004InMat.159..119G. CiteSeerX 10.1.1.477.1974. doi:10.1007/s00222-004-0384-1. S2CID 5348203.
- ↑ Mozes, Shahar (1997). “Aperiodic tilings”. 《Inventiones Mathematicae》 128 (3): 603–611. Bibcode:1997InMat.128..603M. doi:10.1007/s002220050153. S2CID 189819776.
- ↑ Block, J.; Weinberger, S. (1992). “Aperiodic tilings, positive scalar curvature and amenability of spaces”. 《Journal of the AMS》 5 (4): 907–918. doi:10.1090/s0894-0347-1992-1145337-x.
- ↑ Socolar, Joshua (1990). “Weak matching rules for quasicrystals”. 《Comm. Math. Phys.》 129 (3): 599–619. Bibcode:1990CMaPh.129..599S. doi:10.1007/BF02097107. S2CID 123629334.